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관련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of Beauty-Related Workers

工作压力对美容相关工作者工作满意度和生活质量的影响

Article information

Asian J Beauty Cosmetol. 2021;19(4):583-594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1 December 29
doi : https://doi.org/10.20402/ajbc.2021.0217
Department of Beauty Care, Tongmyong University, Busan, Korea
김애경
뷰티케어학과, 동명대학교, 부산, 한국
Corresponding author: Ae-Kyung Kim, Department of Beauty Care, Tongmyong University, 428 Sinseon-ro, Nam-gu, Busan 48520, Korea Tel.: +82 51 629 3542 Fax: +82 51 621 7714 Email: yeskak@daum.net
Received 2021 August 30; Revised 2021 November 9; Accepted 2021 December 10.

Abstract

목적

이 연구에서 뷰티관련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았다.

방법

뷰티관련종사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358부를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요인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선형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결과는 성별은 여성이, 결혼여부는 미혼, 연령은 20-29세, 학력은 대학과정 중 및 졸업, 직무유형은 헤어, 월평균소득은 200만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삶의 질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별로 직무만족 및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만족은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직무스트레스의 역할 관련 스트레스, 가정관련 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의 관계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대인관계 스트레스, 보상관련 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

티관련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관리를 통해 뷰티관련종사자의 직무만족 및 삶의 질을 증대시키기고 직무스트레스 요인별 관리를 위해 뷰티관련 사업장의 형태에 맞는, 고객 응대 및 직장 상사와의 업무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매뉴얼 제작이 도움이 될 것이다.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of beauty-related work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beauty-related workers, and 358 survey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Analysis methods included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respondents were generally female, unmarried, 20–29 years old, had college or graduate school education, were hairdressers, and had a monthly average income of less than 2 million won. Second, the analysi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s between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for each sub-factor of job stress.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Third, job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related stress, home-relat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tress, reward-related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job stress is full mediation.

Conclusi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beauty-related workers’ job stress improves their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Therefore, for managing each job’s stress factor, creating a manual appropriate to that type of beauty-related workplace will be helpful.

Trans Abstract

目的

本研究调查了工作压力对美容相关工作者的工作满意度和生活质量的影响。

方法

从美容相关工作者中收集数据,使用SPSS WIN 21.0程序对358份调查问卷进行分析。分析方法包括因子分析、描述性统计、相关分析、线性回归分析和中介回归分析。

结果

首先,从调查对象的一般特征结果来看,受访者一般为女性、未婚、20-29 岁、大学或大学毕业、美发师、月均收入低于 200 万韩元出现最高。其次,对工作压力、工作满意度和生活质量之间的描述性统计和相关性的分析表明,工作压力的每个子因素都与工作满意度和生活质量之间存在统计学上显着的负相关。发现工作满意度与生活质量具有统计学上显着的正 (+) 相关性。第三,工作满意度在工作压力与生活质量之间的关系中的中介检验结果显示,工作压力的角色相关压力、家庭相关压力和生活质量之间的关系中起部分中介作用;人际关系压力、奖励相关压力和工作压力的生活质量之间的关系是完全中介的。

