|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Asian J Beauty Cosmetol > Volume 19(3); 2021 > Article
헤어 커트 시 두상의 분할과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와 세임 레이어 커트 혼합의 커트형태변화 Ⅱ

요약

목적

두상을 세 영역으로 나누고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와 세임 레이어 커트를 대입하여 적용한 뒤 슬라이스 라인에 따라 변화되는 커트의 형태변화와 길이 변화를 실증하여 헤어 커트 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두상을 front side point-golden point+2 (F-G+2), side point-golden back medium point+1 (S-GBMP+1), ear point-back point (E-B)로 분할한 후 A 라인, 평행라인, V 라인의 슬라이스 라인으로 하여 상단부는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 하단부는 세임 레이어 커트를 적용하여 헤어 커트 하였다.

결과

두상의 분할에 상단부는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 하단부는 세임 레이어 커트를 적용하여 헤어 커트한 결과 영역 분할의 위치와 슬라이스 라인에 따라서 커트의 길이와 형태변화가 나타났다.

결론

두상의 영역에 적용된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와 세임 레이어 커트의 조합은 영역의 위치에 따라 볼륨과 층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예측할 수 있는 창의적인 커트디자인이 가능하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Abstract

Purpose

To provide basic data for haircut style education by applying a combination of two basic hair cut styles, medium-graduation cut and the same layer cut based on the division of the scalp, and demonstrating change of shape and length of the cut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slice lines.

Method

After the division of the hair into the front side point-golden point+2 (F-G+2), side point-golden back medium point+1 (S-GBMP+1), and ear point-back point (E-B), the same layer cut, and medium-graduation cut were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 respectively. Finally, the hair cut was completed using the slice lines of A-line, parallel line, and V line.

Result

After dividing the hair, the same layer cut was applied to the upper part and the medium-graduation cut to the lower part. Due to this, there were changes in the shape of the haircut and the length of the hair,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division, and the shape lines were affected by slice lines of the medium-graduation cut.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medium gradation cut and the same layer cut applied to the head area demonstrated that predictable and creative cut design is possible because the volume and layer level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rea’s location.

中文摘要

目的

为发型教育提供基础数据,根据头皮的划分,结合两种基本发型,中等分级发型和同层发型,并根据切片线的位置演示切口形状和长度的变化。

方法

将头发分为前侧点金点+2(F-G+2)、侧点金点背部中点+1(S-GBMP+1)和耳点背部点(E-B)后,分别对上下部分进行同层剪和中分度剪。最后,使用A线、平行线和V线的切片线完成头发切割。

结果

头发分割后,上半部分采用同一层切割,下半部分采用中等分度切割。因此,发型的形状和头发的长度会发生变化,这取决于分割的位置,并且形状线会受到中等刻度切割的切片线的影响。

