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어커트 서비스러닝 프로그램 참여효과
요약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헤어커트 서비스러닝 프로그램에 참여한 재학생을 46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 참여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서비스러닝 프로그램에 참여한 46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진로 설계, 지역사회 참여의식에 유의한 변화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단일군의 사전, 사후로 설계하여 검증하였다. 통계분석방법으로 먼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재학생들의 서비스러닝 프로그램 참여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서비스러닝 프로그램이 재학생들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전 평균 3.74점에서 사후 평균 3.93점으로 0.19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진로 설계에 미치는 효과는 사전 평균 3.78점에서 사후 평균 3.98점으로 0.20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지역사회 참여의식은 사전 평균 3.83점에서 사후 평균 3.97점으로 0.14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는 헤어커트 서비스러닝 프로그램 참여 재학생들은 자기효능감, 진로 및 설계, 지역사회 참여의식이 유의미한 향상이 확인되었다.
핵심용어: 서비스러닝, 자기효능감, 헤어커트, 지역사회, 참여의식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participating in a haircut service learning program on 46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Cosmetology Science.
Methods
A pre-and post-test design was used to verify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changes in self-efficacy, career planning, and awareness of community participation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program. As a statistical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was first conduct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a paired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Results
The effects of the service learning program on the self-efficacy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Cosmetology Science were tested, and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0.19 points, from a pre-test mean of 3.74 to a post-test mean of 3.93. The effects on career planning career increased significantly by 0.20 points, from a pre-measure of 3.78 to a post-measure of 3.98, and the effect on the awareness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by 0.14 points, from a pre-measure of 3.83 to a post-measure of 3.97.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haircut service learning progra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elf-efficacy, career planning, and awareness of community participation.
Keywords: Service learning, Haircut, Self-efficacy, Awareness of community participation, Career planning
中文摘要
目的
分析46名参加理发服务学习项目的学生在参加该项目之前和之后的参与效果。
方法
采用前后测试设计来验证项目参与者的自我效能感、职业规划和社区参与意识是否有显着变化。作为一种统计分析方法,首先进行频率分析来考察研究参与者的一般特征,并进行配对样本t检验来考察参与的效果。
结果
测试了服务学习计划对美容科学系学生自我效能感的影响,结果显示显着提高了0.19分,从测试前平均值3.74提高测试后的平均值3.93。对职业生涯规划的影响显着提高0.20分,由测试前的3.78提高到测试后的3.98;对社区参与意识的影响显着提高0.14分,由测试前的3.83提高到测试后的3.97。
结论
研究结果表明,参加理发服务学习项目的学生在自我效能感、职业规划和社区参与意识方面都有显着提高。
关键词: 服务学习, 理发, 自我效能, 社区参与意识, 职业规划
Introduction
최근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미래 인재들이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과 관련하여( Lee & Jeon, 2023) 대학교육의 혁신은 교수법 차원에서 사회적, 시대적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이에 대한 경험에서 얻은 노하우를 공유하면서 점진적으로 구현된다( Ha, 2017).
학생들의 역량은 지능과 같이 타고난 능력이 아니라 수행과 훈련, 즉 교육을 통해서 길러지는 개인의 자질이라고 볼 때 교육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학생들의 적극적인 경험은 매우 중요하다( Jeong, 2019).
서비스러닝은 체험교육의 한 형태로 교실과 현장 연계를 통한 새로운 대학교육의 일환으로 전문적인 교과목과 지역사회봉사를 통합시킨 교수-학습방법으로 전공지식 학습을 토대로 지역사회에 봉사하는 체험 기반의 교육모델을 창출할 수 있으며 교수자 학습자 지역사회 연계 및 통합학습을 통한 전공지식의 심화와 지역사회 봉사의 선 순환적 체계를 마련할 수 있다( Cho & Kim, 2019). 대학의 사회 참여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서비스-러닝(service-learning)은 서비스와 러닝 즉 봉사와 학습을 겸하는 경험 학습의 형태로, 지역의 다양한 사회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 과정에 참여하며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 지역 변화에도 도움을 주는 사회적으로 기능하는 교육 활동을 말한다( Kwon & Oh, 2021).
국내 대학에서 사회봉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교육 개혁 이후부터이다. 하지만 그 당시에는 대학 내 사회 봉사와 관련한 교과목들이 개설되긴 했지만 교과과정과 사회봉사를 접목시킨 봉사학습이라기보다는 대부분이 단순한 봉사활동으로 그치는 경우들이었다( Choi & Kim, 2022).
