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Asian J Beauty Cosmetol > Volume 20(2); 2022 > Article
미용복지서비스품질이 노인 심리적행복감과 자아실현감에 미치는 영향

요약

목적

본 연구는 노인 미용 복지서비스 품질이 노인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고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효과적으로 미용 복지서비스를 노인들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본 연구는 논산 및 충청남도에서 노인 맞춤 돌봄 서비스를 받는 노인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22일-12월 5일(2주간)간 설문조사를 하였고, 최종 329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상관관계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첫째, 미용복지서비스의 보증성은 노인의 심리적행복감과 자아실현감에 통계학적유의한(p<0.05)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복지서비스의 유형성은 노인의 심리적 행복감과 자아실현감에 통계학적 유의한(p<0.05)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복지서비스의 기술적특성은 노인의 심리적행복감과 자아실현감에 통계학적유의한(p<0.05)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노인을 위한 미용복지서비스품질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노인의 심리적행복감과 자아실현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미용복지서비스 품질의 보증성과 유형성, 기술적 특성이 노인의 심리적 행복감과 자아실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effects the quality of beauty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has on the psychological happiness of the elderly and have the government or a local self-governing body effectively provide the elderly with beauty welfare service.

Method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2 to December 5 (2 weeks), 2021 for the elderly receiving elderly customized care services in Nonsan and Chungcheongnam-do, and the final 329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As for the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Results

As a result of conducting this study, first, the guarantee of beauty welfare service was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influence on the elderly’s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elf-realization. Second, the tangibility of beauty welfare service was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influence on the elderly’s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elf-realization. Thir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beauty welfare service were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influence on the elderly’s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elf-realization.

Conclu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the quality of beauty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has on the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elf-realization of the elderly who are provided with the service. The study found that the guarantee, tangibility,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quality of beauty welfare service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lderly’s psychological happiness and self-realization.

中文摘要

目的

探讨老年人美容福利服务质量对老年人心理幸福感的影响,并让政府或地方自治团体有效地为老年人提供美容福利服务。

方法

本研究于2021年11月22日至12月5日(2周)对论山和忠清南道接受老年定制护理服务的老年人进行调查,最终329份用于分析。在分析方法上,通过频数分析来识别一般特征,通过因子分析和信度分析来分析测量工具的效度和信度,通过相关分析来识别自变量和因变量之间的相关性。

结果

本研究结果显示,第一,美容福利服务保障对老年人心理幸福感和自我实现有显着影响(p<0.05)。其次,美容福利服务的有形性对老年人的心理幸福感和自我实现有统计学意义(p<0.05)的影响。第三,美容福利服务技术特征对老年人心理幸福感和自我实现有显着影响(p<0.05)。

结论

本研究探讨老年美容福利服务质量对接受服务的老年人心理幸福感和自我实现的影响。研究发现,美容福利服务质量的保障、有形、技术特征对老年人的心理幸福感和自我实现有显着影响。