结论

中等等级切割和同一层切割组合应用于头部区域表明,可预测和创造性的切割设计是可能的,因为体积和层水平可以根据区域位置进行调整。

Introduction

헤어 커트는 도구를 사용하여 두발의 길이와 양을 조절하고 형태를 디자인하는 것으로 잘라버리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만큼의 길이를 남겨 헤어 디자인을 표현하느냐가 헤어스타일을 결정한다(Jeon & Kang, 2007). 또한 헤어 커트는 헤어스타일을 결정하는 기초과정으로 모발을 단순히 잘라내는 것만이 아닌 남김으로써 형태를 만들어 인체 특징과 심미적 만족까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Jung & Youn, 2008).
헤어 커트의 역사를 보면 제 1차 세계대전이 발생한 후 많은 여성들이 긴 머리에서 단순하고 손질하기 쉬운 짧은 머리로 커트하기 시작하였으며, 1960년대에 이르러 헤어 커트는 Vidal Sassoon에 의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게 되었다(Son, 2012). Vidal Sassoon의 각도에 의한 기하학적 헤어 커트는 유연하고 자연스런 움직임을 만드는 새로운 커트 스타일 이였다(Kim & Ju, 2014). 이후 헤어 커트는 피봇 포인트 창시자인 레오 파사지(Leo Passage)에 의해 체계적으로 연구되었으며, 현재까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객관적이고 수치화된 자료 도출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Jeong & So, 2008).
Jung & Youn (2008)은 헤어 커트의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기초이론을 정립하고자 헤어 커트의 형태에 변화를 주는 요인에 관해 연구를 하였으며, 헤어 커트의 변화요인은 시술각도(angle)>모발의 길이(length)>선(slice line)>베이스(base) 순임을 조사하여 발표하였다.
시술 각도는 모발이 두상에서 들어올려지거나 내려지는 각도를 말하며 NCS (국가직무능력표준: National Competency Standard)의 학습모듈은 기초 헤어 커트를 시술각도에 따라 자연 시술각을 적용하는 원랭스 커트(one-length cut)와 두상 시술각을 적용하는 레이어 커트(layer cut), 그래주에이션 커트(graduation cut)로 분류하고 있다.
기초 헤어 커트는 기본형의 단독 또는 혼합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커트디자인을 만들 수 있으며, 혼합되는 비율에 따라 커트디자인은 크게 달라진다(Jeong & So, 2008). Jung & Kim (2017)은 이사도라 커트와 그래쥬에이션 커트를 혼합한 커트스타일에 대한 실증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커트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Jang & Jung (2020a)은 원랭스 커트와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두상의 영역 분할에 따라 혼합한 뒤 형태변화를 연구하였다. 또한 원랭스 커트와 세임 레이어 커트를 두상영역분할에 따라서 혼합한 후 나타나는 커트의 형태 변화와 길이 변화를 실증하여 커트스타일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연구도 발표하였다(Jang & Jung, 2020b). Kim (2015)은 그래주에이션 커트와 인크리스 레이어 커트(increase layer cut)의 혼합을 통해서 혼합위치와 섹션라인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형태변화에 관한 연구를 발표하였으며, 블록의 양과 모발의 길이, 섹션 라인의 변화에 따른 형태변화를 원랭스 커트와 인크리스 레이어 커트를 중심으로 실증한 연구도 있다(Kim, 2016). Park & Yang (2007)은 레이어 커트와 그래주에이션 커트의 형태 컨트롤을 작품과 관련 지어 분석한 후 제시하였다.
슬라이스 라인은 섹션을 탈 때 원하는 커트실루엣과 형태선을 만들기 위해 나누는 선으로 A 라인(concave line), V 라인(convex line), 평행라인(parallel line)이 있다. 슬라이스 라인은 모양에 의한 변화뿐만 아니라 그 기울기에 따라서도 커트형태를 변화시킨다. Moon & Jung (2018)은 원랭스 커트에서 슬라이스 라인 기울기에 따라 달라지는 형태선과 길이의 변화를 실증하였으며, Jang & Jung (2019a)은 그래주에이션 커트에서 전경사 슬라이스 라인의 기울기에 따라 변화되는 커트 형태를 연구하여 헤어 커트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슬라이스 라인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슬라이스 라인의 혼합을 적용한 헤어 커트는 또 다른 헤어스타일을 완성한다. Jang & Jung (2019b)은 전경사와 후경사 슬라이스 라인을 혼합하여 그래주에이션 커트에 적용한 후 나타나는 커트 형태 변화를 실증하였으며, 슬라이스 라인의 혼합을 통해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커트디자인을 제시하였다.
Han & Youn (2007)은 축적된 인체계측 자료의 데이터 분석으로 의상의 대량생산이 가능해진 것처럼 헤어 커트 시술에 있어서도 수치적 데이터만 있다면 헤어 스타일의 변화를 미리 예측할 수 있을 것이라 하였으며, Kwon et al.,(2010)은 헤어 커트의 수치화와 규격화에 관한 연구가 헤어 커트 교육을 현재보다 더 진보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렇듯 헤어 커트의 수치화와 체계화의 중요성은 이미 많은 연구자들이 강조한 바 있으며 지속적으로 헤어 커트 스타일에 관한 실증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헤어 커트에 관한 수치화와 과학적 체계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헤어 커트 시 두상을 세가지 방법으로 영역을 분할하고 A line, 평행, V line의 세가지 슬라이스 라인을 적용하여 하단에는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 상단에는 세임 레이어 커트를 대입한 후 변화되는 커트의 형태와 길이 변화를 실증하여 헤어 커트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Methods

1. 측정도구 및 방법

1) 측정도구

본 연구에 사용된 가발은 P (Proa, Korea)사의 20인치 가발을 사용하였으며, 헤어 커트 후 길이의 변화를 실증하기 위해 측정위치의 모발을 가로 세로 1 cm 를 취한 다음 디지털 자(Bl-dm; Bluetec, Korea)를 사용하여 일정하게 측정하였다. 또한 헤어 커트 시 시술각도의 정확성을 위해 각도계(제도삼각자세트, Starbox, Korea)를 사용하여 베이스의 중간접점에서 측정한 후 헤어 커트하였다. 헤어 커트가 끝난 후 커트의 형태변화를 실증하기 위해 블로우 드라이와 5 cm 직경의 드라이 롤을 사용하여 모발의 결을 정리하고 디지털 카메라(E-PL1; Olympus, China)를 사용하여 1 m 거리에서 앞, 뒤, 옆모습을 촬영하여 형태변화를 관찰하였다.

