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Asian J Beauty Cosmetol > Volume 23(1); 2025 > Article
투 블록 형태로 유니폼 레이어 커트와 원랭스 커트의 두상영역분할, 길이,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디자인 연구

요약

목적

본 연구의 형태는 투 블록 커트이며 두상 상단은 유니폼 레이어 커트와 두상 하단은 원랭스 커트이다. 3개의 길이와 3개의 슬라이스 라인 그리고 3개의 두상영역분할에 따른 변화를 실증하여 헤어커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탑 골든 미디엄 포인트, 골든 포인트,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를 기점으로 두상 위를 상단으로 명명하였고 모발 길이는 5 cm, 20 cm, 25 cm 로 하였다. 두상 아래를 하단으로 명명하였고 모발 길이는 25 cm, 20 cm, 15 cm로 하였다. 슬라이스 라인은 두상 후면은 평행라인 두상 측면(옆면)은 A라인, 평행라인, V라인을 적용시켰다.

결과

두상 상단은 유니폼 레이어 커트로 거친 질감과 모발 길이가 동일한 둥근 형태로 관찰되었다. 두상 하단은 원랭스 커트로 매끄러움과 가지런함 및 각진 모양이 관찰되었다. A라인은 얼굴 라인으로 갈수록 모발이 길어져 가름한 형태 평행라인은 반듯한 형태 그리고, V라인은 얼굴 라인으로 갈수록 모발이 짧아져 귀여운 형태로 관찰되었다. 투 블록 커트는 서로 연결되지 않아서 독특함, 신비감, 신선함을 주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결론

원랭스 커트는 매끄러움과 각진 형태를 나타내고 유니폼 레이어 커트는 거친 질감과 동일한 길이를 상징한다. 투 블록 커트 시 연결선을 매끄럽게 하고싶다면 두상영역분할을 아래로 두고 모발 길이를 길게 해야 된다고 판단된다. 두상영역분할과 길이 및 슬라이스 라인 선정 시 두상형과 얼굴형 및 모질 그리고, 고객취향에 맞게 디자인을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커트 시 자르는 것보다 모근 뿌리에서부터 빗질을 정확하게 하고, 몸 위치가 정면에 서서 커트를 해야 오차를 줄일 수 있다고 사료된다. 커트 출발점의 길이는 전체적인 길이와 형태에 밀접하고 향후에는 쓰리블록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바라는 바이다.

Abstract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the two-block haircut, characterized by a uniform layer cut on top of the head and a one-length cut in the bottom of the head. The proposed haircut serves as a foundational reference by demonstrating its changes across three head areas, lengths, and slice lines.

Methods

Based on the top golden medium point, golden point, and golden back medium point, the head was divided in to two part, and the upper part was named the top of head with lengths of 5, 20, and 25 cm and the lower part was named the bottom of head with lengths of 25, 20, and 15 cm. For the slice line, a parallel line was applied to the rear of the head and an A line, parallel line, and V line were appli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head.

Results

The top of the head featured a uniform layer cut, with a rough texture and rounded shape, at a uniform length. At the bottom of the head with a one-length cut, smoothness, orderliness, and an angular shape were observed. The A line had longer hair extending toward the face line, creating a thin shape, while the parallel line had a flat shape. The V line featured a distinct round shape with shorter hair as it goes toward the face line. The two-block cuts appeared unconnected, giving them a sense of uniqueness, mystery, and freshness.

Conclusion

A one-length cut creates smoothness and an angular shape, while a uniform layer cut achieved the same length with a rough texture. To smooth the connection line in a two-block haircut, it is essential to extend the hair and segment the head area down. When dividing the head area and selecting the length and slice line, it is necessary to do so according to head shape, face shape, hair quality, and the customer’s tast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errors by correcting the combing from the root of the hair and standing in a frontal position when cutting rather than cutting it. The length of the haircut’s starting point is closely related to the final overall length and shape. These findings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through research into three-block haircuts.

中文摘要

目的

本研究重点关注两块发型,其特点是头顶剪成均匀的层次,头底剪成一个长度。建议的发型通过展示三个头部区域、长度和切片线的变化,作为基础参考。

方法

以头部顶部黄金中点、黄金中点、黄金后中点为界,将头部分为两部分,上部称为头顶,长度分别为5、20、25cm,下部称为头底,长度分别为25、20、15cm;切线方面,在头部后方应用平行线,在头部侧面应用A线、平行线、V线。

结果

头顶为均匀的层次剪裁,质地粗糙,造型圆润,长度均匀;头底为齐长剪裁,光滑整齐,造型有棱有角;A字形头发较长,向脸部延伸,造型纤细;平行形头发较平;V字形造型明显,向脸部延伸,头发较短;两块剪裁互不相连,给人一种独特、神秘、清新的感觉。

