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Asian J Beauty Cosmetol > Volume 23(2); 2025 > Article
소셜미디어 피드백(평가 및 반응)과 성형 재수술 의향 및 성형 부위 결정 간의 관계

요약

목적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피드백이 미용성형 경험 여성의 외모 비교 및 성형 재수술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소셜미디어 자극 요인이 특정 성형 부위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20-39세 성형 경험이 있는 여성 28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빈도 분석,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정,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과

소셜미디어 피드백 경험이 있는 집단에서 성형 재수술 욕구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외모 비교 빈도가 증가할수록 성형 욕구가 강해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필터, 연예인, 인플루언서 등의 소셜미디어 자극 요인이 특정 성형 부위 결정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가 개인의 성형 의사 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외모 중심적 문화가 성형 재수술 욕구를 강화하는 순환 구조를 형성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social media feedback on appearance comparison and how it influences the intention to undergo revision surgery among women who have previously had cosmetic surgeries.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81 women aged 20–39 years, all of whom had a history of cosmetic surgeri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independent sample t-test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participants who received social media feedback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express an increased intention for revision surgery. Moreover, social media stimuli such as filters, celebrities, and influencers distinctly affected the surgical site decision.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t role of social media in shaping cosmetic surgery decisions. This indicates that a social media-driven, appearance-centered culture may contribute to a cycle of increasing revision desires for revision surgeries.

中文摘要

目的

本研究旨在探讨社交媒体反馈对外貌比较的影响,以及它如何影响曾经接受过整容手术的女性接受修复手术的意愿。

方法

对281名20-39岁有过整容手术史的女性进行在线调查,采用频数分析、交叉表、独立样本t检验、相关性分析、多元回归分析等方法对数据进行分析。

结果

结果显示,收到社交媒体反馈的参与者更有可能表达进行修复手术的意愿。此外,社交媒体刺激(例如滤镜、名人和影响者)明显影响了手术部位的决定。

结论

本研究强调了社交媒体在影响整容手术决策方面的重要作用。这表明,社交媒体驱动、以外表为中心的文化可能会加剧人们对修复手术的渴望。

Introduction

디지털 시대의 소셜미디어는 단순한 정보 교류를 넘어 개인의 자아 정체성과 외모 인식에 깊은 영향을 미치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Instagram과 TikTok 등과 같은 플랫폼은 이상적인 외모 기준을 지속적으로 제시하며 사용자들이 자신의 외모를 타인과 비교하고 평가하도록 유도한다(Kim & Park, 2020). 또한, 대중매체는 개인의 외모 인식 및 성형 수술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대학생들의 성형 의향 및 행동에도 중요한 요인이 된다(Huh & Lee, 2011). 이러한 과정은 외모 불만족을 증폭시키고, 개인의 심리적 스트레스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Higgins, 1987).
AI 기반 필터 기술은 사용자가 자신의 이미지를 이상화된 모습으로 변형할 수 있도록 하며, 현실적 외모와 이상적 외모 간의 괴리를 심화시킨다(Merino et al., 2024; Javornik et al., 2022). 이는 이상적 외모를 추구하려는 의향을 자극하며, 성형 수술과 같은 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인다(Lee & Kim, 2018). Shin & Park (2021)은 소셜미디어 사용이 외모 비교 경험과 성형 의향을 증대시킨다고 보고하였다. 특히, 성형 경험이 있는 여성들은 소셜미디어에서 받은 피드백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로 인해 성형 재수술 의향이 더욱 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Amandita & Saraswati, 2023). Cho (2016)는 완벽주의적 성향과 외모에 대한 집착이 성형 중독 및 성형 재수술 의향의 주요 심리적 요인이라고 설명하였다. Lee & Kim (2023)은 외모 지상주의와 자아존중감 저하가 성형 후 성형 재수술 의향을 강화한다고 분석하였으며, 이는 반복적인 성형 수술로 이어질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Li & Lee (2020)는 성형 수술 후 부작용이 심리적 안정성을 저해하고, 외모 불만족을 증가시켜 재수술을 고려하게 만든다고 밝혔다. 또한 Heo & Yang (2017)은 여성들의 사회문화적 태도가 성형 수술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대중매체와 소셜미디어가 외모 중심 문화를 조장한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피드백을 특정 소셜플랫폼(예:Instagram, TikTok)에서 사용자들이 외모와 관련하여 받은 평가 및 반응으로 정의하며, 이는 칭찬, 비교, 조언 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피드백(평가 및 반응)이 미용성형 경험 여성의 외모 비교 및 재수술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필터, 연예인, 인플루언서와 같은 소셜미디어 자극 요인과 소셜미디어 피드백이 성형 재수술 의향 및 특정 성형 부위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소셜미디어가 개인의 성형 의사 결정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가 외모 인식과 성형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분석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심화 확장하여 소셜미디어 피드백을 중심으로 성형 재수술 의향 및 특정 성형 부위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Methods