2) 측정 방법

(1) 두상의 영역분할

두상을 정중선과 측중선을 기준으로 4등분 블로킹하였으며, 이때 정중선은 center point (C.P)에서 nape point (N.P) 지점을 연결하는 선이며 측중선은 top point (T.P)에서 ear point (E.P) 지점을 연결하는 선이다(Figure 1).
두상의 영역을 분할하기 위해 T.P에서 B.P까지의 영역을 다시 3등분으로 균등하게 나누었으며, 각각 F-G+2, S-GBMP+1, E-B로 명명하였다(Jang & Jung, 2021). F-G+2는 볼륨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영역이며 S-GBMP+1은 질감과 양감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영역(Kim & Lee, 2017), 그리고 E-B는 형태선의 영향을 주는 영역이다(Hong & Joo, 2015).
첫 번째 가로 분할인 F-G+2는 golden point (G.P)에서 2 cm 위 지점과 front side point (F.S.P)를 연결하여 분할하였다.
두 번째 가로 분할인 S-GBMP+1은 golden back medium point (G.B.M.P)에서 1 cm 위 지점과 side point (S.P)를 연결하여 분할하였다.
세 번째 가로 분할인 E-B는 back point (B.P)와 E.P를 연결하여 분할하였다.
두상의 분할을 중심으로 상단(over zone)과 하단(under zone)으로 나누었으며, 하단부에는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상단부에는 세임 레이어 커트를 적용한 후 A 라인, 평행 라인, V 라인의 슬라이스 라인을 사용하여 헤어 커트하였다.

(2) 모발 길이

모든 작품의 모발 길이는 N.P의 모발을 가이드(guide)로 설정하여 헤어 커트를 진행 하였으며, N.P의 길이는 0°의 자연 시술각을 적용하여 5 cm로 커트하였다(Jung, 2011).

(3) 슬라이스 라인

슬라이스 라인은 A라인, 평행라인, V라인을 사용하였으며, 슬라이스 라인의 폭을 2 cm 로 일정하게 나누어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진행하였다.
A 라인은 back nape medium point (B.N.M.P)와 nape side point (N.S.P)에서 2 cm 위 지점을 연결하는 선을 기준으로 시작하여 상단부로 진행하였다. 단 섹션의 폭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하단부의 첫 번째 섹션은 back nape medium point(B.N.M.P)에서 2 cm 아래 지점과 N.S.P 지점을 연결하여 커트한 후에 가이드에 맞춰 아래쪽을 커트하였다. 이는 섹션을 나눈 영역의 베이스의 폭이 일정하지 않아서 한번 더 나눠 커트하여 비교적 일정하게 맞추기 위한 것이다.
평행 라인은 N.P에서 2 cm 위 지점을 평행으로 나누고 2 cm씩 섹션을 나누며 상단부로 커트를 진행하였다.
V 라인은 N.P를 기점으로 N.S.P에서 5 cm 위 지점을 연결하는 선으로 시작하여 상단부로 진행하였으며, 넓은 섹션에 의한 길이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N.S.P에서 2.5 cm 위 지점을 후경사로 다시 한번 나누어 위 가이드에 맞춰 나머지를 커트하였다. 측두부의 시작점 또한 슬라이스 라인의 폭을 맞추기 위해 S.C.P 지점에서 2 cm 위 지점을 후경사의 경사도와 맞추어 한번 더 나누어 커트하였다.

(4) 시술각도

두상의 영역 분할의 상단부는 두상시술각 90°의 세임 레이어 커트를 하단부에는 두상시술각 45°의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대입하였으며, 모든 작품에 동일하게 적용하여 커트하였다.