结论

单一长度的剪发可以打造光滑且有棱角的形状,而均匀的分层剪发可以实现相同的长度但质地粗糙。为了使两块发型中的连接线变得平滑,必须延长头发并向下分割头部区域。在划分头部区域并选择长度和切片线时,需要根据头型、脸型、发质和顾客的品味进行。通过从发根开始梳理头发并在剪发时站在正面而不是直接剪发,可以减少错误。发型起点的长度与最终的整体长度和形状密切相关。这些发现应该通过对三块发型的研究进一步证实。

Introduction

헤어커트는 헤어디자인의 출발이고 헤어미용에서 가장 기초적인 단계이다. 또한 헤어커트의 기본이 확립되어야 다양한 형태의 헤어디자인이 가능하다. 헤어커트에서 헤어디자인은 고객 취향과 요구에 맞추어 시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기능적인 면 즉 고객 신체조건 및 모발조건 그리고 고객 취향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Ha & Youn, 2019).
헤어커트는 헤어디자인의 형태를 도출하고 나타내는데 가장 크게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모든 헤어디자인은 헤어커트에 의해서 미리 형태가 만들어지는 진다(Son, 2012). 헤어디자인을 만들어내는 헤어커트는 개인의 개성과 젊고 아름답게 만들어 가는 행위예술이며 창조적인 결과물이다.
헤어커트를 잘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이 있다. 그 중에서 모발길이, 시술각도, 슬라이스 라인, 베이스 등을 적절하게 배합해야 한다(Jung & Youn, 2015). 또한 헤어커트는 모발길이와 모량을 조절하여 모발형태를 디자인하는 것으로 잘라버린다는 것도 중요하지만, 얼마만큼 남기는 것이 헤어디자인을 표현하며 헤어스타일을 결정짓게 한다(Jeon & Kang, 2007).
헤어디자인은 두상 형과 얼굴형을 공학적으로 분석하여 예술적 감각으로 시현된다. 또한 균형과 비례 및 조화로움이 연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헤어스타일은 패션의 일부로 사회적과 문화적 그리고 직업적 변화에 따라 새로운 트렌드는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즉 새로운 트렌드에 부응해서 헤어스타일도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Kim, 2015). 헤어미용 산업은 단순한 기술직을 넘어서 전문지식을 함양하고, 숙련된 기술로 고객을 만족 시켜야 하는 서비스 산업의 일종이다(Yeo & Park, 2019).
헤어커트를 살펴보면 원랭스, 그래쥬에이션, 유니폼 레이어, 인크리스 레이어 커트가 있다. 원랭스 커트는 층을 주지 않아 동일 선상에 모발이 떨어져 각진 형태와 가지런함 그리고 단조로움이 특징이다(Lee & Jin, 2010). 유니폼 레이어 커트는 모든 모발길이가 같아 두상 곡면이 동그란 모양으로 무게선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율동감을 줄 수 있어 다른 커트와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디자인의 완성도와 작품의 질을 높일 수 있다(Yang & Park, 2009).
헤어커트를 할 때 모발 길이는 첫 번째로 중요한 요소이다. 모발 길이가 길고 짧음에 따라 헤어스타일의 이미지가 다르게 표현된다. 또한 고객입장에서 가장 예민하고 민감하다고 할 수 있다. 커트의 시작점을 네이프 포인트에서 몇 인치로 출발하느냐에 따라 무게감, 부피감, 팽창감이 증가할 수도 있고 감소할 수도 있다(Guk, 2022a). 투 블록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 커트이다. 리듬감을 연출할 때 사용하기도 하고 독특함을 표현하기도 한다. 그리고 드라이 하는 방식에 따라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도 있다(Guk, 2022b).
슬라이스 라인의 종류를 살펴보면 얼굴 라인으로 갈수록 짧아지는 V라인 또는 후 경사, 후 대각, 이사도라가 있다. 반면 얼굴 라인으로 갈수록 길어지는 A라인 또는 전 경사, 전 대각, 스파니엘이 있다. 그리고 반듯한 형태인 평행라인 또는 일직선, 평행선이 있다(Kim & Lee, 2017). 커트 시 두상영역분할은 커트 시술을 편리하게 하는 방식이다. 두상 상단의 출발점이 위로 올라갈 경우 길이가 짧아져 각도에 따라 볼륨감이 생성될 수 있다. 두상 상단의 출발점이 아래로 내려갈 경우 길이가 길어져 각도에 따라 무게감, 부피감, 팽창감이 증가할 수 있다(Guk, 2023a).
현재 헤어커트를 배우는 학생들은 NCS를 기반으로 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헤어커트에 입문한다. 그리고 헤어미용 산업현장에 종사하면서 헤어커트 교육의 필요성을 느껴 다시 재교육 기관을 찾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Jang & Jung, 2021). 많은 미용인들이 헤어커트를 한 번의 배움으로 끝나지 않고 재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더불어 많은 연구자들은 감각에 의존하는 헤어커트 시술의 빈도를 줄이고, 헤어커트를 체계화와 수치화 시켜야 한다(Seo & Song, 2019).
헤어커트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투 블록 커트연구로는 Guk (2022b)는 연결한다는 사고방식을 버리면 다양한 형태의 커트를 제작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파마와 질감으로 연결선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다고 발표하였다. Guk & Kim (2022a)는 두상 상단의 포인트 지점을 위에 두면 각도가 높고 길이가 짧아질 경우 생동감, 리듬감, 볼륨감이 형성된다고 검증하였다.
두상영역분할로는 Ha & Youn (2017)은 한국형에 맞는 두상영역분할을 제시하여 설문하였다. 설문문항은 고객의 고려요인으로 헤어커트 시술의 완성도, 지속적 관리, 감정적 배려, 헤어디자이너의 친절도를 가장 중요시한다고 보고하였다. Ha & Youn (2019)은 헤어커트 시 두상영역분할을 발표한 바가 있다. 헤어커트 시술 시 전체적인 조화가 가장 높았고 앞머리 라인, 옆머리 라인이 그 뒤를 잇는다고 제시하였다. Jang & Jung (2020a)는 두상영역분할을 세미 레이어 커트와 원랭스 커트를 혼합할 경우 디자인 측면뿐 만 아니라, 두상 형과 얼굴형의 단점을 보완하기에 적합하다고 제시하였다.
슬라이스 라인에 관한 연구로는 Jang & Jung (2019)는 전 경사와 후 경사 슬라이스 라인의 기울기는 경사각에 따라 길이와 형태 선에 변화를 준다고 실증하였다. Guk (2023a)는 슬라이스 라인을 옆면에서 시작하느냐 뒷면에서 시작하느냐에 따라 기울기와 형태 선에 영향이 미친다고 발표하였다. Moon & Jung (2018)는 슬라이스 라인의 기울기 적합성에 대한 조사를 하였는데 전문가 집단에서 55.4%가 기울기 30°를 가장 이상적이라고 대답하였다.
길이에 관한 연구로는 네이프 포인트 길이가 길어질수록 각도에 따라 부피감, 팽창감, 무게감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두상 상단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각도에 따라 볼륨감, 리듬감, 생동감을 줄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Guk, 2023b). 커트를 시작할 때 두상 후면에서 좌우 길이차이를 두면 두상 옆면에서도 똑같은 길이의 차이가 발생한다고 발표하였다(Guk, 2023c).
이처럼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헤어커트의 기틀은 마련하였다. 현재 경기침체와 낮은 미용실 방문으로 인해 많은 여성들은 롱 원랭스 커트가 주를 이룬다. 그러므로 원랭스 커트에서 변화를 주는 연구는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두상 상단은 유니폼 레이어 커트이고 두상 하단은 원랭스 커트로 서로 연결되지 않는 투 블록 커트이다. 두상 상단은 두상 시술 각 90°로 설계하였고 두상 하단은 자연시술 각 0°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헤어미용 산업현장의 발전과 창의적인 헤어커트 기초자료를 이바지 하는 데 목적과 의의가 있다.