Introduction

의료 및 과학기술의 발달, 생활환경의 발전, 개인 소득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평균수명이 연장되면서 세계 곳곳에서 노령 인구수와 노령 인구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더구나 전체 인구 중 노인층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면서 고령화 문제가 사회 전반적인 문제로 이슈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빈곤층, 교독사율 증가 노인층의 사회적소외감 등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어떠한 미용복지서비스를 제공해야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효율적으로 복지서비스를 운영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향상을 야기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국제연합(UN)보고서에 의하면, 한 나라 총 인구 중 65세 이 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을 고령화 사회, 14%이상을 고령사회, 20% 이상을 후기 고령사회 혹은 초 고령화 사회라고 한다(Lee & Kwon, 2020). 저 출산이 전 세계적인 현상이 되고 있듯, 고령화 현상도 세계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고령화 사회, 초 고령 사회라고 할 때 이러한 엄격한 의미의 인구의 상대적 비율에 따라 용어를 정의하기 보다는 고령자 인구의 상대적인 비율이 높은 사 회라고 정의하는 데에 그 의미를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의미에서 한국은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노년인구의 비율이 지난 2000년에 7.2%를 기록하여 고령화 사회에 진입을 하였으며, 고령인구 구성비는 2015년 12.8%에서 빠르게 증가하여 2026년 20%, 2037년 30%, 2058년 40%를 초과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Park, 2018a). 고령화사회는 산업화와 더불어 평균 연령은 증가하여 노인의 수는 증가하면서 생긴 자연스런 현상이다. 하지만 이에 반하여 핵가족화 현상이 심화되고, 산업 구조의 변화에 따른 노인의 사회적, 경제적 지위가 저하되며, 대가족제도의 붕괴로 인한 노인의 권위가 상실됨에 따라 노인 문제가 커다란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면서 개호복지, 미용복지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의료나 간호와 비교해 아직은 열악 하지만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노인복지 정책에 대한 사회적 욕구, 즉 사람들의 기대와 요구는 급속하게 높아지 고 있음을 감안할 때 이에 대한 제도화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기라고 여겨진다.
또한 우리나라가 복지사회로 거듭날수록 미용과 복지가 하나 되는 이른바 '미용복지'영역이 확대될 필요가 있으며, 그에 따른 관련 전문가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 예상된다(Rhie & Lee, 2018). 미용 복지란 인간의 외모를 아름답게 가꾸는 예술적이고 응용과학인 미용을 통해 인간이 누릴 수 있는 최상의 복된 상태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행 위로 정의할 수 있다. 미용복지라는 용어는 일본 야마노 미용대학에서 1999년 미용복지학과를 개설, 소개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정확한 시기 없이 미용 자원봉사와 함께 미용복지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미용 복지(beauty welfare)란 미용과 복지의 합성어로 일반적으로 미용의 사전적 의미는 "얼굴이나 머리 등을 아름답게 매만지는 일"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미용사법에는 미용을 "퍼머넌트 웨이브•결 발•세발•염 발•두피처리•매니큐어•미안술 및 화장 등의 방법에 의하여 용모를 아름답게 하는 것이며, 크게 나누면 두부기술, 미장 기술, 전신 미용 등이 있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복지의 사전적 의미는 "좋은 건강, 윤택한 생활, 안락한 환경들이 어우러져 행복을 누릴 수 있는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사회복지학에서는 "높은 삶의 질이 보장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Park & Do, 2018). 미용복지는 미용(beauty)과 케어(care)를 통해 모든 사람이 아름답고, 풍부하고, 여유있는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Park, 2018a).
미용 복지의 필요성을 서비스를 받는 수요자의 입장에서 보면 보호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에게는 노화나 질병 등으로 제한적인 생활을 하기 이전의 평범함 삶에서 받았던 미용서비스를 복지의 개념으로 미용복지서비스를 받게 된다면 이전 삶과의 동질성을 회복함으로써 정서적 만족감을 느낄 것으로 생각된다(Lee & Won, 2009). 미용복지서비스는 일상생활에서 타인에게 의지하거나 의뢰해야만 하는 노인들에게 있어 성취감과 즐거움을 시사하는 기회가 될 것이며, 궁극적으로 자신의 가치와 자신감을 향상시켜주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Park & Lee, 2017).
Park (2018b)은 초고령사회에 따른 미용복지의 제도적 방안에 관한 연구에서 노인복지 중 미용복지사 양성 및 미용복지제도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면서 정부의 적극적인 예산 지원과 정책적인 뒷받침을 주장하였으며, Choi et al. (2018)은 노인의 미용복지서비스 이용실태 및 활성 화 방안에 관한 연구에서 노인의 건강증진과 여가를 유용하게 보내기 위해서는 경로당과 노 인복지관 이용이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전문적인 미용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미용복지서비스품질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심리적 행복이란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때 경험하는 생활에 대한 만족감이다(Ahn, 2019). 심리적 행복감은 일상생활을 구성하는 활동으로부터 자신의 생활에 대한 의미와 책임감, 목적의 성취 등을 느끼며 긍정적인 자아상을 가지고 자신의 가치를 느끼며 낙천적이고 긍정적인 태도와 감정을 유지하는 것이다(Lee & Choi, 2019). 인간은 심리적으로 안정이 되었을 때에 행복감을 느낀다. 심리적 행복감은 개념적으로는 다양한 분야에서 명확한 정의나 구별 없이 주관적 삶의 질, 혹은 심리적 안녕감(well-being), 주관적 행복감(subjective happiness) 등과 거의 같은 개념으로서, 생활 속에서의 만족과 기쁨으로 나타날 수 있는 심리적 안정을 경험하는 상태로 정의한다.
심리적 행복감을 구성하는 요소는 학자에 따라 조금씩 견해가 다르다. Ha & Lee (2014)는 자아실현감, 자신감, 몰입 감, 쾌락적 즐거움 등 4가지를 제시한다. Kang & Kim (2012)는 편안함, 만족감, 활력, 쾌감, 즐거움, 행복감 등 6가지의 구성요소로 심리적 행복감을 설명한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행복감의 구성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한 Kang & Kim (2012)의 견해를 따른다. Lee & Kang (2010) 노인을 위한 미용 프로그램은 정신적, 심리적, 사회 적 긍정적인 정서의 변화, 자아존중감 등에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하지만 선행연구들은 수도권중심의 노인들에게 연구가 집중되어 있었고 미용복지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으로 본 연구는 보다 소외된 지방 소도시 노인들에게 미용복지서비스품질이 이들의 심리적행복감과 자아실현감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여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이처럼 노인대상 미용복지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노인 복지서비스품질의 조사가 미비하고 미용복지에 관한 연구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지방 소도시의 미용복지서비스와 미용복지서비스품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 본 연구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제공하는 미용복지서비스품질이 노인의 심리적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기로 한다. 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65세이상의 자격을 갖춘 대상자에게 노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정부의 보조금을 통하여 지자체에 소속된 생활지원사들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노인 돌봄 서비스 안에는 손발마사지, 목욕서비스 및 손발톱관리, 이발서비스가 포함되어 있으며 주 3-5회 방문서비스를 기본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생활지원사가 제공하는 미용복지서비스의 기술적, 보증 적, 유형적 품질이 노인의 자아실현감과 심리적행복감에 상호 상관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한 변인들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이다. 또한 연구목적으로는 미용복지서비스품질과 대상자의 심리적만족도를 연구함으로써 미용복지서비스를 받는 대상자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방자치단체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효율적인 서비스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Method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1) 연구대상