1. 연구문제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미디어 피드백이 성형 재수술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소셜미디어 피드백이 개인의 외모 인식 및 성형 관련 행동에 어떠한 경로로 작용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도출하였다.
가설 1 (H1): 소셜미디어 피드백경험은 성형 재수술 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H2): 외모 자신감과 외모 비교 경험은 성형 재수술 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H3): 성형 재수술 의향은 특정 성형 부위(예: 얼굴성형 및 신체성형) 결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연구대상 및 데이터 수집

본 연구는 2024년 8월 20일부터 8월 25일까지 서울 및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강원도, 제주에 거주하는 20-39세 성형 경험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Naver Forms를 활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0명의 응답 데이터 중, 불성실한 응답 19명을 제외한 281명의 데이터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3. 조사 도구 및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연령, 결혼 상태, 교육 수준, 직업, 평균 소득, 월 외모 관리 비용의 설문을 구성하였으며, 모든 변수는 명목척도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 설문지는 소셜미디어 사용 빈도, 외모 비교 경험, 외모 자신감, 인구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구성하였다. 설문문항은 선행연구(Jo & Lee, 2016; Lee & Lee, 2017; Shin & Park, 2021)를 기반으로 수정 및 보완하여 구성되었으며, 연구자의 연구 의도를 반영하여 설문지를 최종 확정하였다.

4. 분석방법

본 연구는 빈도 분석, 기술 통계 분석, 교차분석,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 상관분석(Pearson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 등을 활용하여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주요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미디어에서 받은 소셜미디어 피드백 경험 유무가 성형 재수술 의향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둘째, 외모 비교 빈도 및 자신감 변화가 성형 재수술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성형 재수술 의향 여부가 특정 성형 부위(얼굴성형 및 신체성형) 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해 빈도분석,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외모비교 경험, 외모 자신감 및 성형 재수술 의향 간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Statistics 26을 활용하였으며, 유의수준 p<0.05를 기준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Results and Discussion

1. 인구통계학적 특성

본 연구는 성형 경험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의 연령 분포는 20-24세(n=58, 20.6%), 25-29세(n=118, 42.0%), 30-34세(n=78, 27.8%), 35-39세(n=27, 9.6%)로 나타났다. 결혼 상태는 미혼(n=231, 82.2%)이 대다수를 차지하였으며, 기혼(n=50, 17.8%)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거주 지역의 분포를 살펴보면, 서울(n=122, 43.4%)과 수도권(n=90, 32.0%)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충청권(n=14, 5.0%), 호남권(n=21, 7.5%), 영남권(n=26, 9.3%), 강원도(n=7, 2.5%), 제주(n=1, 0.4%) 등의 지역 응답자가 포함되었다. 교육 수준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고등학교 졸업(n=55, 19.6%), 전문대 졸업(n=59, 21.0%), 대학교 졸업(n=161, 57.3%), 대학원 이상(n=6, 2.1%)으로, 대학교 졸업 이상의 응답자가 약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 분포를 살펴보면, 사무직(n=163, 58.0%)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그 외 학생(n=38, 13.5%), 자영업(n=30, 10.7%), 전문직(n=13, 4.6%), 프리랜서(n=20, 7.1%), 아르바이트(n=14, 5.0%), 기타(n=3, 1.1%) 등의 직업군이 포함되었다. 월 소득 수준은 200-300만 원 미만(n=128, 45.6%)이 가장 많았으며, 100-200만 원 미만(n=54, 19.2%), 300-400만 원 미만(n=77, 27.4%), 400-500만 원 미만(n=17, 6.0%), 500만 원 이상(n=5, 1.8%)으로 분포하였다. 월 외모 관리 비용을 기준으로 볼 때, 20-30만 원(n=100, 35.6%)을 지출하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10-20만 원(n=86, 30.6%), 40-50만 원(n=40, 14.2%), 10만 원 미만(n=48, 17.1%), 60-70만 원(n=5, 1.8%), 70만 원 이상(n=2, 0.7%) 순으로 나타났다.