Methods

1. 측정도구 및 방법

1) 측정도구

본 연구의 실험을 하기 위해 사용된 마네킹 가발은 M사(Korea)의 35 cm를 구입하였다. 커트길이 측정도구로는 디지털 자(BL-DM; Bluetec, Korea)와 디지털 각도계(Starbox, Korea)를 사용하였다. 작품촬영을 위해 배경을 흰 바탕으로 한 뒤 1 m의 지정된 장소에서 휴대폰 카메라(Galaxy S21; Samsung, Korea)로 앞모습, 옆모습, 뒷모습을 촬영하여 제시하였다. 커트 도구에는 핀셋, 분무기, 커트가 위, 커트 빗을 사용하였고 가위 테크닉 기법으로 블런트 기법이다. 그리고 헤어스타일 연출로는 블로우 드라이기와 롤 브러시이다.

2) 측정하는 방법

(1) 헤어커트 시 두상영역분할

본 연구를 하기 위해 마네킹 두상영역분할을 위와 아래로 나누었다. 센터 포인트(center point)-네이프 포인트(nape point)까지 정중선으로 연결하였고, 탑 포인트(top point)-이어 포인트(ear point)까지 측중선을 나누어 4등분하였다. 두상영역분할을 제시한 표는 Table 1과 같다.
예비실험을 통해 두상영역분할은 Jang & Jung (2019) 연구를 참고하였다.
첫째 분할은 사이드 포인트(side point)-탑 골든 미디엄 포인트(top golden medium point)-탑 이어 미디엄 포인트(top ear medium point) 기점을 TGM1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나머지를 TGM2로 명명하였다. 둘째 분할은 사이드 포인트(side point)-골든 포인트(golden point) - 탑 이어 미디엄 포인트(top ear medium point) 기점을 G1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나머지를 G2로 명명하였다. 셋째 분할은 사이드 포인트(side point)-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olden back medium point)-탑 이어 미디엄 포인트(top ear medium point) 기점을 GBM1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나머지를 GBM2로 명명하였다.

