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Asian J Beauty Cosmetol > Volume 23(1); 2025 > Article
반영구화장 서비스가 소비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요약

목적

반영구화장 서비스의 사회적 인식을 조사하고 서비스 개선의 필요성과 방안을 제시하여, 안전하게 시술 받을 수 있는 환경에 기여하기 위하여 전문적인 기술과 법적 규제와 윤리 기준을 준수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며 반영구화장 시장의 활성화 및 성장의 발판을 할 수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10대-60대 이상인 남녀를 대상으로 반영구화장직무가 소비자 인식과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으로 조사하였다.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피어슨 상관관계분석(Person correlation analysis)을 하였고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반영구화장은 성별, 연령, 직업, 소득에 상관없이 많은 시술을 받고 있고 받고 싶어하였고, 서비스의 주체인 소비자들은 반영구화장이 의료법에 저촉이 되고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의료인(반영구 전문가, 미용인)에게 시술을 받으면서 위생부분이 중요하다 생각하고 있으며 처리과정과 시술이 위생적이게 지켜질 경우 비의료인(반영구 전문가, 미용인)에게 시술을 받고 싶다고 하였다.

결론

반영구화장 산업의 신뢰확보를 위하여 전문적인 기술과 함께 법적 규제와 윤리 기준을 준수하여 전문가를 양성한다면, 반영구 시장의 혼란을 막고 미용시장의 활성화 및 성장의 발판을 통해 일자리 창출은 물론 미용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국가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al perception of the semi-permanent make-up (SPM) services and identify the needs to improve the services. It aims to propose actionable solutions to create a safer environment for consumers to receive SPM services. This includes fostering professionals who would adhere to advanced technical standards, legal regulations, and ethical guidelines. Additionally, the study seeks to evaluate whether these efforts may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and growth of the SPM industry, and lay the groundwork for its sustainable development.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men and women aged from their teens to over 60s to examine the impact of SPM practices on consumer perceptions and trends.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3.0 software. The frequency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validate and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s perceptions of the SPM. Additionally, 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finding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individuals, regardless of their gender, age, occupation, or income, frequently received SPM services or expressed the desire to receive them. Despite the customers being aware that the SPM practices might conflict with medical laws, the consumers continue to seek services from nonmedical practitioners (SPM, specialists or beauty professionals). Hygiene was highlighted as a critical factor, with the respondents indicating their willingness to receive treatments from the nonmedical practitioners if the procedures were conducted hygienically.

Conclusion

To establish trust within the SPM industry, it is essential to train professionals who possess advanced technical skills and adhere to legal regulations and ethical standards. This approach may prevent confusion in the SPM market, foster growth and revitalization of the beauty industry, and contribute to job creation. Furthermore, these efforts are expected to enhance the development of the beauty sector and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national industrial progress.

中文摘要

目的

本研究的目的是调查社会对半永久化妆(SPM)服务的看法,并确定改进服务的需求。它旨在提出可行的解决方案,为消费者创造一个更安全的环境来接受SPM服务。这包括培养遵守先进技术标准、法律法规和道德准则的专业人员。此外,该研究旨在评估这些努力是否有助于SPM行业的振兴和发展,并为其可持续发展奠定基础。

方法

本研究针对10岁到60岁以上的男性和女性进行了一项调查,以研究SPM实践对消费者认知和趋势的影响。使用SPSS 23.0软件对收集的数据进行分析。进行频率分析和皮尔逊相关分析是为了验证并确保调查对SPM 看法的可靠性。此外,还进行了因子分析以确认研究结果的有效性和可靠性。

结果

研究发现,个人,无论性别、年龄、职业或收入如何,都经常接受SPM服务或表达接受服务的愿望。尽管顾客意识到 SPM 做法可能与医疗法相冲突,但消费者仍然继续向非医疗从业者(SPM、专家或美容专业人士)寻求服务。卫生被强调为一个关键因素,受访者表示,如果治疗过程保持卫生时,他们愿意接受非医疗从业者的治疗。

结论

要在SPM行业内建立信任,必须培训拥有先进技术技能并遵守法律法规和道德标准的专业人员。这种方法可以防止SPM市场的混乱,促进美容行业的增长和振兴,并有助于创造就业机会。此外,这些努力也有望促进美容行业的发展,为国家产业进步做出有意义的贡献。