표본집단으로는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예산으로 생활지원사들에게 노인 미용 돌봄 서비스를 받는 65세이상에서 90대이상 인자를 선정하였고, 연구대상으로는 논산 및 충청남도에서 노인 미용 돌봄 서비스를 받는 65세 이상 노인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2) 조사방법

논산시 노인 돌봄 센터에 근무중인 200명의 생활지원사를 통해 65세 이상의 노인들에게 설문 전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충분하게 설명하고 조사원 기입식의 설문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3) 자료수집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11월22일-12월5일(2주)간 실시하였으며 최초 400부를 배포하여 362부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응답과 누락된 자료 총 33부를 제외하고 최종 329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4) 연구모형 및 가설

미용복지서비스품질이 노인 심리적행복감과 자아실현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Figure 1과 같은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가설 1. 노인 미용 복지서비스는 자아실현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1-1. 노인 미용 복지서비스의 보증성은 자아실현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1-2. 노인 미용 복지서비스의 유형성은 자아실현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1-3. 노인 미용 복지서비스의 기술적 특성은 자아실현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노인 미용 복지서비스는 심리적 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2-1. 노인 미용 복지서비스의 보증성은 심리적 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2-2. 노인 미용 복지서비스의 유형성은 심리적 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2-3. 노인 미용 복지서비스의 기술적 특성은 심리적 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노인의 자아실현감은 심리적 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노인 미용 복지서비스와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아실현감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2.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IBM,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고, 측정의 구성 타당도 확인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변수들의 내적 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Cronbach's α 검증을 통해 신뢰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상관관계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의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Results

1.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조사대상자 총 329명 중 여성이 294명(89.4%)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세대 구성은 독거 244명(74.2%), 배우자 및 가족들과 함께 거주 85명(25.8%)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80대 이상이 277명(84.1%), 그리고 주거 형태는 자가가 275명(83.6%)으로 전체 연구대상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29명(69.6%)이 기초생활수급자, 중졸이상의 학력이 176명(53.5%)으로 나타났다.