(2) 모발길이

Jung & Youn (2008)가 제시한 롱 길이 25 cm를 기준으로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에서 25 cm, 20 cm, 15 cm 모두 다르게 적용하였다.

(3) 슬라이스 라인

두상 하단 후면은 평행라인 두상 측면(옆면)은 A라인, 평행라인, V라인을 적용하였다.
전 대각, 전 경사 또는 A라인은 사이드 코너 포인트(side corner point)-이어 포인트(ear point) 3 cm 올라간 지점에서 A라인으로 커트하였다.
평행선, 수평선 또는 평행라인은 이어 포인트(ear point)-사이드 코너 포인트(side corner point) 2 cm 올라간 지점에서 평행라인으로 커트하였다.
후 대각, 후 경사 또는 V라인은 이어 포인트(ear point)-사이드 코너 포인트(side corner point) 3 cm 올라간 지점에서 V라인으로 커트하였다. V라인 후 대각 또는 후 경사의 특징은 측면에서 커트를 시작한 것이 원활한 방식이다(Guk, 2022a).

(4) 시술각도

Guk (2022a)Guk (2023a)를 참고하여 두상 위는 율동감과 리듬감을 주기 위해 두상시술각도 90°를 적용하였다. 두상 아래는 매끄러움과 가지런함을 주기 위해 자연시술각도 0°를 적용하였다. 커트 형태는 서로 연결되지 않는 투 블록 커트이다.
2. 투 블록 커트 형태로 두상 상단은 유니폼 레이어 커트와 두상 하단은 원랭스 커트로 두상영역분할, 길이,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디자인 형태
두상 상단은 유니폼 레이어 커트로 두상시술각도 90°와 두상 하단은 원랭스 커트로 자연시술각도 0°를 사용하였다. 두상 하단 후면은 평행라인 두상 측면(옆면)은 A라인, 평행라인, V라인으로 커트하였다. 커트형태는 서로 연결되지 않는 투 블록 커트이다.
모든 커트는 2 cm 일정한 간격으로 커트하였다. 커트의 시작점은 두상 하단은 네이프 포인트와 두상 상단은 탑 골든 미디엄 포인트, 골든 포인트,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이다. 커트 기법은 블런트 기법을 사용하였고 슬라이스 라인에 대한 직각빗질을 하였다.
커트 후에는 변화된 길이를 실증하기 위해 센터 포인트(center point), 탑 포인트(top point), 골든 포인트(golden point), 백 포인트(back point), 사이드 포인트(side point), 사이드 코너 포인트(side corner point)의 길이 값을 측정하여 제시하였다.

Results and Discussion

1. TGM 두상영역분할에 따른 유니폼 레이어 커트와 원랭스 커트의 형태변화

1) TGM 존의 길이, 두상영역분할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전개 표

헤어커트 전개 표란 헤어디자이너가 의도한 헤어디자인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자료이다. 헤어커트 시술하기 전에 미리 전개 표를 작성하여 헤어커트 형태를 구상하고 설정해야한다. 각 작품마다 헤어커트 전개 표는 Jang & Jung (2019)가 제시한 것을 참고하였다.
두상영역분할을 사이드 포인트(side point)-탑 골든 미디엄 포인트(top golden medium point)-탑 이어 미디엄 포인트(top ear medium point) 기점으로 위를 TGM1로 명명하였고 나머지를 TGM2로 명명하였다.
커트형태는 투 블록 커트이고 커트한 전개 표는 Table 2와 같다. 두상 아래는 원랭스 커트로 자연시술각도 0°와 두상 위는 유니폼 레이어 커트로 두상시술각도 90°를 사용하였다. 슬라이스 라인은 두상 하단 후면은 평행라인 측면(옆면)은 A라인, 평행라인, V라인으로 커트하였다.
두상 하단의 시작점은 네이프 포인트에서 15 cm, 두상 상단의 시작점은 탑 골든 미디엄 포인트에서 15 cm로 시작하였다.