2. 헤어 커트 시 두상의 분할과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와 세임 레이어 커트 혼합의 커트형태와 길이 변화

헤어 커트 시에 두상의 영역 분할과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와 세임 레이어 커트 혼합에 따라서 변화되는 커트형태와 길이 변화를 실증하기 위해 두상의 영역을 F-G+2, S-GBMP+1, E-B의 세가지 방법으로 분할하였다. 분할을 중심으로 하단부에는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상단부에는 세임 레이어 커트를 적용하였다.
A 라인, 평행 라인, V 라인의 슬라이스 라인을 두상의 영역에 대입하여 헤어 커트 하였다. 슬라이스 라인의 간격은 2 cm로 일정하게 나누었으며 뒤쪽에서 앞쪽으로 커트를 진행하였으나, V라인의 상단부 첫 섹션은 앞쪽에서 가이드를 취해 측중선 쪽으로 헤어 커트를 진행하였다.
N.P 지점의 모발을 5 cm 길이로 가이드를 설정하였으며, 두상시술각도를 적용하여 슬라이스 라인에 대해 직각으로 빗질한 후 블런트 커트(blunt cut) 하였다.
헤어 커트 후 길이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두상에서 일정한 지점을 선정하여 길이를 측정하였다. 이때 선정된 지점은 top point (이하T.P), nape point (이하 N.P), side corner point (이하 S.C.P), golden back medium point (이하 G.B.M.P), back point (이하 B.P), nape side point (이하 N.S.P), golden point (이하 G.P), center point (이하C.P), ear point (이하 E.P)이다.
헤어 커트가 끝난 후 커트의 형태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드라이기와 롤 빗을 사용하여 모발의 결을 정리하였으며,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앞, 뒤, 옆 모습을 촬영하여 형태변화를 관찰하였다. 모든 작품에 헤어 커트 전개표를 작성하여 커트의 시술 절차를 제시하였다(Jung, 2016).

Results and Discussion

1. 헤어 커트 시 두상의 분할과 A 라인에 따른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와 세임 레이어 커트 혼합의 커트형태변화

1) 두상의 분할과 A 라인에 따른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와 세임 레이어 커트 혼합의 전개표

헤어 커트 전개표는 헤어 디자인의 기획단계로 헤어 디자인의 완성된 결과를 예측하고 시술절차를 작성하여 커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Jung, 2016).
Table 1의 전개표는 두상을 상∙하로 분할한 다음 분할을 기준으로 하단에는 두상시술각 45°의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상단에는 두상시술각 90°의 세임 레이어 커트를 대입하여 헤어 커트할 것이며 전경사를 이용하여 A 라인의 형태선을 만들 것임을 나타낸다. 커트의 길이가이드는 5 cm이며 베이스는 슬라이스 라인에 대해 직각으로 빗어서 커트해서 해당사항이 없다.

2) 두상의 분할과 A 라인에 따른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와 세임 레이어 커트 혼합의 커트형태변화

두상을 상∙하의 영역으로 분할한 후 하단에는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상단에는 세임 레이어 커트를 적용하여 A 라인의 형태로 헤어 커트한 작품의 결과는 Table 2와 같다.
Table 2의 앞모습을 보면 F-G+2에서 E-B로 갈수록 무게감이 사라졌으며 타원형의 실루엣을 형성했다. E-B에서는 거친 질감이 전체적으로 확인되었으며, 측면 옆머리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네이프의 모발이 앞면에서 확인되어 실루엣에 영향을 미쳤다.
옆모습을 보면 F-G+2에서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와 전경사에 의한 볼륨감이 후두부에 나타났다. 또한 거친 질감이 보이며 후두부 상단에 세임 레이어 커트에 의한 가벼움이 확인됐다. S-GBMP+1의 경우 전체적으로 거칠게 보이며 영역의 분할지점을 경계로 하여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의 무게감과 세임 레이어 커트의 가벼움이 뚜렷하게 확인된다. E-B에서는 네이프 부분에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에 의한 볼륨감이 확인되었으며 상단부에 두상과 같은 실루엣이 나타났다. 또한 전체적으로 거친 질감이 확인되며 네이프 부분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가벼운 커트의 형태가 나타났다.
Table 2의 뒷모습을 보면 F-G+2, S-GBMP+1, E-B 모두 전경사의 형태선이 확인된다. 두상영역분할의 경계가 자연스러우며 하단부에는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의 무게선이 확인되나 상단부에는 무게감이 확인되지 않는다. 또한 F-G+2에서 E-B로 갈수록 거친 질감이 많이 보이며 타원형의 실루엣이 관찰된다.
F-G+2, S-GBMP+1, E-B 모두 햄 라인의 모양이 형태선에 그대로 반영되어 나타났는데 이는 Jang & Jung (2021)의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는 A 라인일 때 형태선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2. 헤어 커트 시 두상의 분할과 평행 라인에 따른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와 세임 레이어 커트 혼합의 커트형태변화