结论

美容相关工作者工作压力的有效管理提高了他们的工作满意度和生活质量。因此,对于管理每项工作的压力因素,创建适合该类型与美容相关的工作场所的手册将很有帮助。

Introduction

현대는 산업 환경의 변화로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으며, 효율적인 인적 자원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급속한 사회변화로 인한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는 급격하게 증가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직장인의 산업구조 및 환경의 변화로 생산성 증대와 매출 증가에 대한 압박을 받고 있다. 특히, 뷰티산업은 고객과의 접점이 중요시되고, 고객을 대상으로 테크닉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징으로 인적자원의 의존도가 매우 높은 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Cho & Kang, 2016). 그래서 뷰티서비스업의 특성상 관련 종사자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Park & Park, 2017). 그러므로 뷰티관련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를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관계갈 등, 물리환경, 조직체계, 직무불안정 등과 연관성이 있다(Ki & Back, 2021). Kim & Ji (2019)의 연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를 조직에서의 업무, 대인관계, 보상, 가정관련 요인의 불균형으로 인한 마찰로 생리적, 심리적 불균형으로 정의하고 있다. Chang et al. (2005)은 직장에서 직무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인간관계, 업무과중, 업무 자율성의 부재, 역할의 모호성, 부적절한 보상, 비권위적인 직장문화 등과 같은 직업적인 특성에서 직무스트레스가 주요 위험 요인으로 인식된다고 하였다. 그래서 Choi et al. (2019)직무스트레스를 일으키는 다양한 문제에 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근로자지원프로그램을 도입할 것을 촉구하기도 하였다. 뷰티관련종사자의 직무관련 만족도인 경우는 조직의 공정성이 영향을 미치며(Kim & Ji, 2020), 부정적 리더십이 직무만족도에 상관성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Lym & Lee, 2013; Kim, 2021). 뷰티관련종사자는 급여를 위한 직업이 아닌 자신이 사회에서 어떤 일을 독립적으로 서비스함으로써 자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것, 자신의 일을 함으로써 인정받는 것, 동료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직무만족도가 높아진다(Kim, 2021). 삶의 질은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행정, 정책, 경영, 경제 등 다양한 연구자들의 관심 주제이며(Kim et al., 2014), 여드름이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Im et al., 2018)와 개인과 조직 뿐 만 아니라 국가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하였다(Kim & Park, 2014). 뷰티관련종사자의 삶의 질도 직무스트레스와 외적, 내적으로 밀접하게 연관성이 있다. 직무스트레스를 받으면 삶의 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업무의 방식을 달리하거나 근무 문화 개선을 통해 삶의 질을 도모해야 한다(Kim & Ji, 2019). 뷰티관련종사자의 삶의 질도 직무스트레스와 외적, 내적으로 밀접하게 연관성이 있다. 직무스트레스를 받으면 삶의 질이 떨어지기 때문에 업무의 방식을 달리하거나 근무 문화 개선을 통해 삶의 질을 도모해야 한다(Kim & Ji, 2019). 뷰티관련종사자는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직군 임에도 산업적, 사회적 관심이 낮고 관련 연구가 미흡함으로, 이 연구에서 뷰티관련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Methods

1. 연구모형 및 가설

뷰티관련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및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Figure 1와 같은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Figure 1.

Research model.

가설1. 뷰티관련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1-1. 역할관련 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1-2.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1-3. 보상관련 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1-4. 가정관련 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뷰티관련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1. 역할관련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2.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3. 보상관련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4. 가정관련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뷰티관련종사자의 직무만족은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직무만족은 뷰티관련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가설4-1. 직무만족은 역할관련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가설4-2. 직무만족은 대인관계관련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가설4-3. 직무만족은 보상관련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가설4-4. 직무만족은 가정관련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2. 자료 분석 방법

이 연구는 뷰티관련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및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피부, 헤어, 메이크업 등의 뷰티관련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2021년 2월 22일부터 3월 19일까지 총 412부가 수집되었고,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한 358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설문지 문항은 일반적 특성 7문항, 직무스트레스 16문항, 직무만족 4문항, 삶의 질 7문항으로 총 3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성별, 결혼여부, 연령, 학력, 분야, 직무유형, 월평균소득으로 구성되어 명명척도를 사용하였다.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삶의 질 문항은 Kim & Ji (2020), Kim & Ji (2019)Choi et al. (2019)의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연구자의 목적에 맞도록 일부 보완하여 구성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회수된 자료에 사용된 구체적인 실증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 연구의 실증분석은 유의수준 p<0.0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도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분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사용하였다. 셋째, 주요 변수의 평균,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Results and Discussion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분석결과 성별은 남성 97명(27.0%), 여성 261명(73.0%)으로 나타났고, 결혼여부는 미혼 253명(70.6%), 기혼 105명(29.4%)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19세 이하 46명(12.8%), 20-29세 142명(39.7%), 30-39세 88명(24.6%), 40세 이상 82명(22.9%)으로 나타났고, 학력은 고졸이하 57명(15.9%), 대학과정 및 졸업 247명(69.0%), 석•박사과정 및 졸업 54명(15.1%)으로 나타났다. 직장유형은 헤어 158명(44.1%), 피부 111명(31.0%), 메이크업 89명(24.9%)로 나타났고, 월 평균 소득은 200만원 미만 118명(33.0%), 200-300만원 미만 117명(32.7%), 300만원 이상 123명(34.4%)으로 나타났다.