2) TGM 존의 길이, 두상영역분할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시술결과

두상 하단은 원랭스 커트이고 두상 상단은 유니폼 레이어 커트이며 서로 연결되지 않는 투 블록 커트이다. 커트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앞모습을 살펴보면 V라인은 얼굴라인으로 갈수록 짧은 형태, 평행라인은 반듯한 형태 A라인은 얼굴라인으로 갈수록 긴 형태로 관찰되었다. 포인트 지점을 이어 포인트에서 나눈 관계로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모발길이 차이가 조금 나타났다. 그리고 다른 분할보다 길이가 짧고 분할지점을 위에 둔 관계로 앞에서 보았을 때는 앞머리 형태로 관찰되었다.
옆모습을 살펴보면 두상 하단 V라인은 매끄러움과 가지런함에 귀여운 형태, 평행라인은 반듯한 평평한 형태, A라인은 얼굴선에 갈수록 길어진 매끄러운 형태선이 특징이다. 두상 상단은 유니폼 레이어 커트로 둥근 형태와 율동감 및 거친 질감이 관찰되었다.
뒷모습을 살펴보면 두상 상단은 길이가 15 cm의 유니폼 레이어 커트로 볼륨감과 율동감 그리고 거친 질감이 나타났다. 두상 하단은 원랭스 커트로 매끄러움, 가지런함, 무게감, 부피감이 나타났다. 다른 두상영역분할과 비교했을 때 모발 길이가 가장 짧아 무게감, 부피감이 적게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Kim (2015)은 두 가지 커트를 혼합하는 위치에 따라 헤어커트의 표현이 다르게 될 수 있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2. G 두상영역분할에 따른 유니폼 레이어 커트와 원랭스 커트의 형태변화

1) G 존의 길이, 두상영역분할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전개 표

위 블록은 유니폼 레이어 커트로 두상시술각도 90°, 아래 블록은 원랭스 커트로 자연시술각도 0°를 사용하였다. 커트 형태는 서로 연결되지 않는 투 블록 커트이다. 커트한 전개 표는 Table 4와 같다.
두상 하단의 시작점은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에서 20 cm로 시작하였다. 슬라이스 라인은 두상 하단 후면은 평행라인 측면(옆면)은 A라인, 평행라인, V라인이다. 두상 상단의 시작점은 골든 포인트(golden point)에서 20 cm로 시작하였다. 커트의 빗질은 직각빗질을 하였으며 커트 기법은 블런트 기법이다.

2) G 존의 길이, 두상영역분할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시술결과

두상 상단은 유니폼 레이어 커트로 두상시술각도 90°, 두상 하단은 원랭스 커트로 자연시술각도 0°로 혼합하여 커트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앞모습을 살펴보면 두상 상단의 길이가 20 cm로 모든 길이가 동일하다. 또한 바람머리 형태로 율동감과 둥근형태의 거친 질감이 나타났다. 두상 하단은 A라인이 가장 길게 나타났고 V라인이 가장 짧게 나타났다. 또한 원랭스 커트로 무게 선에 의해 매끄러운 질감과 가지런한 질감이 관찰되었다.
옆모습을 살펴보면 두상 상단과 두상 하단의 길이가 서로 연결되지 않는 투 블록 형태이다. 두상 상단은 둥근 형태로 거친 질감이 나타났고, 두상 하단은 각진 형태로 매끄러움과 가지런함이 관찰되었다. 또한 하단 V라인은 귀여운 형태선, 평행라인은 반듯한 형태, A라인은 가름한 형태가 나타났다.
뒷모습을 살펴보면 두상 상단 즉 두상의 절반은 모든 모발길이가 동일하고 둥근 형태로 거친 질감이 나타났다. 두상 하단 즉 두상의 절반은 모발이 동시에 떨어져 형태선 가장자리에 무게선이 형성된 각진 형태로 매끄러움과 가지런함이 나타났다. 또한 서로 연결 되지 않는 투 블록 형태로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Guk (2022b)는 두상 상단이 꺼져있는 고객 또는 낮은 고객에게 두상분할 포인트 지점을 위로 선정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하였는데, 본 연구도 이와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3. GBM 두상영역분할에 따른 유니폼 레이어 커트와 원랭스 커트의 형태변화

1) GBM 존의 길이, 두상영역분할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전개 표

두상 상단은 유니폼 레이어 커트로 두상시술각도 90°, 두상 하단은 원랭스 커트로 자연시술각도 0°를 적용하였다. 두상 상단과 두상 하단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 투 블록 커트이고 커트한 전개 표는 Table 6와 같다.
두상 하단의 출발점은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에서 25 cm이다. 두상 하단 후면은 평행라인 두상 측면(옆면)은 A라인, 평행라인, V라인이다. 또한 두상 상단의 출발점은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olden back medium point)에서 25 cm이다. 커트의 빗질은 직각빗질을 하였으며 커트 기법은 블런트 기법이다.