1) 두상의 분할과 평행 라인에 따른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와 세임 레이어 커트 혼합의 전개표

Table 3의 전개표는 두상의 분할의 하단에는 45°의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상단에는 90°의 세임 레이어 커트를 적용하여 두상 시술각으로 커트할 것임을 나타낸다. 길이가이드는 5 cm로 설정할 것이며 평행의 커트 방향과 슬라이스 라인을 사용하여 커트할 것임을 계획한 것이다.

2) 두상의 분할과 평행 라인에 따른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와 세임 레이어 커트 혼합의 커트형태변화

두상분할의 하단에는 45°의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상단에는 90°의 세임 레이어 커트를 적용하여 평행 라인으로 헤어 커트한 작품의 결과를 Table 4에 나타냈다.
Table 4에 앞모습을 보면 F-G+2에서 E-B로 갈수록 무게감은 사라지고 가벼운 커트의 형태가 나타났다. 또한 거친 질감이 더욱 증가하였으며, 커트의 실루엣이 두상의 골격과 같이 둥근 형태로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F-G+2, S-GBMP+1, E-B 모두 네이프의 모발이 앞면에서도 확인되며, 이것으로 평행의 슬라이스 라인의 커트에서는 네이프의 커트 형태가 앞면의 실루엣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옆모습을 살펴보면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의 실루엣과 볼륨이 나타났으나, F-G+2에서 E-B로 갈수록 볼륨이 줄어들고 상단부에 적용된 세임 레이어의 형태가 두드러져 보인다. E-B에서는 두상의 골격을 따라 실루엣이 둥글게 나타났으나, 하단부에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의 영향으로 커트의 실루엣이 장방형의 형태를 보인다. 상단부에 적용된 세임 레이어 커트의 영향으로 무게선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햄 라인의 형태가 그대로 형태선에 반영되어 나타났다.
뒷모습을 살펴보면 평행의 형태선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거친 질감이 나타났다. 상단부는 커트선의 연결선이 매끄럽고 무게선이 확인되지 않았는데 이는 90°의 두상 시술각으로 인해 두상의 골격을 따라 자연스럽게 커트 선이 연결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세임 레이어 커트가 골격을 그대로 드러냄과 동시에 자연스러운 단차를 형성한다는 Jang & Jung (2020b)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3. 헤어 커트 시 두상의 분할과 V 라인에 따른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와 세임 레이어 커트 혼합의 커트형태변화

1) 두상의 영역분할과 V 라인에 따른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와 세임 레이어 커트 혼합의 전개표

Table 5의 전개표는 두상의 분할의 하단에는 45°의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상단에는 90°의 세임 레이어 커트를 적용하여 두상 시술각으로 커트할 것임을 나타낸다. 길이는 5 cm로 설정할 것이며, 후경사의 커트 방향과 V 라인의 슬라이스 라인을 사용하여 커트할 것을 계획한 것이다.

2) 두상의 분할과V 라인에 따른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와 세임 레이어 커트 혼합의 커트형태변화

두상분할의 하단에는 45°의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상단에는 90°의 세임 레이어 커트를 적용하여 평행 라인으로 헤어 커트한 작품의 결과를 Table 6에 나타냈다.
Table 6의 앞모습을 보면 F-G+2에서 E-B로 갈수록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의 무거움은 사라지고 세임 레이어 커트에 의한 가볍고 둥근 실루엣이 형성되었다. 또한 세임 레이어 커트의 영역이 넓어짐에 따라 거친 질감이 많이 나타났으며 네이프에 적용된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가 앞면에서도 관찰된다.
옆모습을 보면 F-G+2과 S-GBMP+1에서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가 적용된 하단에는 볼륨에 의한 입체감이 E-B에서 세임 레이어 커트가 적용된 영역은 볼륨이 없고 상대적으로 납작하게 나타났다. 세임 레이어 커트에 의한 무게선은 보이지 않았으며 후두부 쪽으로 갈수록 상단과 하단이 연결되지 않은 디스커넥션 커트(disconnection cut)가 선명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상단부의 길이 가이드가 후두부가 아닌 측두부에서 시작되기 때문이다. 형태선은 햄라인이 그대로 반영되어 나타났으며, E-B에서는 영역분할의 비율이 비슷하고 하단부의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의 영향으로 실루엣이 장방형으로 나타났다.
뒷모습을 보면 슬라이스 라인의 영향으로 V 라인의 형태선과 U 라인의 실루엣을 확인할 수 있으며 거친 질감이 나타났다. 또한 상단과 하단의 커트 선이 서로 연결되지 않은 디스커넥션 커트가 되었으며, 이로 인해 실루엣이 매끄럽지 않다.