Introduction

현대사회에서 외모가 사회생활에서 경쟁력으로 작용하면서 외모관리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외모관리를 위한 방법은 다양하나 특히 반영구화장의 기술이 여러가지 기법과 적용부위가 넓어짐에 따라 남녀노소를 대상으로 외모변화에 일조를 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반영구화장은 피해 소송에서 보건위생상 위험하다는 이유로 의료행위라고 판결된 이후 의료법상 의사가 아닌 사람이 시술을 할 경우 불법이 되었다(Im & Jeon, 2020).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반영구화장이 소수로만 의료인에게 이루어지고 있고, 대부분 비의료인 즉 미용인에 의하여 시행되고 있다. 현재 비의료인이 반영구화장의 시술하는 비율이 넓어짐에 따라 미용업계와 의료계 사이에서 반영구화장 시술대상 합법화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 K-beauty가 관심을 받음으로 뷰티·미용 산업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반영구화장 분야가 국내외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소비자들은 점점 더 자신만의 개성을 반영한 맞춤형 서비스를 선호하고 기대하며 미용 산업의 개인화 및 맞춤화에 민감한 분야로 자리매김되었다. 이러한 현상에 따라 반영구화장은 미용 산업에서 점점 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고 소비자들은 높은 관심과 선호도를 보이고 있다. 반영구화장은 개인의 얼굴형, 피부 톤, 선호하는 색상,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인위적이지 않으면서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으며, 트렌드에 맞는 디자인적 요소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며 시술된다(Hong, 2018).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미용직무 능력이 크게 작용되고 있으며, 피부 및 생리학적 측면에서 접근하는 의료인의 직무와는 다르게 미용인의 시술 표현으로 개인의 특장점을 살려 표현하고 있다. 이렇듯 반영구화장은 단순한 의료적 시술로 판단되기보다 개인의 개성과 미적 표현을 포함한 아트적 요소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반영구화장이 미용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화장품법에 따라 특정 기준과 규제를 받는 미용시술로 간주되고 있으며, 피부에 색소를 주입하는 행위를 의료행위로 보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반영구화장에 대한 기술과 연구들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비의료인이 시술함에 따른 법적인 제제로 인하여 반영구화장의 발전이 저해되는 요소를 갖게 되었다. 반영구화장에 대한 선행된 연구들은 반영구화장의 종사자 또는 전문가들 대상의 연구가 의료적 행위의 관점보다는 디자인적 요소에 관점이 높은 연구들이 다수였다(Kim et al., 2020; Yang & Kim, 2018). 현재 반영구화장에 대한 선행된 연구는 크게 법제화, 디자인/기법/재료/교육, 위생/위해성/감염, 만족도/선호도/실태의 연구 주제로 연구되고 있다(Gu & Kim, 2021). Kim & Youn (2019)의 연구에서는 국내의 현 시술자들(비 의료인)에 대한 위생과 안전에 대한 재교육과 지속적인 보수교육이 진행되는 경우에 반영구화장의 법제화가 진행될 수 있다고 하였다. 선행된 연구에서 전문가들의 의견과 산업 분석을 통해 반영구화장의 제도적 개선과 법적 문제의 문제점을 시사하는 연구들은 있으나, 직접적인 반영구 화장의 소비자 인식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에 의해 서비스 산업이 결정되고, 시장의 성격도 많이 달라진다고 판단되어 반영구화장의 사회적 인식을 조사하고, 인식의 흐름에 따른 서비스 개선의 필요성과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불어 안전하게 반영구화장 시술 받을 수 있는 환경에 기여하기 위하여 전문적인 기술과 법적 규제와 윤리 기준을 준수할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고, 반영구화장 시장의 혼란을 막고 미용시장의 활성화 및 성장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지 파악하고자 한다.