2) GBM 존의 길이, 두상영역분할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시술결과

커트의 형태는 투 블록 커트이고 두상 상단은 유니폼 레이어 커트와 두상 하단은 원랭스 커트이다. 혼합한 커트한 결과는 Table 7와 같다.
앞모습을 살펴보면 A라인은 가름한 형태 평행라인은 반듯한 형태이다. 그리고 V라인은 둥근 형태로 얼굴라인으로 갈수록 타고 들어가는 안 말음 효과가 있어 귀여움이 나타났다. 하지만 다른 분할에 비해 길이가 전체적으로 길어 여성스러움과 쳐지게 관찰되었다.
옆모습을 살펴보면 두상 상단은 거친 질감과 동일한 모발 길이로 둥근 형태가 나타났다. 두상 하단에는 모발 길이가 같은 선상으로 떨어져 매끄럽고 가지런한 질감이 나타났다. 또한 서로 연결되지 않는 투 블록 커트 형태로 관찰되었다. 그리고 A라인은 고전적인 형태, 평행라인은 밋밋한 형태, V라인은 발랄한 형태로 나타났다.
뒷모습을 살펴보면 두상 상단은 모발에 단차가 있어 율동감과 경쾌함 그리고 거친 질감이 나타났다. 두상 하단은 모발에 단차가 없어 매끄러운 질감과 가지런함 및 부피감이 관찰되었다. 또한 다른 분할보다 두상 상단의 길이가 가장 길고 내려와 있다. 그러므로 둥근 형태의 유니폼 레이어 커트라고 해도 전체적으로 길이가 길어 부피감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Jang & Jung (2020b)는 두상 하단에 원랭스커트를 대입하면 형태 선에 무게감이 나타난다. 또한 두상 상단에 레이어 커트를 대입하면 역동성과 가벼움을 나타난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도 이와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4. 투 블록 커트로 두상 상단 유니폼 레이어 커트와 두상 하단 원랭스 커트의 두상영역분할과 길이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변화

혼합하여 제작한 커트의 길이 변화는 Table 8과 같다. 두상 상단 포인트 지점을 탑 골든 미디엄 포인트 지점에 위치하면 전체적으로 모발 길이가 짧아진다. 반면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 지점에 위치하면 전체적으로 모발 길이가 길어진다. 이는 두상분할 포인트 점은 모발길이와 밀접한 영향이 있다. 그러므로 얼굴형과 두상 형 및 모발성질 그리고 고객 취향을 고려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Jang & Jung (2020a)는 두상분할 위치에 따라 얼굴형과 두상 형의 단점을 보완하기 적합하다고 하였는데, 이와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모발 길이가 길어지면 원랭스 커트에서 매끄러움, 가지런함, 무게감, 부피감이 증가한다. 또한 모발의 성질과 모량하고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므로 길이 선정 시 고객취향과 모발 성질에 맞게 설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Guk (2023c)는 모발 성질이 뜨는 모발과 모량이 많은 모발은 길이를 길게 해야 차분할 수 있다는 내용과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원랭스 커트는 모발에 층을 주지 않고 동일 선상에서 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모발 표면이 매끄러운 질감과 가지런한 질감을 보여준다. 또한 형태선 가장 자리에 무게가 형성되어 각진 형태선을 만들어낸다. 다른 커트와 혼합할 경우 딱딱한 느낌이 줄어 들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Jang & Jung (2020a)는 원랭스 커트를 다른 커트와 조합함으로써 새로운 커트를 창출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도 이와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유니폼 레이어 커트는 모든 모발 길이가 같아서 무게 선이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두상 곡면과 평행을 이룬 둥근 모양을 나타낸다. 또한 슬라이스 라인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모발 끝이 보이는 거친 질감의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결과로 Jang & Jung (2021)는 세임 레이어 커트는 무게선이 없고 슬라이스 라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도 이와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투 블록 커트는 서로 연결되지 않는 커트이다. 두상 상단의 모발 길이를 길게 하면 차분함, 단정함, 무게감을 줄 수 있고 두상 상단의 모발 길이를 짧게 하면 볼륨감과 율동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분할 지점이 내려갈수록 투 블록 커트 형태보다 층이 있는 커트스타일로 보일 수도 있다고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Guk (2023c)는 두상분할점이 내려갈수록 투 블록보다 층이 난 헤어커트라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Conclusion