2. 소셜미디어 피드백 경험과 성형 재수술 의향 간 관계(H1)

소셜미디어 피드백 경험 여부에 따라 성형 재수술 의향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Table 1), 소셜미디어 피드백 경험이 있는 집단(M=3.52, SD=1.26)이 없는 집단(M=2.89, SD=1.05)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재수술 의향이 높은 것으로 보였다(t=4.41, p<0.001).
소셜미디어 피드백의 일상에 영향 정도와 성형 재수술 의향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Table 2), 소셜미디어 피드백의 일상에 영향 정도와 성형 재수술 의향 간에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93, p<0.001). 즉 소셜미디어 피드백이 일상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수록 성형 재수술 의향도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앞서 소셜미디어 피드백의 일상에 영향 정도와 성형 재수술 의향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실질적으로 소셜미디어 피드백의 일상에 영향 정도가 성형 재수술 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질적인 영향 검증을 위해 일반적 특성의 영향을 통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3). Kim & Chung (2016)은 이상적 외모 기준이 개인의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상적 외모와 실제 외모 간의 격차가 심리적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강조하여 본 연구를 뒷받침 한다.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약 16.5%였으며, 회귀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F=6.70, p<0.001). 분산팽창지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는 모두 10 미만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 문제는 없었다. 회귀계수 유의성 검증 결과, 통제변인에서는 학력(β=0.15, p<0.05), 학생 여부(β=0.28, p<0.001), 소득(β=0.16, p<0.05)은 성형 재수술 의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쳐, 학력이 높을수록, 학생인 경우, 소득이 높을수록 성형 재수술 의향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소셜미디어 피드백의 일상적 영향(β=0.28, p<0.001)은 성형 재수술 의향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임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이 결과는 소셜미디어 피드백이 단순히 외모를 평가하는 도구를 넘어, 개인의 자아 이미지 형성과 심리적 안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 결과 성형 재수술 의향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3. 외모 비교 경험, 외모 자신감과 성형 재수술 의향 간 관계(H2)

외모 비교 경험, 외모 자신감과 성형 재수술 의향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외모 비교 빈도와 외모 자신감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372, p<0.001), 외모 비교 빈도와 성형 재수술 의향도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r=0.736, p<0.001)를 나타냈다. 외모 자신감과 성형 재수술 의향 간에도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r=0.407, p<0.001)가 확인되었다. 이는 소셜미디어 관여도가 높을수록 내적 만족 추구와 사회적 인정 추구 모두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Bae & Park, 2015), 그 결과 외모 비교 빈도가 높을수록 성형 재수술 의향 또한 증가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외모 비교 빈도와 외모 자신감이 성형 재수술 의향에 미치는 실질적인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 같다.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약 58.5%로 나타났으며(F=42.40, p<0.001), 통계적으로 적합한 모형으로 확인되었다. 분산팽창지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는 모두 10 미만으로 나타나 다중공선성 문제는 없었다. 통제변인 분석 결과, 학력(β=0.11, p<0.05), 학생 여부(β=0.18, p<0.01)는 성형 재수술 의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학력이 높을수록 학생인 경우 성형 재수술 의향도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독립변인인 외모 비교 빈도(β=0.65, p<0.001)와 외모 자신감(β=0.15, p<0.01) 역시 성형 재수술 의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외모 비교 빈도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β=0.65), 이는 외모 비교 경험이 많을수록 성형 재수술 의향이 증가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외모 자신감도 성형 재수술 의향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자신감이 높은 사람들이 더욱 이상적 외모를 추구하려는 가능성을 반영할 수 있다.

4. 소셜미디어 자극 요인에 따른 성형 수술 부위 결정 간의 관계(H3)