Methods

1. 측정도구와 자료조사 및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주요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2024년 9월20일부터 2024년 10월 10일까지 온라인 구글폼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은 인구비례에 따라 남녀 만10세에서 65세까지 총 300명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2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의 주요 측정항목들은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5개), 반영구화장 경험정도(8개), 반영구화장에 대한 인식에 관한 문항(14개)으로 총 2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인 측정도구들은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문항들을 수정, 보완하여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23.0 프로그램(IBM, USA)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통계 분석을 위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통해 백분율과 평균을 산출하였고, 반영구화장 시술자에 대한 인식 분석을 위해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관계분석을(Person correlation analysis) 하였다. 반영구화장 인식에 대한 설문내용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α=0.05).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반영구화장의 직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조사하고 사회적 인식과 흐름에 따라 서비스 개선의 필요성과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영구화장의 사회적 인식을 조사하여 알아본다.
둘째, 반영구화장의 시술자와 소비자인식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반영구화장의 인식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셋째, 반영구화장의 인식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을 하였다.

Results

1. 일반적인 특성

본 연구의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Table 1과 같았다. 성별은 여성 203명(89.8%), 남성 22명(9.7%)였다. 연령은 20-29세 81명(35.8%), 40-49세 81명(35.8%), 50-59세 34명(15.0%), 30-39세 25명(1.1%), 60세 이상 4명(1.8%), 10-19세 1명(0.4%) 순 이였다. 학력은 대학교 졸업 98명(43.4%), 고등학교 졸업 80명(35.4%), 대학원졸업 47명(20.8%), 고등학교 재학생 1명(0.4%)의 순 이었다. 직업은 전문직 65명(28.8%), 학생과 회사원이 각 53명으로 23.5%, 자영업 31명(13.7%), 기타로는 11명(4.9%)였다. 소득수준은 250-500만원이 78명(34.5%), 150만원 미만이 70명(31.0%), 500만원 이상 40명(17.7%), 150-250만원미만은 32명(16.8%)였다.

2. 반영구화장 시술자에 대한 인식 분석

반영구화장 시술자에 대한 인식의 분석 결과는 Table 2와 같았다. 미용전문가에게 시술 받고 싶다고 한 사람은 193명으로 가장 많은 빈도였으며, 연령(χ2=28.049, p=0.021*), 학력(χ2=25.990, p=0.002**), 직업(χ2=40.861, p=0.000***), 소득수준(χ2=26.124, p=0.002**)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카이제곱의 값은 직업군에서 가장 높아 관련 정도가 특히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고 전문직, 회사원, 학생, 자영업 순으로 미용전문가에게 반영구시술을 받아야 한다는 인식이었다.

3. 반영구화장 인식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반영구화장 인식의 신뢰도와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고유치 1.0 이상의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과 카이저 정규화가 있는 베리멕스(varimax) 회전 방법을 실시하였다. 반영구화장 인식척도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Kaiser-Meyer-Olkin (KMO) 표본 적합성 검사와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KMO 측도는 0.674로 요인간의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artlett’s sphericity p=0.000으로 p<0.05의 값을 충족하여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요인의 신뢰계수(Cronbach’s α)는 0.724로 높은 신뢰 정도를 보였다.
반영구화장 인식척도의 요인분석 결과, 요인 1은 반영구화장의 시술자, 시술행위, 시술장소에 관한 문항으로 전반적인 반영구화장의 환경을 나타내고 있어 ‘환경적인식’이라 명명하였다. 요인 2는 시술자가 갖추어야 하는 자격에 대한 문항으로 시술자격이라 칭하였고, 요인 3은 반영구화장의 시술부위와 시술행위에 대한 문항으로 시술서비스라 하였다. 요인 4는 반영구화장의 장소를 묻는 문항으로 시술장소라 명명하였고, 요인 5는 앞으로의 반영구화장 시술계획과 시술을 받아본 경험에 대한 문항으로 시술경험이라 하였다. 분산이 26.366%, 14.165%, 10.125%, 9.904%, 9.890% 였고 추출된 요인의 고유값은 제 1요인 3.955%, 제 2요인 2.125%, 제 3요인 1.519%, 제 4요인 1.486%, 제 5요인 1.483% 였다. 본 요인들은 반영구화장 인식에 대하여 70.450%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다(Table 3).