4. 헤어 커트 시 두상의 분할과 슬라이스 라인에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와 세임 레이어 커트 혼합의 길이변화

Table 7은 두상을 상단과 하단으로 영역을 분할한 후 A, 평행, V라인의 슬라이스 라인을 적용하여 상단에는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와 하단에는 세임 레이어 커트를 혼합하여 헤어 커트한 후 달라지는 길이변화를 측정하여 표로 나타내었다.
Table 7의 A 라인과 평행 라인에서 단독과 F-G+2를 보면 B.P, G.B.M.P, G.P 가 동일하게 2 cm의 길이 증가를 보였다. 이는 각 지점의 간격이 4 cm의 폭을 가지며 45°의 두상 시술각으로 헤어 커트하였기 때문에 4 cm의 1/2 인 2 cm의 길이로 증가한 것임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N.S.P의 길이와 S.C.P의 길이가 슬라이스 라인에 따라 다르게 측정되었는데 이것은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가 슬라이스 라인의 변화에 따라 형태선에 그대로 반영된다는 Jang & Jung (2021)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A 라인과 평행 라인의 상단부에 적용된 세임 레이어 커트의 길이를 보면 슬라이스 라인의 변화와 상관없이 동일한 길이가 측정되었다. 이것으로 두상 시술각 90°와 온 더 베이스로 커트한 세임 레이어 커트는 슬라이스 라인의 형태와 상관없이 두상을 따라 모두 동일한 길이를 만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V 라인의 F-G+2, S-GBMP+1, E-B를 보면 분할을 중심으로 상단의 길이가 하단의 길이 보다 짧게 측정되었다. 이는 슬라이스 라인이 V 모양으로 되어 상단부의 길이 가이드가 측면에 있기 때문이며, 분할에 따른 가이드의 변화는 상단과 하단이 연결되지 않은 디스커넥션 커트(disconnection cut)를 만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onclusion

본 연구는 헤어 커트 시 두상을 세가지 방법으로 영역을 분할하고 A line, 평행, V line의 세가지 슬라이스 라인을 적용하여 하단에는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 상단에는 세임 레이어 커트를 대입한 후 변화되는 커트의 형태와 길이 변화를 실증하여 헤어 커트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두상의 분할 위치에 따라 커트 형태와 볼륨위치의 높낮이, 볼륨의 크기, 층의 높낮이가 변화하였다. 또한 그에 따라 질감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헤어 커트디자인 설계를 할 때 분할의 위치를 미리 설정할 때 층의 높낮이와 볼륨의 위치를 예측하고 질감의 정도를 가늠하여 헤어 커트디자인에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두상의 분할 하단부에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적용했을 때 슬라이스 라인의 형태와 햄 라인의 모양이 커트의 형태선에 그대로 반영되어 나타났다. 이것으로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에서는 슬라이스 라인과 햄 라인이 형태선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디자인 할 때 햄 라인의 형태를 고려하고 슬라이스 라인이 형태선에 반영될 것을 예측하고 커트를 디자인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영역의 하단에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적용하였을 때 네이프의 커트 형태가 앞면에서의 실루엣에 영향을 미쳤다. 이것은 얼굴형의 단점을 보완하거나 고객이 부드러운 이미지를 요구하는 헤어 커트디자인을 하고자 할 때 하단에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적용하면 만족스러운 커트 디자인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세임 레이어 커트가 적용 된 상단부에는 커트의 무게선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슬라이스 라인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같은 형태의 커트를 만들었다. 이것은 두상 시술각 90°와 온 더 베이스의 세임 레이어 커트는 모발의 겹쳐짐에 의한 무게선을 만들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슬라이스 라인과 상관없이 상단과 하단의 연결선을 부각시키지 않고 커트 실루엣을 자연스럽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무게감 없이 자연스러운 커트 실루엣을 만들고자 할 때는 세임 레이어 커트를 적용하면 원하는 커트 디자인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것으로 두상의 영역분할에 슬라이스 라인을 적용한 후 미디엄 그래주에이션 커트와 세임 레이어 커트를 대입하고 헤어 커트한 후의 커트 형태와 길이 변화를 실증하여 헤어 커트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감각에 의지하던 커트 디자인에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커트 디자인으로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또 다른 커트디자인 요소에 따른 커트스타일의 변화와 그에 따른 창의적인 헤어 커트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NOTES