소셜미디어 사용이 성형 수술 부위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각각의 자극 요인이 특정 성형 부위 결정과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Table 6과 같다.
필터 및 사진 편집을 통한 외모 보정이 성형을 자극하는 경우, 복부 지방흡입 선택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χ2=12.26, p<0.001). 이는 소셜미디어에서 과장된 이미지가 복부 라인 개선을 위한 지방흡입 결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예인의 외모가 성형을 유도하는 경우, 눈(χ2=4.54, p<0.05), 코(χ2=4.12, p<0.05), 팔 지방흡입(χ2=5.74, p<0.05) 부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눈 성형이 연예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플루언서가 성형을 자극하는 경우, 눈(χ2=5.13, p<0.05)과 윤곽 성형(χ2=4.65, p<0.05)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인플루언서들의 얼굴형과 눈매 스타일이 성형 결정을 유도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회적 비교 요인이 성형을 자극하는 경우, 이마 성형(χ2=4.27, 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광고 및 프로모션이 영향을 미치는 경우, 팔자 주름 개선(χ2=4.50, p<0.05)과 및 안면거상(χ2=10.58, p<0.001), 종아리 축소(χ2=4.17, 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이는 미용 클리닉 광고의 효과와 관련될 가능성이 있다. 성형 앱이 성형을 자극하는 경우, 윤곽(χ2=7.20, p<0.01), 사각턱(χ2=5.03, p<0.05), 양악(χ2=19.05, p<0.001), 엉덩이 성형(χ2=12.08, p<0.001), 종아리 축소(χ2=9.69,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특히 양악과 종아리 축소 성형의 경우 성형 앱을 통한 가상 시뮬레이션이 결정 과정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성형 수술 부위 결정과 성형 재수술 의향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윤곽 및 유방 성형을 받은 경우 성형 재수술 의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χ2=6.30, p<0.05; χ2=4.69, p<0.05). 이는 윤곽과 유방 성형이 외모 변화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시간이 지나면서 추가적인 보완을 고려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반면, 허벅지 지방흡입과 엉덩이 성형을 선택한 경우, 성형 재수술 의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χ2=6.06, p<0.05; χ2=4.64, p<0.05). 이 부위는 상대적으로 노출 빈도가 낮고, 기능적 목적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아 시술을 고려하는 빈도가 적을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소셜미디어는 성형 결정 과정에서 특정 자극 요인과 성형 부위 간의 연관성을 형성하며, 더 나아가 성형 재수술 의향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시각적 이미지가 강조되는 디지털 환경에서는 필터 및 사진 편집, 연예인 및 인플루언서 콘텐츠가 특정 부위의 성형을 유도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이는 이상적인 외모 기준이 성형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영향력을 고려할 때 소셜미디어 내 성형 정보 제공 방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Discussion