4. 반영구화장의 사회적 인식과 시술자와의 소비자인식의 상관관계

항목별 변수의 상관관계 검증과 분석을 통하여 환경적인식, 시술자격, 시술서비스, 시술장소, 시술경험 변수들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각 변수인 반영구화장의 인식에 대하여 환경적인식의 결과는 Table 4와 같았다.
연령(r=-0.281, p=000***), 학력(r=-0.277, p=0.000***), 직업(r=-0.157, p=0.021*), 소득(r=-0.293, p=0.000***)에 대하여 부(-)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시술장소는 성별(r=0.140, p=0.036*)과 소득(r=0.161, p=0.017*)에서 약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연령(r=0.176, p=0.008**)과 직업(r=0.192, p=0.005**)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시술경험은 성별 (r=-0.198, p=0.003**), 연령(r=-0.306, p=0.000***), 학력(r=-0.198, p=0.003**), 직업(r=-0.280, p=0.000***), 소득수준(r=-0.322, p=0.000***)의 일반적 특성 모두에서 높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 결과는 반영구화장에 대한 시술 인식의 대중성을 시사하였고 연령에 따라 상관관계가 확인됨에 따라 향후 시술자의 연령이 더욱 낮아질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시술경험요인은 환경적 인식(r=0.273, p=0.000***)과 시술장소(r=-0.576, p=0.000***)에서 강한 상관관계가 파악되었다. 이 결과는 병원이 아닌 곳에서 반영구화장 시술을 받은 소비자가 많았고, 반영구화장 시술이 의료인에게만 시술 받는 것이 아니라 미용 전문가에게 시술을 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Discussion

10대부터 60대의 남녀를 대상으로 반영구화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최근 여성들이 자연스러운 메이크업을 선호하기 시작하면서 투명 메이크업의 형태로 트렌드화 됨에 따라 자연스러운 메이크업이 노 메이크업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에 점차 메이크업을 하지 않고서도 이미지 연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반영구화장이 급격하게 성장하게 되었다. 반영구화장은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눈썹의 형태변형을 하거나 숱을 채우고, 헤어 라인의 변형과 두피에 숱을 채우며, 눈에 아이라인을 그려 눈을 또렷하게 보이게 하고, 립도 붉게 색상을 부여함에 따라 이미지 변화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쳤다(Choi & Kim, 2023; Kim, 2024; Hong, 2018). 본 연구에서 반영구 시술경험이 있는 사람은 64.9%로 시술에 대한 경험과 만족도 모두 높은 것으로 도출되었다(Table 3). 본 연구의 설문조사 대상자들은 반영구 시술 시 디자인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선행된 연구와 본 연구 결과에서 반영구화장의 디자인은 이미지 변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Hong (2018)의 의하면 반영구화장의 선호도가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달라 지며, Kim & Kim (2022)의 연구에서도 반영구화장 눈썹의 조형 요소 중 형태 및 색채의 선호도가 이용자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결과에서도 반영구화장의 디자인은 얼굴 이미지변화에 높은 결정력을 갖는다고 파악된다.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및 콤플렉스는 반영구화장을 받음으로 시술에 만족하였고, 사회 문화적인 태도인 내면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외모 컴플렉스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더불어 반영구화장 시술을 통한 만족도가 시술자의 추천의도에 따라 긍정적인 결과를 초래하였다(Kim & Mo, 2022; Lim & Kim, 2023).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른 연구에도 반영구화장시술을 다시 받는다면 피험자집단 다수가 디자인을 잘 표현할 수 있는 반영구화장 전문가에게 받고 싶다고 하였다(Park & Shin, 2022). 이 결과는 본 연구에서 반영구 메이크업을 의료인이 아닌 미용인에게 시술 받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 연구에 의하면 반영구화장시술을 받는 환경이 잘 갖추어진 위생수준을 유지하고 시술자의 전문성과 신뢰성이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Park, 2016). 본 연구에서도 위생에 대한 부분이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었으나, 시술을 받은 다수의 의견은 시술위생보다 디자인적 요소에 더 높은 비율로 만족감이 도출되었다. 반영구화장의 다양한 테크닉이 발전하여 소비자의 만족도가 높아짐에 따라 활용하는 인구범위는 점차 더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 반영구화장의 위생과 환경부분을 중요시하게 생각하고 있으나 먼저 디자인과 색상에 대한 선호도가 뚜렷하였다. 이 결과는 소비자들이 의료인보다 미용전문가에게 시술 받을 경우 디자인부분에 있어 소비자가 만족도가 더 높을 것으로 추측된다. 반영구화장에 대한 지각된 서비스품질은 만족도에 미치는 시술절차, 시술환경, 시술제품, 시술전문가에 의하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Na & Song, 2023). 본 연구결과 에서도 시술하는 주체가 의료인보다 미용전문가가 시술하는 것이 디자인 부분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반영구화장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대한 조사결과는 위생 교육에 대한부분을 의무화하고 안전성부분에 있어 보장할 경우 소비자의 만족도는 물론이고 서비스질도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nclusion