Author's contribution
SMJ designed, performed experiments, and wrote the manuscript. JWJ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review and writing of the manuscript.
Author details
Seon-Mi Jang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69 Gwangju Yeodae 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Won-Ji Jung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Figure 1.

Segmentation of head regions.

1)F-G+2, front side point - golden point+2cm; 2)S-GBMP+1, side point - golden back medium point+1cm; 3)E-B, ear point - back point ; 4)F.S.P, front side point; 5)G.P+2, golden point+2cm; 6)S.P, side point; 7)G.B.M.P+1, golden back medium point+1cm; 8)E.P, ear point; 9)B.P, back point; 10)C.P, center point; 11)T.P, top point ; 12)N.P, nape point; 13)G.P, golden point; 14)G.B.M.P, golden back medium point; 15)B.N.M.P, back nape medium point; 16)N.S.P, nape side point(Jang & Jung, 2021).
ajbc-19-3-305f1.jpg
Table 1.
A planar diagram of mixing medium-graduation cut and the same layer cut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head and an A-line
Shape Under
Medium-graduation cut
Over Same layer haircut
Length N.P 5 cm
Direction Forward slope
Slice line A Line
Base Not applicable
Angle Under Head angle about 45˚
Over Head angle about 90˚

N.P, nape point

Table 2.
Changes in hair cut shape by mixing medium-graduation cut and the same layer cut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head and an A-line
ajbc-19-3-305i1.jpg

F-G+2, front side point-golden point+2; S-GBMP+1, side point-golden back medium point+1; E-B, ear point-back point; A line, concave line; V line, convex line.

Table 3.
A planar diagram of mixing medium-graduation cut and the same layer cut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head and a parallel
Shape Under
Medium-graduation cut
Over Same layer cut
Length N.P 5 cm
Direction Parallel
Slice line Parallel Line
Base Not applicable
Angle Under Head angle about 45˚
Over Head angle about 90˚

N.P, nape point.

Table 4.
Changes in hair cut shape by mixing medium-graduation cut and the same layer cut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head and a parallel
ajbc-19-3-305i2.jpg

F-G+2, front side point-golden point+2; S-GBMP+1, side point-golden back medium point+1; E-B, ear point-back point; A line, concave line; V line, convex line.

Table 5.
A planar diagram of mixing medium-graduation cut and the same layer cut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head and a V-line
Shape Under
Medium-graduation cut
Over Same layer cut
Length N.P 5 cm
Direction Rear Slope
Slice line V Line
Base Not applicable
Angle Under Head angle about 45˚
Over Head angle about 90˚

N.P, nape point

Table 6.
Changes in hair cut shape by mixing medium-graduation cut and the same layer cut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head and a V-line
ajbc-19-3-305i3.jpg

F-G+2, front side point-golden point+2; S-GBMP+1, side point-golden back medium point+1; E-B, ear point-back point; A line, concave line; V line, convex line.

Table 7.
Hair length changes in shape of the combination of a medium-graduation cut and the same layer cut according to head region segmentation
Shape N.P N.S.P E.P S.C.P B.P G.B.M.P G.P T.P C.P
A line ONE 5.0 7.5 13.0 12.5 9.5 11.5 13.5 17.5 17.5
F-G+2 5.0 7.5 12.5 12.0 9.5 11.5 13.5 14.5 14.5
S-GBMP+1 5.0 7.5 12.5 12.0 9.5 11.5 12.0 12.0 12.0
E-B 5.0 7.5 9.5 9.5 9.5 9.5 9.5 9.5 9.5
Parallel ONE 5.0 5.0 9.5 8.5 9.5 11.5 14.0 17.5 17.5
F-G+2 5.0 5.0 9.5 8.5 9.5 11.5 13.5 14.5 14.0
S-GBMP+1 5.0 5.0 9.5 8.5 9.5 11.5 12.0 12.0 12.0
E-B 5.0 5.0 9.5 9.5 9.5 9.5 9.5 9.5 9.5
V line ONE 5.0 4.5 7.5 4.5 9.5 11.5 13.5 17.5 17.5
F-G+2 5.0 4.5 7.5 4.5 9.5 11.5 13.5 9.5 9.5
S-GBMP+1 5.0 4.5 7.5 4.5 9.5 11.5 8.0 8.0 8.0
E-B 5.0 4.5 7.0 5.0 9.5 7.0 7.0 7.0 7.0