본 연구는 투 블록 커트이고 두상 상단은 유니폼 레이어 커트와 두상 하단은 원랭스 커트이다. 두상영역분할, 길이,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이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원랭스 커트는 층을 주지 않고 동일 선상에 떨어져 매끄러운 질감과 가지런한 형태 및 형태선 가장자리에 무게감이 형성되어 각진 모양을 만들어 준다고 사료된다.
둘째, 유니폼 레이어 커트는 모든 모발 길이가 동일한 둥그런 모양을 갖는다. 또한 거친 질감과 슬라이스 라인이 없는 특징을 갖고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투 블록 커트는 서로 연결되지 않는 커트이다. 두상 상단의 모발 길이를 길게 하면 차분함과 단정함이 있다. 반대로 두상 상단의 모발 길이를 짧게 하면 볼륨감과 리듬감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넷째, 두상영역분할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두상 상단 포인트 지점을 위로 두면 모발 길이가 짧아져 그로 인해 볼륨감이 형성된다. 두상 상단 포인트 지점을 아래로 두면 모발 길이가 길어져 부피감과 무게감이 증가한다고 판단된다.
다섯째, 네이프 포인트 지점의 모발 길이를 길게 하면 전체적인 모발 길이가 길어진다. 그러므로 차분함, 여성스러움, 무거움, 부피감이 증가한다고 사료된다.
여섯째, 커트 시 무엇보다도 빗질과 몸자세, 손모양이 중요하다. 모근에서부터 꼼꼼하게 빗질해야 정확한 가이드를 잡을 수 있다. 몸자세는 자르는 정면에 서서 커트를 잘라야 오차를 줄 일 수 있고, 손모양은 두 마디 이상 자르지 않아야 된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카메라를 촬영하는 계절, 날씨, 시간 때에 따라 음영의 차이가 다르다. 1분 간격으로 변화가 무쌍하다. 둘째, 드라이하는 방식이 일정할 수는 없다. 이는 불가학력적인 요소이다. 셋째, 가발회사에서 통 가발을 제작할 때 질감이 되어 있어 정확한 각도에 맞는 질감을 표현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넷째, 각 포인트 지점을 측정하는 사람에 따라 다소 1 - 3 cm 정도 +-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다섯째, 슬라이스 라인의 각도를 정확하게 측정한 것은 아니므로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평범하고 밋밋할 수 있는 원랭스 커트를 두상영역분할과 길이 그리고, 슬라이스 라인에 따라 변화를 줄 수 있는 투 블록 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에 쓰리 블록 커트, 바람머리 또는 앞머리 두상영역분할 커트 등의 창의성 있는 헤어커트가 지속적으로 발표되길 희망하는 바이다.

NOTES

Author's contribution
HRG designed, measured and analyzed alone. HRG also wrote and revised manuscript.
Author details
Hye Ran Guk (Director), Yun Hye Ran Hair, 1182-6 Chipyeong-dong, Seo-gu, Gwangju 61950, Korea.

Table 1.
Head region division
ajbc-23-1-1i1.jpg

S. P., side point; T. G. M. P., top golden medium point; T. E. M. P., top ear medium point; N. P., nape point; G. P., golden point; G. B. M. P., golden back medium point.

Table 2.
Development based on the length, head region division, and slice line on the TGM zone
Zone Shape Length Slice line Angle
TGM1 Uniform layer T. G. M. P. : 15.0 cm Not applicable Head angle 90°
TGM2 One-length N. P. : 15.0 cm Parallel line, A line, V line Natural angle 0°

TGM1, S. P.-T. G. M. P.-T. E. M. P.; TGM2, T. G. M. P.- N. P.; S. P., side point; T. G. M. P., top golden medium point; T. E. M. P., top ear medium point; nape point; N. P., nape point.

Table 3.
Haircut effect based on the length, head region division, and slice line on the TGM 2
ajbc-23-1-1i2.jpg

TGM2, T. G. M. P.- N. P.; T. G. M. P., top golden medium point; N. P., nape point.

Table 4.
Development table based on the length, head region division, and slice line on the G zone
Zone Shape Length Slice line Angle
G1 Uniform layer G. P. : 20.0 cm Not applicable Head angle 90°
G2 One-length N. P. : 20.0 cm Parallel line, A line, V line Natural angle 0°

G1, S. P.-G. P.- T. E. M. P.; G2, G. P.-N. P.; S. P., side point; G. P., golden point; E. T. M. P., ear top medium point; N. P., nape point.

Table 5.
Haircut effect based on the length, head region division, and slice line on the G2 zone
ajbc-23-1-1i3.jpg

G2, G. P.-N. P.; G. P., golden point; N. P., nape point.

Table 6.
Development table based on the length, head region division, and slice line on the GBM2 zone
Zone Shape Length Slice line Angle
GBM1 Uniformly layer G. B. M. P. : 25.0 cm Not applicable Head angle 90°
GBM2 One-length N. P. : 25.0 cm Parallel line, A line, V line Natural angle 0°

GBM1, S. P.-G. B. M. P.-T. E. M. P.; GBM2, G. B. M. P.-N. P.; S. P., side point; G. B. M. P., golden back medium point; T. E. M. P., top ear medium point; N. P., nape point.

Table 7.
Haircut effect based on length, head region division, and slice line on the GBM2 zone
ajbc-23-1-1i4.jpg

GBM2, G. B. M. P.-N. P.; G. B. M. P., golden back medium point; N. P., nape point.