연구 결과, 소셜미디어는 이상적 외모 기준을 강화하고, 외모 비교 및 특정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외모 관련 피드백을 통해 개인의 성형 재수술 의향을 유의미하게 촉진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정리하고 그에 대한 문제에 대해 해결 방향을 제시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미디어에서의 외모 관련 피드백 경험은 성형 재수술 의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반복적인외모 관련 피드백 경험은 성형 재수술 의향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소셜미디어의 외모에 대한 지속적인 압박은 개인의 얼굴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성형 수술에 대한 수용 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Lee & Lee (2017) 논의는 본 연구결과와 일맥상통한다. 이는 젊은 여성들의 매체 활용이 생활화되어 있고, 자본주의시대에 미의 추구가 하나의 소비패턴으로 자리잡고 있는 문화적 상황에서 미디어가 외모에 대한 개선 의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음을 검증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와 미용 산업의 올바른 관계 설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외모 비교 빈도와 외모 자신감은 성형 재수술 의향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로 작용하였으며, 외모 비교가 잦을수록 외모 자신감이 낮을수록 성형 재수술 의향이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Lee (2011)은 여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외모 만족도가 성형수술 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Chung (2003) 역시 외모 관심도와 외모 관리 행동이 미용 성형수술에 대한 인식과 수용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젊은 여성들이 외모에 대한 지속적인 비교 상황에 노출됨으로써 자신의 외모에 대한 자신감이 저하되고, 결국 성형을 통한 외모 개선 욕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악순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외모 비교와 관련된 부정적 영향을 완화할 수 있도록, 자아 존중감을 향상시키는 미디어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셋째, 필터, 연예인, 인플루언서 콘텐츠와 같은 소셜미디어 자극 요인은 특정 성형 부위 결정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쳤음이 검증되었다. 예를 들어, 필터 사용은 복부 지방흡입 선택과, 연예인 콘텐츠는 눈과 코 성형 선택에, 인플루언서 콘텐츠는 윤곽 성형 선택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이는 소셜미디어 관여도가 높을수록 내적 만족 추구와 사회적 인정 추구 모두 증가한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뒷받침한다(Bae & Park, 2015). 특히, 연령이 어릴수록 감각적인 광고나 인플루언서 콘텐츠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는 Lee et al. (2021)의 연구와도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젊은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성형 관련 콘텐츠의 확산에 대한 윤리적 규제와 대응책이 필요하다.
넷째, 소셜미디어는 이상적 외모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강화하는 구조적 환경을 형성하며, 개인의 성형 재수술 의향을 자극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상적 외모 기준이 개인의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상적 외모와 실제 외모 간의 격차가 심리적 불안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Kim & Chung (2016)의 연구와도 일치한다. 따라서 소셜미디어가 강화하는 외모 중심적 문화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필요하며, 소비자들이 성형 정보에 접근할 때, 광고나 SNS 홍보 콘텐츠에 치우치지 않고, 과학적이고 균형 잡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Conclusion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피드백과 자극 요인이 개인의 외모 인식, 성형 재수술 의향, 그리고 성형 수술 부위 결정에 미치는 심리적·사회적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셜미디어 피드백의 자극 요인이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현상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아 소셜미디어가 여성 개인의 외모 추구와 밀접한 관계를 형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와 외모 중심적 문화가 개인의 심리적·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학문적·사회적 의의를 제공한다. 특히, 소셜미디어에서 제공되는 소셜미디어 피드백의 자극 요인이 성형 재수술 의향 및 성형 부위 결정에 미치는 심리적 과정을 밝힘으로써, 향후 외모 중심적 문화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논의의 기초를 제공하였다. 외모 자신감이 높을수록 성형 재수술 의향도 증가한다는 결과는 긍정적 자기 이미지 강화 뿐 아니라, 자신감의 증가가 더 높은 외모 이상을 추구하는 동기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외모 중심적 문화가 성형 수술 경험 이후에도 성형 재수술 의향을 자극하는 순환 구조로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20-30대 여성만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연구 결과를 다른 연령대와 성별에 일반화하는 데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자가 보고식 설문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기에, 응답자의 주관적 편향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성별, 연령대, 문화적 배경을 고려하여 소셜미디어 피드백의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 보다 객관적이고 다각적인 데이터 수집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 결과의 신뢰성과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추후 문화적 배경에 따라 소셜미디어 사용과 외모 기준의 차이를 탐구함으로써, 소셜미디어와 외모 인식 간의 관계를 더욱 심도 있게 규명할 것이다.

NOTES

Author's contribution
HJK and HSJ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HJK and HSJ designed all experimental investigations and developed the methods for the cosmetic surgery study. HJK conducted the surveys, analyzed the data, and wrote the manuscript. HSJ supervised the project, provided critical feedback, and contributed to the final manuscript revision.
Author details
Hyeon-Ji Kim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Beauty Arts Care, Dongguk University, Pildong-ro 1-gil 30, Jung-gu, Seoul 04620, Korea and (Chief Director of Psyche Aesthetic), 11 Bongeunsa-ro 7-gil, Gangnam-gu, Seoul 06120, Korea; Han-Sung Jeon (Professor),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Department of Beauty Art Care, Dongguk University, Pildong-ro 1 gil 30, Jung-gu, Seoul 04620, Korea.

Table 1.
Comparison of revision surgery desires based on appearance feedback experience
Appearance feedback Sample size Revision surgery desire
t p
Average Standard deviation
Yes 188 3.52 1.26 4.41*** 0.000
No 93 2.89 1.05

*** p<0.001.

Table 2.
Correlation between the impact of feedback on daily life and increased desire for revision surgery
Appearance feedback Impact of feedback on daily life The desire for revision surgery
Impact of feedback on daily life 1
Revision surgery desire 0.293*** 1

*** p<0.001.

Table 3.
The impact of feedback on daily life and its effect on the desire for revision surgery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control variable B SE β t p VIF
Revision surgery desire (Constant) 1.46 0.44 3.33** 0.001
Independent variable
Impact of feedback on daily life 0.34 0.07 0.28 4.81*** 0.000 1.07
Control variable
Age −0.11 0.11 −0.08 −0.99 0.323 2.08
Marital status (married) 0.36 0.22 0.11 1.66 0.099 1.47
Region (Seoul metropolitan area) −0.27 0.17 −0.09 −1.57 0.117 1.16
Education level 0.23 0.10 0.15 2.16* 0.032 1.60
Occupation (student) 1.02 0.27 0.28 3.76*** 0.000 1.86
Average income 0.22 0.10 0.16 2.30* 0.022 1.64
Appearance management expenses 0.00 0.06 0.00 0.05 0.964 1.20
R2=0.165, adj R2=0.140, F=6.70 (p<0.001), Durbin-Watson=1.57