서비스러닝은 단순히 봉사와 학습을 연계한 수업이 아니라 교과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봉사현장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통한 통찰력과 습득력을 통하여 이론과 실습의 통합적 학습이 가능하게 하는 과정이다( Yoon et al., 2022). 서비스러닝은 봉사와 학습을 통해 전공 혹은 교과목과 관련된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봉사-학습 경험에 대한 반성적인 성찰을 통해 교과내용에 대한 이해도와 학습성취도를 향상시키며, 나아가 학생들에게 지역사회 대한 시민의식, 공동체 의식, 사회적 책임감을 함양시킬 수 있다( Cho & Kim, 2019). 즉 교과에서 학습한 것을 활용해 지역사회에 봉사하며(service) 다시 그 경험 속에서 성찰(reflection)과 피드백(feedback)을 통해 학습을 강화해(learning) 나가는 것이 서비스러닝인 것이다. 지역발전에 있어 주체적인 역할의 임무를 부여 받은 대학은 이런 배경에서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지역 기반의 지속가능발전을 목표로 하는 지역사회 문제 해결 서비스러닝 교육을 확대해가고 있다( Park, 2023).
미용은 단순한 기술의 개념에서 벗어나 이론과 기술을 겸비한 학문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세분화된 전공수업을 통한 미용의 직업세계를 이해하고 미용전공에 대한 기초지식과 실제실습을 통해 기술을 배우며, 미용산업은 미래에 대한 부가가치가 높은 유망직종으로 자리잡았다( Choi & Jeon, 2024). 미용교육은 피부와 모발, 얼굴, 손톱 등의 건강과 상태를 살피며,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미용교육과 실습을 통해 현장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용 기술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하는 특성이 있어 고객과의 접점이 중요시된다( Bak et al., 2020). 미용학과는 현장성을 중요시 여기는 대표적인 전공과목으로 교과목의 대부분이 실무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산업현장의 수요와 일치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Kim & Park, 2017).
서비스러닝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봉사활동 과정을 통해 자신의 진로를 점검함과 동시에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계기가 될 뿐만 아니라 타인에 대한 이해력과 포용력을 갖추어 지역사회의 시민의식 공동체 의식 사회적 책임감을 함양할 수 있다( Cho & Kim, 2019).
미용전공 봉사활동으로 커트, 펌, 드라이, 손과 발 마사지, 그리고 손톱관리, 메이크업 봉사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용전공 학생들의 전공 관련 봉사는 기술 교육을 봉사현장으로 확대시켜 기술훈련을 통해 실기적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어 전공에 대한 만족이나 학업 성취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Mo, 2016).
하지만 미용전공 분야에서의 서비스러닝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아직 미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헤어커트 교과 서비스러닝 프로그램에 참여한 재학생의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자기효능감, 진로 및 설계, 지역사회 참여의식에 변화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Methods
1. 연구 대상 및 자료의 수집
본 연구대상자는 N대학교에서 2023년에서 2024년도 1학기에 연구자가 수업 중 인 헤어커트 교과 서비스러닝 프로그램에 참여한 2학년, 3학년 4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업 첫 시간에 헤어커트 서비스러닝 교과에 대한 사전 안내로 연구의 취지, 목적, 방법을 안내하였고, 연구방법은 헤어커트 교과 서비스러닝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진로 설계, 지역사회 참여의식에 유의한 변화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단일군의 사전, 사후로 설계하여 검증하였다.
2. 신뢰도 검증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기효능감 척도의 Cronbach’s α 계수는 0.866, 진로 설계 척도의 Cronbach’s α 계수는 0.915, 지역사회 참여의식 척도의 Cronbach’s α 계수는 0.912로 나타나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3. 자료 수집 및 분석
서비스러닝 프로그램에 참여한 48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를 온라인으로 진행하였다. 사전검사는 수업 1주차 오리엔테이션에서, 사후설문은 수업 15주차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으로 먼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재학생들의 서비스러닝 프로그램 참여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Results and Discussion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분석결과 성별은 남자 11명(23.9%), 여자 35명(76.1%)으로 나타났고, 학년은 2학년 22명(47.8%), 3학년 24명(52.2%)으로 나타났다.