F-G+2, front side point - golden point+2cm; S-GBMP+1, side point - golden back medium point+1cm; E-B, ear point - back point ; N.S.P, nape side point; E.P, ear point; B.P, back point; C.P, center point; T.P, top point ; N.P, nape point; G.P, golden point; G.B.M.P, golden back medium point ; S.C.P, side corner point.

References

Han JS, Youn CS. A study on analysis of hair cut line based on the Pythagorean theorem: focused on overdirection. Journal of Beauty Industry 2: 53-74. 2007.

Hong SH, Joo YB. 7-Section&Zone for scalp division used in cutting hair.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Beauty and Art 16: 203-211. 2015.

Jang SM, Jung WJ. Shape changes duo to the slope of the forward slope slice line in graduation haircut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7: 211-221. 2019a.
crossref
Jang SM, Jung WJ. Shape change according to the mixing of forward and rear slope slice lines in graduation haircut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7: 375-385. 2019b.
crossref
Jang SM, Jung WJ. Changes in shape of the combination of a one-length cut and a medium-graduation cut according to segmentation of head regions and slice line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8: 221-233. 2020a.
crossref
Jang SM, Jung WJ. Changes in haircut shape by mixing a one-length haircut and same layer haircut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head and slice lines during hair cutting.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8: 559-570. 2020b.
crossref
Jang SM, Jung WJ. Changes in haircut shapes by mixing medium-graduation haircut and one length haircut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head and slice lines during hair cutting Ⅰ.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9: 183-194. 2021.
crossref
Jeong IS, So YJ. The influence of vidal sassoon and pivot point education on the style shape of hair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4: 65-73. 2008.

Jung WJ. An empirical study of the graduation cut on the basic haircut. Journal of Beauty Industry 10: 47-62. 2016.

Jeon SJ, Kang SY. A study on creative idea of hair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8: 33-57. 2007.

Jung WJ, Youn CS. Factors of form change by hair-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4: 893-899. 2008.

Jung WJ. Form change of hair style in relation with hair length, base, and angle in A-line hair-cut.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7: 197-205. 2011.
crossref
Jung WJ, Kim CI. An empirical study on the mixed style of isadora bob cut and graduation cut. Journal of Beauty Industry 11: 37-53. 2017.

Kim SH. A study on hair style changes by changes in the volume of hair cut blocks, hair length and section line in hair cut: focusing on one length cut and increase layered 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2: 1341-1351. 2016.

Kim SH. A study on form changes of hair styles after adjustment in hair cut section line and combination position: focusing on graduation haircut and increase layer hair 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1: 1173-1181. 2015.

Kim HM, Lee JS. A study on the male hair cut section divi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 811-823. 2017.

Kwon OH, Park EJ, Chung SM, Kim KY. Investigation into perception and necessity of hair length’s standard point in hair cut education.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6: 131-139. 2010.
crossref
Kim HE, Ju YY. Hairdressing retaining and satisfaction with retraining institutions: focused on pivot point, vidal sassoon, and tony & guy.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8: 133-141. 2014.

Moon SJ, Jung WJ. Changes in form line and length in accordance with inclination of slice line in one-length 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 743-751. 2018.

Park SK, Yang MS. A study hair design focus on layer, graduation's form control.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1: 19-26. 2007.

Son HM. The study of haircut trends on structure graphics: based on from 1997 to 2004 the PIVOT POINT design foru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3: 149-167. 2012.

Editorial Office
No. 1505, 1506, 3rd Ace High-End Tower, 145, Gasan digital 1-ro, Geumcheon-gu, Seoul 08506, Korea
TEL: +82-2-6957-8155   FAX: +82-502-770-2278   E-mail: ajbc.edit@e-ajbc.org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