2.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요인추출모델로는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통해 직각회전(Varimax rotation)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신뢰도 평가는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한 내적 일관성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1) 노인미용복지서비스

노인미용복지서비스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KMO 표준적합도는 0.881로 나타났으며, Bartlett 구형 성 검정결과 χ2=1541.506, p<0.001로 나타났으며, 전체 요인 값은 모두 0.634이상으로 보여 각 요인의 타당성이 보장되고 있고 있으며,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는 보증 성 0.843, 유형성 0.811, 기술적 특성 792으로 나타나 적정 수준의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자아실현감

자아실현감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KMO 표준적합도는 0.878로 나타났으며, Bartlett 구형 성 검정결과 χ2=1095.540, p<0.001로 나타났으며, 전체 요인 값은 모두 0.710이상으로 보여 각 요인의 타당성이 보장되고 있고 있으며,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는 0.869로 나타나 적정 수준의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심리적 행복감

심리적 행복감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KMO 표준적합도는 0.821로 나타났으며, Bartlett 구형 성 검정결과 χ2=593.258, p<0.001로 나타났으며, 전체 요인 값은 모두 0.710이상으로 보여 각 요인의 타당성이 보장되고 있고 있으며,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는 0.853로 나타나 적정 수준의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노인미용복지서비스와 자아실현감, 심리적 행복감 간의 상관관계

노인 미용 복지서비스, 자아실현감, 심리적 행복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Table 5와 같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 분석은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으로 본 논문의 가설검증에 앞서 분석에 사용된 구성 개념들 간에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노인 미용 복지서비스의 하위요인인 보증 성, 유형성, 기술적 특성은 상호간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r=0.424-0.493, p<0.01), 또한 각 하위요인은 자아실현감(r=0.466-0.507, p<0.01)과 심리적 행복감(r=0.407-0.540, p<0.01)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실현감은 심리적 행복감과도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0.556, p<0.01).

4. 연구가설의 검증결과

노인미용복지서비스가 자아실현감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Baron & Kenny (1986)가 제안한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통하여 노인 미용 복지서비스와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아실현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노인미용복지서비스를 독립변수로 하고 자아실현감을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회귀식은 adj.R2=0.239, F=104.624, p<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노인 미용 복지서비스는 자아실현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314, p<0.001).
노인미용복지서비스와 심리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실현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 결과, 1단계, 2단계, 3단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2단계에서의 노인 미용 복지서비스의 효과(β=0.301, p<0.001)가 3단계 노인 미용 복지서비스의 효과(β=0.192, p<0.001)보다 크게 나타났다.) 또한 자아실현감을 통제한 상황에서 노인 미용 복지서비스의 회귀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인 미용 복지서비스와 심리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실현감의 매개효과가 유의미를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수행한 결과, Z=4.3352, p<0.001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자아실현감이 심리적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주는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도출했다. 따라서 노인 미용 복지서비스와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아실현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Conclusion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을 위한 미용복지서비스품질이 서비스를 제공받는 노인의 심리적행복감과 자아실현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미용복지서비스 품질의 보증성과 유형성, 기술적 특성이 노인의 심리적 행복감과 자아실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복지서비스의 보증성은 노인의 심리적행복감과 자아실현감에 통계학적유의한(p<0.0.5)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복지서비스의 유형성은 노인의 심리적행복감과 자아실현감에 통계학적유의한(p<0.0.5)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복지서비스의 기술적특성은 노인의 심리적행복감과 자아실현감에 통계학적유의한(p<0.0.5)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는다. 첫째, 표본의 대표성 문제이다. 본 연구를 위한 표본을 논산에 거주중인 노인 돌봄 서비스를 받는 대상자를 일부로 한정하여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생각된다. 둘째, 복지서비스품질 요인으로 서비스보증성, 유형성, 기술적 특성요인으로 총 17개 문항, 자아실현감 10문항으로 노인의 심리적 행복감을 살펴보았으나, 이를 통한 연구 결과는 한정적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결과가 기준 선행 연구결과와 동일한 결과이면서 대상자의 자아실현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이직 노인의 심리적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추후 노인 대상의 미용복지서비스개선 및 노인들의 심리적만족도에 대한 관심 및 개선의지를 높을 수 있는 방향으로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설의 검증 결과 노인 미용 복지서비스와 심리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실현감의 매개효과가 유의미를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수행한 결과, Z=4.3352, p<0.001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는 자아실현감이 심리적행복감에 정(+)의 영향을 주는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도출했다. Lee & Kang (2010) 의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결과가 도출되었고 노인을 위한 미용 프로그램은 정신적, 심리적, 사회적 긍정적인 정서의 변화, 자아존중감 등에 효과적이고 생활지원사가 제공하는 미용복지서비스 품질은 노인의 심리적행복감에 매개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추후 노인 대상의 미용복지서비스개선 및 노인들의 심리적만족도에 대한 관심 및 개선의지를 높을 수 있는 방향으로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한성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과제 임.