2. 자기효능감의 사전-사후 변화
서비스러닝 프로그램이 재학생들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분석결과 사전 평균 3.74점에서 사후 평균 3.93점으로 0.19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t=-6.221, p<0.001). 즉,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서비스러닝 프로그램이 재학생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자기효능감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과 확신의 정도를 나타내며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자신의 능력에 관한 판단 및 확신을 말하며,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들은 학업, 사회적 관계, 진로 결정 등에서 더 나은 성과를 이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Jung, 2024). Jung (2020)의 연구에서 서비스 러닝 수업인 행정학과 전공 교과 ‘비영리 섹터와 사회적 경제’ 수강생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자기효능감을 분석한 결과 사전 3.60점에서 서비스 러닝 활동 종료 후 4.07로 증가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로 나타났다(Z=-3.35, p<0.01). Choi & Kim (2022)의 연구에서도 서비스러닝 교양 교과목인 글쓰기와 소통을 수강한 학습자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사전 사후 분석한 결과 0.74점이 상승하였다.
3. 진로 설계의 사전-사후 변화
서비스러닝 프로그램이 재학생들의 진로 설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는 Table 3와 같다. 분석결과 사전 평균 3.78점에서 사후 평균 3.98점으로 0.20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t=-4.187, p<0.001). 즉,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서비스러닝 프로그램이 재학생들의 진로 설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Jung (2020)의 연구의 서비스러닝 효과성 검증에서도 진로준비 행동 역시 사전 2.30점에서 사후 2.75로 유의미하게 증가(Z=2.87, p<0.001) 하였다. Lee & Jeon (2023)의 연구에서도 진료 설계 및 목표는 사전 3.79점에서 사후 4.25로 증가하였다( t=-4.526, p=0.000). An et al. (2019)의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관리기법을 활용한 진로프로그램수업은 학생들의 진로정체감 확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 되었다.
대학생활은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마지막 학생 신분으로, 자신의 직업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진로설계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진로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다양한 경로로 진로탐색 경험을 하고 진로문제 해결을 위한 의사결정 수준을 높이는 것은 대학생활을 의미 있게 보내기 위한 중요한 변인으로 볼 수 있다( Lee & Yu, 2024).
4. 지역사회 참여의식의 사전-사후 변화
서비스러닝 프로그램이 재학생들의 지역사회 참여의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분석결과 사전 평균 3.83점에서 사후 평균 3.97점으로 유 의미하게 향상되었다( t=-3.530, p<0.01). 즉,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서비스러닝 프로그램이 재학생들의 지역사회 참여의식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Jung (2020)의 연구에서도 지역사회 참여의식은 사전 2.95점에서 사후 3.52점으로 유의미하게 증가(Z=-3.49, p<0.001)하였다. Lee & Jeon (2023)의 연구에서도 진로 설계 및 목표는 사전 3.81점에서 사후 4.19로 증가하였다( t=-3.631, p=0.001). Won (2003)의 연구에서도 대학생들이 봉사학습 경험은 지역사회참여의식에 5%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을미치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Conclusion
본 연구는 헤어커트 서비스러닝 교과에 참여한 재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진로 설계, 그리고 지역사회 참여의식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헤어커트 과목은 9주는 교실수업과 6주는 봉사활동을 연계한 서비스러닝 교과목으로 설계하여 운영하였다. 사전검사는 수업 1주차 오리엔테이션에서, 사후설문은 수업 15주차에서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생들은 수업에서 배운 커트 이론과 헤어 마네킹에서 실습한 기술을 서비스러닝 활동에서 직접 어르신에게 적용해보면서 성취와 보람을 경험하고, 교수와 기관, 그리고 어르신으로부터 지지와 격려를 받음으로써 학생들은 자기효능감이 사전 평균 3.74점에서 사후 평균 3.93점으로 0.19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미용은 실용적 학문으로 전공 교과 교육의 경우 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실용적 교육을 추구하고( Kim & Chon, 2023) 있기 때문에 서비스러닝 교과목은 미용전공 학생들에게는 실제 모델에게 실습을 통한 봉사로 현장의 실무를 습득하여 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을 해결해 나갈 수 있는 교육으로 서비스러닝 교과목은 실기 교육 방법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이다.
둘째, 헤어커트 서비스러닝 활동에서 직접 어르신에게 헤어커트를 봉사를 하면서 자신의 진로 설계는 사전 평균 3.78점에서 사후 평균 3.98점으로 0.20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진로 설계를 보다 적극적으로 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서비스 러닝을 통한 진로준비 행동은 해당 직업영역에 필요한 직무역량뿐 아니라, 직업인으로서의 사회적 책임까지 연계될 수 있다는 면에서 의의가 있다( Jung, 2020).