본 연구는 다양한 연령층(10-60)인 남녀를 대상으로 반영구화장 직무가 소비자 인식과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첫째, 반영구화장은 성별, 연령, 직업, 소득에 상관없이 시술을 받고 있으며, 받고 싶어하였다. 둘째, 반영구화장의 서비스의 주체인 소비자들은 반영구화장이 의료법에 저촉이 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의료인(반영구 전문가, 미용인)에게 시술을 받으며 받고 싶어하였다. 셋째, 소비자들은 반영구화장이 의료행위로 체감하지 못하지만 위생부분이 중요하다 생각하고 있었다. 시술 처리과정이 위생적이게 지켜질 경우, 비의료인(반영구 전문가, 미용인)에게 시술을 받고 싶은 대상이 다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들이 반영구화장이 의료적 요인보다 디자인적 요소를 더욱 중요시 여긴다고 파악되었고, 반영구화장 시술은 반영구 전문가 또는 미용인들이 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의하면 추후 관리 관청에서 위생관련 규정을 강화하고 관리감독을 철저히 하며, 향후 교육 커리큘럼 개발과 의무 교육을 시행하여 소비자가 반영구전문가에게 안전한 시술을 받으며 개인이 원하고 만족할 수 있는 디자인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발판으로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본 연구 결과는 의료계와 미용업계 산업의 혼란을 막고 K-뷰티 시장의 활성화와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반영구화장의 신뢰확보를 위하여 전문적인 기술과 함께 법적 규제와 윤리 기준을 준수하여 전문가를 양성하여 반영구 시장의 혼란을 막고 미용시장의 활성화 및 성장의 발판을 통해 일자리 창출과 미용산업, 국가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NOTES