General characteristics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이 연구에서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성타당도 가운데 항목들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끼리 하나의 요인으로 묶어내며 요인들 간에 상호독립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요인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구성개념 타당성 가운데 판별타당성의 확보를 위하여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기법인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요인적재량의 단순화를 위해 직각회전(orthogonal rotation)중 요인들 간의 상호독립성을 유지하여 회전하는 방법인 베리맥스 회전(Varimax rotation)을 실시하였으며, 아이겐 값(eigen value)이 1이상 되는 요인만을 인정하였다. 또한 요인분석에서 적합성을 나타내는 Kaiser-Meyer-Olkin (KMO)의 표본적합도를 산출하여 변수들 간의 내부상관관계 정도를 함께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요인분석 모형으로서 적합한지 아닌지를 유의확률로써 파악하게 되는 Bartlett의 구형성 검정도 함께 병행하여 실시하였다(Kim, 2011). 또한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내적 일관성을 통한 Cronbach's α계수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Cronbach's α계수의 값은 각 요인 내 측정문항들 간의 상관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0에서 1사이의 값을 갖으며 특정한 기준치의 값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사회과학연구에서 0.6이상이면 내적 일관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다(Park, 2009).

1)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먼저 KMO값이 0.726,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χ2=2941.670 (df=120, p=0.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총 분산 설명력은 66.662%로 나타났다. 즉, 요인 1 (18.391%)은 '역할관련 스트레스'로, 요인 2 (16.547%)는 '보상관련 스트레스'로, 요인 3 (16.134%)은 '가정관련 스트레스'로, 요인 4 (15.590%)는 '대인관계 스트레스'로 명명하였다. 총 4개 요인의 적채치는 0.4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신뢰도는 0.60 이상으로 나타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job stress

2) 직무만족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직무만족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먼저 KMO값이 0.761,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χ2=747.980 (df=6, p=0.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1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총 분산 설명력은 69.972%로 나타났다. 즉, 요인 1 (69.972%)은 '직무만족'으로 명명하였다. 총 1개 요인의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신뢰도는 0.60 이상으로 나타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job satisfaction

3) 삶의 질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삶의 질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먼저 KMO값이 0.875,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χ2=1467.426 (df=21, p=0.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1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총 분산 설명력은 62.444%로 나타났다. 즉, 요인 1 (62.444%)은 '삶의 질'로 명명하였다. 총 1개 요인의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신뢰도는 0.60 이상으로 나타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quality of life

3.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삶의 질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먼저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하위요인별 '역할관련 스트레스'가 평균 3.31점, '보상관련 스트레스'가 평균 3.11점,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평균 2.63점, '가정관련 스트레스'가 평균 2.19점 순으로 나타났고, 직무만족은 평균 3.21점, 삶의 질은 평균 3.46점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별 역할관련 스트레스(r=-0.406, p<0.001), 대인관계 스트레스(r=-0.518, p<0.001), 보상관련 스트레스(r=-0.290, p<0.001), 가정관련 스트레스(r=-0.363, p<0.001)는 직무만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별 역할관련 스트레스(r=-0.373, p<0.001), 대인관계 스트레스(r=-0.354, p<0.001), 보상관련 스트레스(r=-0.115, p<0.05), 가정관련 스트레스(r=-0.301, p<0.001)는 삶의 질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orrelation analysis

또한 직무만족(r=0.579, p<0.001)은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가설의 검증

1) 가설1의 검증

가설1. 뷰티관련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1-1. 역할관련 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1-2.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1-3. 보상관련 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1-4. 가정관련 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뷰티관련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분석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3.5%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44.540, p<0.001). 독립변수별로는 대인관계 스트레스(β=-0.352, p<0.001), 역할관련 스트레스(β=-0.168, p<0.01), 가정관련 스트레스(β=-0.145, p<0.01), 보상관련 스트레스(β=-0.112, p<0.05)가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별 대인관계 스트레스, 역할관련 스트레스, 가정관련 스트레스, 보상관련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선행연구와 비교하면, 직무만족이 낮을 수록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한다고 하는 Choi et al. (2019)Choi & Kim (2020)의 연구 결과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Effect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for beauty-related workers