NOTES

Author's contribution
JHP designed all experimental investigations and wrote the manuscript. OHK oversaw the project, and contributed to all aspects of analysis and experimental design.
Author details
Jong Hyun Park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Beauty Design Management, Hansung University, 116 Samseongyo-ro, 16-gil, Seongbuk-gu, Seoul 02876, Korea; Oh Hyeok Kwon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Design Management, Hansung University, 116 Samseongyo-ro, 16-gil, Seongbuk-gu, Seoul 02876, Korea.

Figure 1.

Research model.

ajbc-20-2-251f1.jpg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tems Content Frequency Percentage (%)
Gender Male 35 10.6
Female 294 89.4
Household configuration Singles 244 74.2
With spouse 81 24.6
Family (3 or more) 4 1.2
Age 60s 13 4.0
70s 39 11.9
Over 80s 277 84.1
Housing type Self 275 83.6
Others (charter, rent, etc.) 54 16.4
Final academic background Junior high school and below 153 46.5
Junior high school and above 176 53.5
Total 329 100.0
Table 2.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elderly beauty welfare services
Category Factors Load value Eigenvalues Cronbach’s α
Variance (%)
Cumulative (%)
Warranty The volunteer’s attitude is courteous and friendly. 0.821 2.680 0.843
The volunteer provides enough explanation about the service. 0.802 26.904
The volunteer has specialized knowledge of the service. 0.682 26.904
Tangibility There is plenty of parking space available. 0.801 2.256 0.811
The facility is clean and well-organized. 0.794 22.562
The volunteer’s attire gives a good impression. 0.651 49.466
Technical characteristic The beauty service is provided to enable easy self-management. 0.827 2.206 0.792
The volunteer’s beauty skills are professional. 0.795 22.058
I feel calm and comfortable when receiving the service. 0.634 71.524
Table 3.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self-actualization
Category Factors Load value Eigenvalues Cronbach’s α
Variance (%)
Cumulative (%)
My needs are met when I’m receiving the service. 0.797
I feel greater satisfaction with the beauty service than other services. 0.790
I feel like I can express myself through the beauty service. 0.779 5.987
I can discover my true self through the beauty service. 0.757 54.438 0.869
I feel a strong emotion of being alive when I’m receiving the beauty service. 0.745 54.438
I think positively after receiving the service. 0.738
I gain self-confidence that I can do things well. 0.710
Table 4.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psychological happiness
Category Factors Load value Eigenvalues Cronbach’s α
Variance (%)
Cumulative (%)
I gain self-confidence that I can do things well. 0.810 0.853
I forget about complicated problems in everyday life after receiving the beauty service. 0.775 3.482
I’m unaware of the time passing by when I’m receiving the beauty service. 0.765 58.018
I feel happy after receiving the beauty service. 0.764 58.018
My mind is at ease after receiving the beauty service. 0.737
I feel joyful after receiving the beauty service. 0.710
Table 5.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elderly beauty welfare services, self-actualizat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Senior beauty welfare services
Self-actualization Psychological happiness
Warranty Tangibility Technical characteristics
Elderly beauty welfare services Warranty 1
Tangibility 0.445** 1
Technical characteristics 0.424** 0.493** 1
Self-actualization 0.507** 0.495** 0.466** 1
Psychological happiness 0.407** 0.540** 0.476** 0.556** 1
M 3.77 3.73 3.63 3.64 3.67
S.D. 0.739 0.676 0.662 0.782 0.604