Acknowledge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support of research funding from the Korean Make-up Artist Association in 2024. We would like to express our gratitude for their support.
Author's contribution
MKK and EYJ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including research design, empirical analysis, and manuscript preparation.
Author details
Eun-Yeong Jeong (Professor),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eneral Graduate School, Seoul Christian University, 26-2, Galhyeon-ro 4-gil, Eunpyeong-gu, Seoul 034422, Korea; Min-Kyung Kim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Care, Jangan University, 1182 Samcheonbyeongma-ro, Bongdam-eup, Hwaseong-si, Gyeonggi-do 18331, Korea.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Division Frequency (N) Percentage (%)
Gender Male 23 10.2
Female 203 89.8
Ages 10-19 age 1 0.4
20-29 age 81 35.8
30-39 age 25 11.1
40-49 age 81 35.8
50-59 age 34 15.0
60 age and over 4 1.8
Final education High school 1 0.4
High school graduate or below 80 35.4
University graduation 98 43.4
Graduate school graduation 47 20.8
Occupation Student 53 23.5
Company employee 53 23.5
Specialized profession 65 28.8
Self-employed 31 13.7
Others 11 4.9
Income Under 1.5 million won 70 31.0
Between 1.5 million and less than 2.5 million won 32 16.8
Between 2.5 million and less than 5 million won 78 34.5
5 million won or more 40 17.7
Table 2.
Perception of the semi-permanent makeup practitioners
Division Semi-permanent makeup practitioners
Total Χ2 p
Doctor Nurse Beauty experts Etc.
Gender Male 1 (4.5) 0 (0.0) 17 (72.8) 5 (22.7) 23 (10.2) 4.241 0.644
Female 2 (1.0) 1 (0.5) 176 (86.7) 24 (11.8) 203 (91.2)
Ages 10-19 age 0 (0.0) 0 (0.0) 0 (0.0) 1 (100.0) 1 (0.4) 28.049 0.021*
20-29 age 2 (2.4) 1 (1.2) 62 (79.6) 16 (19.2) 81 (35.8)
30-39 age 1 (4.0) 0 (0.0) 21 (84.0) 3 (12.0) 25 (11.1)
40-49 age 0 (0.0) 0 (0.0) 74 (91.4) 7 (8.6) 81 (35.8)
50-59 age 0 (0.0) 0 (0.0) 32 (91.4) 2 (5.9) 34 (15.0)
60 age and over 0 (0.0) 0 (0.0) 4 (100.0) 0 (0.0) 4 (1.8)
Final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es 3 (3.7) 1 (1.4) 61 (75.3) 16 (19.6) 81 (35.8) 25.990 0.002**
Graduate school 0 (0.0) 0 (0.0) 88 (89.8) 10 (10.2) 98 (43.4)
Graduate degree holder 0 (0.0) 0 (0.0) 44 (93.6) 3 (6.4) 47 (20.8)
Occupatio Student 2 (3.0) 1 (1.5) 44 (66.7) 19 (28.8) 53 (23.5) 40.861 0.000***
Company employee 1 (1.9) 0 (0.0) 47 (88.7) 5 (9.4) 53 (23.5)
Specialized profession 0 (0.0) 0 (0.0) 61 (93.8) 4 (6.2) 65 (28.8)
Self-employed 0 (0.0) 0 (0.0) 30 (96.8) 1 (3.2) 31 (13.7)
Others 0 (0.0) 0 (0.0) 11 (100.0) 0 (0.0) 11 (4.9)
Income Under 1.5 million won 0 (0.0) 0 (0.0) 53 (75.7) 17 (25.3) 70 (31.0) 26.124 0.002**
Between 1.5 million and less than 2.5 million won 2 (6.3) 1 (3.1) 28 (87.5) 1 (3.1) 32 (16.8)
Between 2.5 million and less than 5 million won 1 (1.3) 0 (0.0) 70 (89.6) 7 (9.1) 78 (34.5)
5 million won or more 0 (0.0) 0 (0.0) 37 (92.5) 3 (7.5) 40 (17.7)
Total 3 (1.3) 1 (0.4) 193 (85.4) 29 (12.8) 226 (100.0)

* p<0.05;

** p<0.01;

*** p<0.001.

Table 3.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Perception items on semi-permanent makeup Factor
Communality
1 2 3 4 5
Environmental awareness Do you think that only medical professionals should be allowed to perform semi-permanent makeup procedures? 0.884 -0.171 0.061 0.058 -0.085 0.825
Do you think that semi-permanent makeup procedures should only be performed by medical professionals? 0.829 -0.007 0.164 0.151 0.185 0.771
Do you consider semi-permanent makeup to be a medical procedure? 0.806 -0.200 -0.032 -0.061 -0.006 0.694
Do you consider the use of numbing cream in semi-permanent makeup procedures to be a medical practice? 0.779 -0.048 -0.210 -0.313 -0.184 0.785
Do you believe that semi-permanent makeup procedures performed by non-medical beauty professionals can cause physical harm or pose health risks? 0.771 0.157 -0.019 0.137 0.146 0.659
Should semi-permanent makeup procedures only be performed in medical settings? 0.718 -0.200 0.135 0.105 0.154 0.609
Practitioner qualification Who do you think is most suitable to perform semi-permanent makeup procedures? -0.171 0.847 -0.024 -0.148 -0.121 0.784
Who would you prefer to receive semi-permanent makeup procedures from? -0.164 0.795 0.032 -0.028 0.114 0.674
What qualifications do you think are necessary for a semi-permanent makeup practitioner to obtain? 0.028 0.692 0.016 -0.084 -0.074 0.493
Treatment service Which area of your face did you receive semi-permanent makeup on? 0.031 -0.166 0.844 -0.104 0.000 0.752
What do you consider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semi-permanent makeup procedures? 0.052 0.199 0.835 -0.027 0.010 0.741
Treatment location Did you receive your semi-permanent makeup procedure at a medical facility? -0.064 -0.023 -0.090 0.768 -0.196 0.640
Where did you receive your semi-permanent makeup procedure? 0.206 -0.234 -0.054 0.695 0.057 0.587
Treatment experience Do you have any plans to receive semi-permanent makeup procedures in the future? 0.113 -0.158 0.024 0.047 0.885 0.824
Have you ever received a semi-permanent makeup procedure? 0.026 0.111 -0.024 -0.460 0.710 0.730
Eigenvalue 3.955 2.125 1.519 1.486 1.483
Variance (%) 26.366 14.165 10.125 9.904 9.890
Cumulative 26.366 40.531 60.560 60.560 70.450
Cronbach's α 0.843 0.679 0.633 0.642 0.685
Reliability 0.724
KMO, Bartlett test (%) KMO=0.674, Χ2=418.555, p<0.000