2) 가설2의 검증

가설2. 뷰티관련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1. 역할관련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2.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3. 보상관련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4. 가정관련 스트레스는 삶의 질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미용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0.0%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22.124, p<0.001). 독립변수별로는 역할관련 스트레스(β=-0.239, p<0.001), 대인관계 스트레스(β=-0.191, p<0.01), 가정관련 스트레스(β=-0.159, p<0.01)가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별 역할관련 스트레스, 대인관계 스트레스, 가정관련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삶의 질은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Effect of job stress on the quality of life for beauty-related workers

선행연구와 비교하면, 삶의 질이 높을 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아진다고 하는 Choi & Kim (2020)Kim & Ji (2019)의 연구 결과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3) 가설3의 검증

가설 3. 뷰티관련종사자의 직무만족은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헤어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3.5%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79.240, p<0.001). 독립변수로써 직무만족(β=0.579, p<0.001)은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삶의 질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quality of life for beauty-related workers

Choi & Kim (2020)의 선행연구에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인 직무만족이 유의미하다는 결과 도출은 이 연구의 결과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4) 가설4의 검증

가설 4. 직무만족은 뷰티관련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가설4-1. 직무만족은 역할관련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가설4-2. 직무만족은 대인관계관련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가설4-3. 직무만족은 보상관련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가설4-4. 직무만족은 가정관련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미용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역할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분석결과 1단계 매개조건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별 역할관련 스트레스, 대인관계 스트레스, 보상관련 스트레스, 가정관련 스트레스는 매개변수인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고(p<0.001), 2단계 매개조건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별 역할관련 스트레스, 대인관계 스트레스, 보상관련 스트레스, 가정관련 스트레스는 종속변수인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p<0.05).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for beauty-related workers

3단계 매개조건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역할관련 스트레스, 가정관련 스트레스의 회귀계수가 유의미하면서 2단계보다 감소하였고, 매개변수인 직무만족도 유의미하게 나타나 직무만족은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별 역할관련 스트레스, 가정관련 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립변수인 직무스트레스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보상관련 스트레스의 회귀계수가 유의미하지 않고, 매개변수인 직무만족은 유의미하게 나타나 직무만족은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별 대인관계 스트레스, 보상관련 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clusion

이 연구에서 뷰티관련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았다. 뷰티관련종사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358부를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요인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선형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결과는 성별은 여성이, 결혼여부는 미혼, 연령은 20-29세, 학력은 대학과정 중 및 졸업, 직무유형은 헤어, 월평균소득은 200만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삶의 질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별로 직무만족 및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만족은 삶의 질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별 대인관계 스트레스, 역할관련 스트레스, 가정관련 스트레스, 보상관련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낮아지고,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별 역할관련 스트레스, 대인관계 스트레스, 가정관련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삶의 질은 낮아지는 것으로,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삶의 질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하위요인별로 1단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고, 2단계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 3단계 매개조건 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별 역할관련 스트레스, 가정관련 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의 관계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대인관계 스트레스, 보상관련 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결과는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점에, 뷰티서비스업의 특성상 관련 종사자들의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가 필요하며, 뷰티관련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관리 할 필요 있을 것이다. 사회적 지위 상승, 고객과의 접점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대다수임으로, 고객과의 효율적인 관계 관리가 필요하고, 직장상사와의 우호적인 관계 유지하여 직무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뷰티관련종사자의 직무만족 및 삶의 질을 증대시키기고 직무스트레스 요인별 관리를 위해 뷰티관련 사업장의 형태에 맞는, 고객 응대 및 직장 상사와의 업무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매뉴얼 제작이 도움이 될 것이다.

Notes

Author's contribution

AKK designed the study, filled out the questionnaire and wrote the manuscript. In addition, statistical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was performed.

Author details

Ae-Kyung Kim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Care, Tongmyong University, 428 Sinseon-ro, Nam-gu, Busan 48520, Korea.