* p<0.05;

*** p<0.001.

Table 4.
Preferred cosmetic surgery areas based on social media factors stimulating the desire for surgery
Preferred cosmetic surgery areas Social media factors stimulating the desire for surgery
Filters and photo editing Celebrities Influencers Social comparison Advertising and promotions Plastic surgery apps
Forehead 28 (23.1) 26 (20.6) 26 (19.5) 5 (9.3) 6 (19.4) 2 (14.3)
χ2 (p) 2.11 (0.147) 0.30 (0.587) 0.02 (0.894) 4.27* (0.039) 0.00 (0.984) 0.23 (0.631)
Eyes 42 (34.7) 51 (40.5) 36 (27.1) 18 (33.3) 13 (41.9) 4 (28.6)
χ2 (p) 0.08 (0.781) 4.54* (0.033) 5.13* (0.024) 0.01 (0.935) 1.03 (0.310) 0.18 (0.671)
Nose 59 (48.8) 45 (35.7) 62 (46.6) 26 (48.1) 17 (54.8) 3 (21.4)
χ2 (p) 3.58 (0.059) 4.12* (0.042) 1.88 (0.170) 0.92 (0.337) 2.23 (0.136) 2.64 (0.104)
Nasolabial folds 14 (11.6) 22 (17.5) 18 (13.5) 6 (11.1) 8 (25.8) 0 (0.0)
χ2 (p) 0.69 (0.405) 3.03 (0.082) 0.00 (0.996) 0.33 (0.564) 4.50* (0.034) 2.30 (0.129)
Contour 31 (25.6) 32 (25.4) 21 (15.8) 13 (24.1) 6 (19.4) 7 (50.0)
χ2 (p) 2.31 (0.129) 2.23 (0.136) 4.65* (0.031) 0.30 (0.587) 0.08 (0.774) 7.20** (0.007)
Square jaw 5 (4.1) 8 (6.3) 13 (9.8) 4 (7.4) 1 (3.2) 3 (21.4)
χ2 (p) 2.33 (0.127) 0.06 (0.804) 3.64 (0.057) 0.04 (0.833) 0.69 (0.406) 5.03* (0.025)
Double jaw surgery 19 (15.7) 19 (15.1) 14 (10.5) 7 (13.0) 1 (3.2) 7 (50.0)
χ2 (p) 2.06 (0.152) 1.44 (0.230) 0.86 (0.353) 0.02 (0.900) 2.72 (0.099) 19.05*** (0.000)
Facelift 4 (3.3) 2 (1.6) 5 (3.8) 1 (1.9) 4 (12.9) 1 (7.1)
χ2 (p) 0.01 (0.932) 1.92 (0.166) 0.25 (0.615) 0.39 (0.530) 10.58** (0.001) 0.74 (0.390)
Facial liposuction 16 (13.2) 11 (8.7) 20 (15.0) 6 (11.1) 1 (3.2) 2 (14.3)
χ2 (p) 0.71 (0.400) 1.60 (0.206) 3.33 (0.068) 0.01 (0.943) 2.30 (0.129) 0.12 (0.726)
Fat grafting 5 (4.1) 5 (4.0) 6 (4.5) 2 (3.7) 1 (3.2) 0 (0.0)
χ2 (p) 0.03 (0.870) 0.00 (0.967) 0.24 (0.625) 0.01 (0.929) 0.04 (0.834) 0.60 (0.438)
Breast 46 (38.0) 52 (41.3) 58 (43.6) 18 (33.3) 15 (48.4) 7 (50.0)
χ2 (p) 0.43 (0.514) 0.11 (0.745) 1.21 (0.271) 1.32 (0.251) 0.97 (0.325) 0.59 (0.444)
Liposuction Arm 37 (30.6) 41 (32.5) 32 (24.1) 11 (20.4) 7 (22.6) 1 (7.1)
χ2 (p) 2.74 (0.098) 5.74* (0.017) 0.32 (0.569) 0.97 (0.325) 0.17 (0.681) 2.64 (0.104)
Abdomen 49 (40.5) 41 (32.5) 33 (24.8) 14 (25.9) 12 (38.7) 4 (28.6)
χ2 (p) 12.26***(0.000) 0.99 (0.320) 2.71 (0.100) 0.42 (0.517) 1.41 (0.235) 0.01 (0.935)
Thigh 29 (24.0) 27 (21.4) 21 (15.8) 16 (29.6) 7 (22.6) 2 (14.3)
χ2 (p) 1.44 (0.231) 0.09 (0.769) 3.63 (0.057) 3.30 (0.069) 0.08 (0.777) 0.36 (0.547)
Full body 15 (12.4) 16 (12.7) 17 (12.8) 7 (13.0) 2 (6.5) 2 (14.3)
χ2 (p) 0.00 (0.979) 0.01 (0.911) 0.03 (0.875) 0.02 (0.900) 1.15 (0.283) 0.05 (0.832)
Buttock augmentation 8 (6.6) 5 (4.0) 9 (6.8) 3 (5.6) 3 (9.7) 4 (28.6)
χ2 (p) 0.02 (0.902) 2.26 (0.132) 0.06 (0.815) 0.08 (0.777) 0.62 (0.430) 12.08** (0.001)
Calf reduction 13 (10.7) 13 (10.3) 14 (10.5) 7 (13.0) 0 (0.0) 5 (35.7)
χ2 (p) 0.00 (0.975) 0.03 (0.861) 0.01 (0.939) 0.37 (0.545) 4.17* (0.041) 9.69** (0.002)