KMO, Kaiser Meyer Olkin.

Table 4.
Environmental awareness of perception of semi-permanent makeup
Gender Ages Final education Occupation Income Environmental awareness Practitioner qualification Treatment service Treatment location Treatment experience
Gender 1
Ages 0.038 1
Final education 0.021 0.504*** 1
Occupation 0.090 0.546*** 0.463*** 1
Income -0.068 0.528*** 0.546*** 0.374*** 1
Environmental awareness -0.077 -0.281*** -0.277*** -0.157* -0.293*** 1
Practitioner qualification -0.046 0.004 0.051 -0.003 0.204 -0.156 1
Treatment service -0.068 0.020 0.089 -0.086 -0.034 0.121 0.016 1
Treatment location 0.140* 0.176** 0.120 0.192** 0.161* -0.107 -0.065 -0.011 1
Treatment experience -0.198** -0.306*** -0.198** -0.280*** -0.322*** 0.273*** 0.089 0.074 -0.576*** 1

* p<0.05;

** p<0.01;

*** p<0.001.

References

Choi SDH, Kim ES. Effect of semi-permanent cosmetic users’ aesthetics on the satisfaction of eyebrow design: focusing on Gwangju citize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permanent Make up Research 4: 1-18. 2023.

Gu JH, Kim KE. The analysis of semi-permanent make-up study tre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7: 12-20. 2021.

Hong SN. Effects of preference for semi-permanent makeup on procedure satisfaction.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6: 165-177. 2018.
crossref pdf
Im DY, Jeon MG. A study on the legal improvement of semi-permanent makeups. Journal of the Business 5: 17-21. 2020.
crossref
Kim MY, Youn C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emi-permanent make up legislation. Journal of Beauty Industry 13: 81-102. 2019.

Kim HN, Son AK, Kim MK, Kim ES. A study of perception on the semi-permanent make up legislat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permanent Make up Research 1: 13-26. 2020.

Kim YM, Kim ES.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f form and color among the shaping formation elements of semi-permanent makeup eyebrow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permanent Make up Research 3: 27-44. 2022.

Kim YJ. Eyebrow semi-permanent makeup hairstroke technique treatment satisfaction and investigation of intent to re-perform. Journal of K Beauty in Society 4: 17-25. 2024.
crossref
Kim YS, Mo JH. The effect of social-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ppearance complex on semi-permanent treatment satisfaction.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20: 177-184. 2022.
crossref
Lim SY, Kim JH. The impact of semi-permanent makeup servic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nt to recommend to oth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9: 1577-1588. 2023.
crossref pdf
Na SM, Song TI. The influence of quality of semi-permanent makeup services on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Journal of Cultural Product and Design 72: 183-193. 2023.

Park GH. A study of the effects of semi-permanent makeup, customers’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customers’ intention to get the treatment again and recommend it to oth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7: 189-205. 2016.
crossref
Park SB, Shin SY. A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actual conditions of male consumers in their 50s and 60s for semi-permanent makeup. Journal of Business Convergence 7: 59-65. 2022.
crossref
Yang SM, Kim HH. A study on the actual survey of semi-permanent make-up and improvement plan for the legal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 482-494. 2018.

Editorial Office
No. 1505, 1506, 3rd Ace High-End Tower, 145, Gasan digital 1-ro, Geumcheon-gu, Seoul 08506, Korea
TEL: +82-2-6957-8155   FAX: +82-502-770-2278   E-mail: ajbc.edit@e-ajbc.org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