References

Chang SJ, Koh SB, Kang D, Kim SA, Kang MG, Lee CG, Chung JJ, Cho JJ, Son M, Chae CH, et al.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297–317. 2005;
Choi S, Lee EH, Won KR, Cho YL, Kim DS. A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for job stress in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67–81. 2019;
Choi SM, Kim J. A study on th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of civil servant. Social Science Review 51:183–213. 2020;
Cho SR, Kang MJ. Influence of service employees’ grateful disposi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rosocial behavior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resources. Korean Journal Marketing 31:57–83. 2016;
Im EJ, Kim HJ, Ha JH.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acne recognition degree on their quality of life and self-esteem.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4:507–515. 2018;
Kim HJ, JI JH. Effect of job stress of beauty industry employee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5:305–313. 2019;
Kim HJ, JI JH. Influence of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fairnes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of beauty industry employees. The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6:299–308. 2020;
Kim MJ. Effects of awareness of negative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hange jobs for estheticians of skin care salon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9:89–100. 2021;
Kim KS. Amos18.0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Hanna Rae. Seoul: p. 158. 2011.
Kim KS, Ko KM, Kim KS. Structural model analysis on the influences of work environments and work satisfaction on the quality of work life of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9:251–268. 2014;
Ki NS, Back SY. The influence of workers’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1, 12:2025–2036. 2021;
Kim SA, Park SM.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citizen’s quality of life in Korea: a comparison between low-Income and ordinary-income of the households. The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23:173–210. 2014;
Lym CH, Lee HS. A study on the influence of abusive supervision of superviso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5:85–115. 2013;
Park JE, Park EJ. Effect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knowledge sharing on turnover intention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5:333–344. 2017;
Park SJ. Tourism research methodology using SPSS Hyeonhaksa. Seoul: p. 140. 200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Research model.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Division Frequency %
Gender Male 97 27.0
Female 261 73.0
Marital status Single 253 70.6
Married 105 29.4
Age Teenager 46 12.8
20s 142 39.7
30s 88 24.6
40s 82 22.9
Education level Graduated from high school 57 15.9
Currently attending or graduated from university 247 69.0
Currently attending or graduated from graduate school 54 15.1
Hair 158 44.1
Type of job Skincare 111 31.0
Make-up 89 24.9
Monthly income (Unit:1,000 won) Less than 2,000 118 33.0
>2,000 to <3,000 117 32.7
3,000 or more 123 34.4
Total 358 100.0

Table 2.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job stress

Factor Question Ingredients
Factor 1 Factor 2 Factor 3 Factor 4
Factor 1 role-related stress I have had an uncomfortable experience because a customer behaved arrogantly toward me. 0.865 0.038 0.184 0.188
I have experienced stress from getting angry with a dissatisfied customer. 0.840 -0.032 -0.001 0.219
Customer complaints cause me psychological pressure and a sense of loss. 0.784 0.147 0.095 0.242
Our industry is more demanding and stressful than other industries. 0.673 0.178 0.133 0.060
Factor 2 reward-related stress My salary is less than other jobs. 0.076 0.848 0.032 -0.063
My salary is for low compared to the amount of work. 0.108 0.826 0.032 -0.113
Promotion in our workplace is unfair. 0.088 0.755 0.158 0.397
Personnel transfers in our workplace are not objective. 0.037 0.716 0.196 0.380
Factor 3 home-related stress My family is mentally/materially unstable due to my work. 0.129 0.119 0.843 0.064
My work negatively affects my family. 0.004 0.139 0.824 0.164
My work negatively affects my personal life. 0.033 0.135 0.721 0.256
The emotional support I receive from my family and spouse is insufficient. 0.378 -0.086 0.679 0.047
Factor 4 interpersonal stress My boss gives unreasonable work orders. -0.016 0.164 0.159 0.792
It is stressful when my opinions are ignored by employees. 0.278 0.137 0.016 0.748
It is stressful when a supervisor treats an employee unfairly. 0.332 -0.001 0.182 0.630
I do not trust my colleagues very much. 0.217 -0.045 0.168 0.589
Eigen value 2.943 2.647 2.581 2.494
Variance (%) 18.391 16.547 16.134 15.590
Cumulative variance (%) 18.391 34.938 51.072 66.662
Cronbach's α 0.853 0.832 0.799 0.742

KMO=0.726; Bartlett's test χ²=2941.670 (df=120, p=0.000).

Table 3.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job satisfaction

Factor Question Ingredient
Factor 1
Factor 1 job satisfaction I am satisfied with my bosses at my current job. 0.900
I am satisfied with my current job. 0.887
I am satisfied with my current co-workers. 0.855
I would not want to work somewhere else if offered the same job there. 0.688
Eigen value 2.799
Variance (%) 69.972
Cumulative variance (%) 69.972
Cronbach's α 0.841

KMO=0.761; Bartlett's test χ²=747.980 (df=6, p=0.000).