Table 8.
Hair length change in TGM, G, and GBM according to head region division, angle, and slice line A
Zone Slice line C. P. T. P. T. G. M. P. G. P. G. B. M. P. B. P. N. P. S. P. S. C. P.
TGM2 V line 15.0 15.0 15.0 29.0 25.0 21.0 15.0 15.0 20.0
Parallel line 15.0 15.0 15.0 29.0 25.0 21.0 15.0 15.0 22.0
A line 15.0 15.0 15.0 29.0 25.0 21.0 15.0 15.0 24.0
G2 V line 20.0 20.0 20.0 20.0 30.0 26.0 20.0 20.0 23.0
Parallel line 20.0 20.0 20.0 20.0 30.0 26.0 20.0 20.0 25.0
A line 20.0 20.0 20.0 20.0 30.0 26.0 20.0 20.0 27.0
GBM2 V line 25.0 25.0 25.0 25.0 25.0 32.0 25.0 25.0 27.0
Parallel line 25.0 25.0 25.0 25.0 25.0 32.0 25.0 25.0 30.0
A line 25.0 25.0 25.0 25.0 25.0 32.0 25.0 25.0 33.0

TGM2, T. G. M. P.- N. P.; G2, G. P.-N. P.; GBM2, G. B. M. P.-N. P.; C. P., center point; T.P. top point; T. G. M. P., top golden medium point; G. P., golden point; G. B. M. P., golden back medium point; B. P., back point; N. P., nape point; S. P., side point; S. C. P., side corner point.

References

Guk HR, Kim SH. The change of two block cuts by blocking lo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 509-517. 2022a.
crossref pdf
Guk HR. The design type of the top of the head division location and slice line in two bloc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 1023-1030. 2022b.
crossref pdf
Guk HR. Shape changes of slice parallel line and preferential angle line asymmetry cut according to head area division, length, angle and slice 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0: 519-530. 2022c.
crossref pdf
Guk HR. Design form by right diagonal line asymmetrical cut according to head region division, angle and slice line.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1: 59-70. 2023a.
crossref pdf
Guk HR. Design form of graduation and incremental layer cut according to segmentation of head regions, slice line and angle.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1: 71-82. 2023b.
crossref pdf
Guk HR. Design shape of combining the uniform layer cut and graduated cut according to the length, head area division, and slice line.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1: 405-416. 2023c.
crossref pdf
Ha SK, Youn CS. A study on the Korean style hair cut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 1001-1014. 2017.

Ha SK, Youn CS. A study on the haircut section divi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 71-83. 2019.

Jang SM, Jung WJ. Shape change according to the mixing of forward and rear slope slice lines in the graduation haircut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7: 375-385. 2019.

Jang SM, Jung WJ. Changes in shape of the combination of a one-length cut and a medium-graduation cut according to segmentation of head regions and slice line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8: 221-233. 2020a.
crossref pdf
Jang SM, Jung WJ. Changes in haircut shapes by mixing one length haircut and same layer haircut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head and slice lines during hair cutting.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8: 559-570. 2020b.
crossref pdf
Jang SM, Jung WJ. Changes in haircut shapes by mixing medium-graduation haircut and length haircut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head and slice lines during hair cutting I.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9: 183-191. 2021.

Jeon SJ, Kang SY. A study on creative idea of hair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8: 33-57. 2007.

Jung WJ, Youn CS. Factors of form change by hair-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4: 893-899. 2008.

Jung WJ, Youn CS. Form change of cut style in relation with hair length, angle and base. Journal of Beauty Industry 9: 53-68. 2015.

Kim HM, Lee JS. A study on the male hair cut section divi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 811-823. 2017.

Kim SH. A study on form changes of hair styles after adjustment in hair cut section line and combination posi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1: 1173-1181. 2015.

Lee OH, Jin YM. A study of one-length cut by the Korean's face types.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4: 81-90. 2010.

Moon SJ, Jung WJ. Changes in shape line and length in accordance with inclination of slice line in one-length 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 743-751. 2018.

Seo SA, Song YS. A study on satisfaction according to techniques creation and application of hair cut using hair stre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Cultural Arts 8: 18-36. 2019.
crossref
Son HM. The study of haircut trends on structure graphics: based on from 1997 to 2004 the PIVOT POINT design foru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3: 149-167. 2012.

Yang MS, Park SK. The study on the hair design avail of round head-shape and area.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3: 5-12. 2009.

Yeo YJ, Park EJ. Emotional intelligence, customer orientation,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hair salon worker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7: 199-209. 2019.
crossref pdf
Editorial Office
No. 1505, 1506, 3rd Ace High-End Tower, 145, Gasan digital 1-ro, Geumcheon-gu, Seoul 08506, Korea
TEL: +82-2-6957-8155   FAX: +82-502-770-2278   E-mail: ajbc.edit@e-ajbc.org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