M, mean; S.D., standard deviation;

** p<0.01.

Table 6.
Impact of elderly beauty welfare services on self-realization
Non-standardization coefficients
Standardization coefficient
t p
Warranty S.E β
(constant) 2.518 0.188 13.369 0.000
Elderly beauty welfare services 0.302 0.051 0.314 5.985 0.000
adj. R2=0.239, F =104.624, p<0.001

Dependent variable: self-actualization.

Table 7.
Mediating effect of self-actual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beauty welfare service and psychological happiness
Level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Non-standardization coefficients
Standardization coefficient
adj. R2 F
B S.E. β
1 Elderly beauty welfare services Self-actualization 0.302 0.051 0.314 0.239 104.624***
2 Elderly beauty welfare services Psychological happiness 0.318 0.056 0.301 0.263 108.863***
3 Elderly beauty welfare services Psychological happiness 0.202 0.055 0.192 0.195 40.733***
Self-actualization 0.381 0.057 0.348

*** p<0.001.

References

Ahn BW. Investigating the mediation effect of leisure satisfaction on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ttitude and psychology happiness. Journal of Arts, Humanities and Social Convergence Multimedia 9: 725-733. 2019.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 1986.
crossref pmid
Choi SJ, Kim SH, Choi EM. Study on the status and needs of beauty welfare in welfare facilities to train beauty care social workers. Health and Wellness 20: 93-110. 2018.
crossref
Ha SR, Lee KE. The relationships among leisure attitude, leisure ident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professional athletes.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38: 86-101. 2014.

Kang DH, Kim DK. Effect of service encounter & service quality of taekwondo gyms to customer satisfaction & intention for re-registration.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1: 821-833. 2012.

Lee MY, Won JJ, Choi KH. The use and activating scheme of beauty welfare volunteering-focusing social welfare specialis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5: 1499-1507. 2009.

Lee HJ, Kang MJ. Effects of a beauty therapy program on blood stress hormone of demented eld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ke-up Design 6: 99-111. 2010.

Lee HS, Kwon SH. Problems in the welfare system of the elderly in the ultra-aging society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The Journal of Labor Law 50: 1-29. 2020.

Lee SH, Choi YD. The effects of wellness perception on elderly's psychological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erobic Exercise 17: 25-35. 2019.

Park S, Lee K. A study on at-home beauty service of elderly institution resident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2: 335-355. 2017.
crossref
Park SY. The effects of health-related factors and social networks on depressive symptoms in elderly men and wome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8: 154-190. 2018.

Park S. A study on use characteristics and vitalization suggestions for beauty service of elderly institution residents: focusing on a long-term care hospital.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atal Welfare 73: 241-267. 2018b.
crossref
Park EJ, Do JY. A study on the necessity of cosmetology welfare in the era of the aging socie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9: 105-119. 2018.

Rhie SJ, Lee SH. Status of beauty welfare service usage by the elderly and their life satisfation.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4: 481-488. 2018.

Editorial Office
No. 1505, 1506, 3rd Ace High-End Tower, 145, Gasan digital 1-ro, Geumcheon-gu, Seoul 08506, Korea
TEL: +82-2-6957-8155   FAX: +82-502-770-2278   E-mail: ajbc.edit@e-ajbc.org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