Table 4.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quality of life

Factor Question Ingredient
Factor 1
Factor 1 job satisfaction I am satisfied with my life. 0.871
Currently I have very good living conditions. 0.857
I am satisfied with my state of health. 0.809
I live with a life goal. 0.802
Specifically, I am living the life I want. 0.768
I have no financial difficulties in my life 0.706
I have pride and confidence in myself. 0.701
Eigen value 4.371
Variance (%) 62.444
Cumulative variance (%) 62.444
Cronbach's α 0.896

KMO=0.875; Bartlett's test χ²=1467.426 (df=21, p=0.000).

Table 5.

Correlation analysis

Division M±SD Job stress
Job satisfaction Quality of life
role-related stress interpersonal stress reward-related stress home-related stress
Role-related stress 3.31±1.197 1
Interpersonal stress 2.63±0.948 0.471*** 1
Reward-related stress 3.11±1.010 0.227*** 0.291*** 1
Home-related stress 2.19±0.884 0.328*** 0.382*** 0.259*** 1
Job satisfaction 3.52±0.958 -0.406*** -0.518*** -0.290*** -0.363*** 1
Quality of life 3.46±0.873 -0.373*** -0.354*** -0.115* -0.301*** 0.579*** 1

Table 6.

Effect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for beauty-related workers

Division B S.E β t p
(constant) 5.576 0.172 32.357 0.000
Role-related stress -0.134 0.040 -0.168 -3.340** 0.001
Interpersonal stress -0.355 0.052 -0.352 -6.775*** 0.000
Reward-related stress -0.106 0.044 -0.112 -2.427* 0.016
Home-related stress -0.157 0.052 -0.145 -3.001** 0.003
R²=0.335; Adj R²=0.328; F=44.540***; p=0.000
*

p <0.05;

**

p <0.01;

***

p <0.001.

Table 7.

Effect of job stress on the quality of life for beauty-related workers

Division B S.E β t p
(constant) 4.744 0.172 27.533 0.000
Role-related stress -0.175 0.040 -0.239 -4.350*** 0.000
Interpersonal stress -0.176 0.052 -0.191 -3.354** 0.001
Reward-related stress 0.031 0.044 0.036 0.718 0.473
Home-related stress -0.157 0.052 -0.159 -2.997** 0.003
R²=0.200; Adj R²=0.191; F=22.124***; p=0.000
**

p <0.01;

***

p <0.001.

Table 8.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quality of life for beauty-related workers

Division B S.E β t p
(constant) 1.600 0.144 11.118 0.000
Job satisfaction 0.527 0.039 0.579 13.388*** 0.000
R²=0.335; Adj R²=0.333; F=179.240***; p=0.000
***

p <0.001.

Table 9.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for beauty-related workers

Division Step β t p F-value Accept
Role-related stress Step1 -0.406 -8.384*** 0.000 70.286*** 0.165 Partial mediatio
Step2 -0.373 -7.588*** 0.000 57.576*** 0.139
Step3 (independent) -0.165 -3.554*** 0.000 98.862*** 0.358
Step3 (mediation) 0.512 10.990*** 0.000
Interpersonal stress Step1 -0.518 -11.440*** 0.000 130.884*** 0.269 Complete mediatio
Step2 -0.354 -7.137*** 0.000 50.936*** 0.125
Step3 (independent) -0.074 -1.457 0.146 90.963*** 0.339
Step3 (mediation) 0.541 10.711*** 0.000
Reward-related stress Step1 -0.290 -5.716*** 0.000 32.672*** 0.084 Complete mediatio
Step2 -0.115 -2.178* 0.030 4.744* 0.013
Step3 (independent) 0.058 1.285 0.200 90.609*** 0.338
Step3 (mediation) 0.595 13.197*** 0.000
Home-related stress Step1 -0.363 -7.355*** 0.000 54.102*** 0.132 Partial mediatio
Step2 -0.301 -5.950*** 0.000 35.401*** 0.090
Step3 (independent) -0.104 -2.262* 0.024 93.213*** 0.344
Step3 (mediation) 0.541 11.724*** 0.000
*

p <0.01;

***

p <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