셋째, 요양병원에서의 헤어 커트 서비스러닝 활동을 통해 어르신을 만나면서 학생들은 다양한 사회문제를 이해하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책임감을 가지며 지역사회 봉사 참여를 통해 지역사회 참여 의식이 사전 평균 3.83점에서 사후 평균 3.97점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용 전공 실습 교과 수업에서 효과적 교육방법으로 서비스 러닝의 유용성을 시사한다. 이들 미용전공에서 학교실습에서는 주로 마네킹으로 실습하기 때문에 서비스러닝을 통해 현장 실무와 연계했을 때 학생들의 실습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특히 기술 위주의 미용봉사는 학교에서 부족한 현장학습과 실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24년도 남부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s
Division |
|
Frequency (N) |
Percent (%) |
Gender |
Man |
11 |
23.9 |
Female |
35 |
76.1 |
Grade |
Second grade |
22 |
47.8 |
Three grade |
24 |
52.2 |
All |
|
46 |
100.0 |
Table 2.
Pre-and post-changes in self-efficacy
Division |
Pre
|
Post
|
t-value |
p
|
M |
SD |
M |
SD |
Self-efficacy |
3.74 |
0.420 |
3.93 |
0.406 |
-6.221***
|
0.000 |
Table 3.
Pre-and post-changes in career planning
Division |
Pre
|
Post
|
t-value |
p
|
M |
SD |
M |
SD |
Career planning |
3.78 |
0.533 |
3.98 |
0.460 |
-4.187***
|
0.000 |
Table 4.
Pre-and post-changes in the awareness of community participation
Division |
Pre
|
Post
|
t-value |
p
|
M |
SD |
M |
SD |
Awareness of community participation |
3.83 |
0.538 |
3.97 |
0.479 |
-3.530**
|
0.001 |
References
An DS, Park JH, Kwan J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areer map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using project management. Educational Theory 28: 117-139. 2019.
Bang H.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for infants who participate in service learning related to infants’ movement education.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1: 169-184. 2020.
Bak R, Lee JE, Chon HJ. Beauty education methodology and content requirem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8: 629-641. 2020.
Cho YG, Kim H. A study for service-learning operating model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plan in universit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 363-372. 2019.
Choi YK, Lim KO, Kim EJ.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service learning experience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ral Health Science 8: 55-56. 2020.
Choi YH, Kim JS. The case and effects of untact online liberal arts class based on service learning teaching.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3: 1239-1252. 2022.
Choi HJ, Jeon HJ.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focusing on demographic variable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26: 208-217. 2024.
Han SA. The meaning of service-learning experienc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or.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1: 1241-1252. 2019.
Ha S. Service-Learning im Rahmen des Deutsch-Koreanischen-Tandemunterrichts. Koreanische Zeitschrift fur deutschunterricht 70: 25-44. 2017.
Jeong HY. Project-based course design and operation cases: focusing on hairstyling maj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20: 203-217. 2019.
Jung BN.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self-control on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4: 455-467. 2024.
Jung JK. The effect of service learning experience on self-efficacy, community responsi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32: 511-532. 2020.
Kim J, Chon H.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and interaction of practical beauty learners. Culture and Convergence 45: 959-969. 2023.
Kim YR, Park EJ. Learning system, job competency, and curriculum of college of beauty and NCS-based learning.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5: 445-455. 2017.
Kwon SC, Oh JN. Enhancing university education through service-learning and place-based community engagement. Journal of Education Science 23: 1-28. 2021.
Lee S, Jeon H. Analysis of the effect of community service-learning.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4: 1831-1845. 2023.
Lee TH, Yu JH. Effects of college life and career planning courses on college students’ career self-regulati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making.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ifted and Talented 23: 153-174. 2024.
Mo JH. A study on the effects of college cosmetology majors participation in beauty care volunteer activity and self-esteem on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educational achieve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7: 105-117. 2016.
Park S. The effect of local problem solving service learning experience on sustainable development awareness. Culture and Convergence 45: 1417-1429. 2023.
Suh J. Service-learning for students of French language and cultur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Humnities 32: 1-36. 2018.
Yang HN. The experiences of service-learning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students majoring adapted physic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27: 41-55. 2019.
Yoon HR. A study on the operation status and methods of promoting service learning: focusing on the service learning program at University K.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2: 673-685. 2022.
Yune SJ, Park KH. The effects of service learning program on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of global citizenship and sustainable development. Journal of Educational Innovation Research 29: 1-16. 2019.
Won MS.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service-learning experience. Journal of Social Work Practice 3: 43-69. 20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