* p<0.05;

** p<0.01;

*** p<0.001.

Table 5.
Cor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appearance comparison, appearance confidence, and desire for revision surgery
Variable Frequency of the appearance comparison Appearance confidence Increase in the desire for revision surgery
Frequency of the appearance comparison 1
Appearance confidence 0.372*** 1
Increase in desire for revision surgery 0.736*** 0.407*** 1

*** p<0.001.

Table 6.
The effect of appearance comparison frequency and appearance confidence on the desire for revision surgery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control variable B SE β t p VIF
The desire for revision surgerya (Constant) −0.03 0.32 −0.10 0.924
Independent variable
Frequency of the appearance comparison 0.68 0.04 0.65 15.22*** 0.000 1.20
Appearance confidence 0.15 0.05 0.15 3.39** 0.001 1.21
Control variable
Age −0.03 0.08 −0.02 −0.43 0.664 2.02
Marital status (married) 0.10 0.15 0.03 0.65 0.518 1.48
Region (Seoul metropolitan area) −0.06 0.12 –0.02 −0.51 0.612 1.16
Education level 0.17 0.07 0.11 2.24* 0.026 1.60
Occupation (student) 0.64 0.19 0.18 3.34** 0.001 1.88
Average income 0.11 0.07 0.08 1.66 0.097 1.65
Appearance management expenses 0.00 0.04 0.01 0.12 0.902 1.23
R2=0.585, adj R2=0.571, F=42.40 (p<0.001), Durbin-Watson=1.78

* p<0.05;

** p<0.01;

*** p<0.001.

Table 7.
The desire for revision surgery based on cosmetic surgery area selection
Cosmetic surgery area selection The desire for revision surgery
χ2 p
Increase No increase
Forehead 33 (61.1) 21 (38.9) 2.07 0.150
Eyes 48 (50.5) 47 (49.5) 0.18 0.668
Nose 63 (52.9) 56 (47.1) 0.03 0.857
Nasolabial folds 21 (55.3) 17 (44.7) 0.15 0.695
Contour 40 (66.7) 20 (33.3) 6.30* 0.012
Square jaw 10 (52.6) 9 (47.4) 0.00 0.977
Double jaw surgery 20 (57.1) 15 (42.9) 0.37 0.541
Facelift 6 (66.7) 3 (33.3) 0.77 0.381
Facial liposuction 19 (59.4) 13 (40.6) 0.72 0.396
Fat grafting 7 (63.6) 4 (36.4) 0.59 0.443
Breast 68 (60.2) 45 (39.8) 4.69* 0.030
Liposuction Arm 41 (56.9) 31 (43.1) 0.83 0.362
Abdominal 41 (49.4) 42 (50.6) 0.40 0.526
Thigh 22 (37.9) 36 (62.1) 6.06* 0.014
Full body 19 (54.3) 16 (45.7) 0.06 0.803
Buttock augmentation 13 (72.2) 4.64* 0.031
Calf reduction 18 (60.0) 2.04 0.153

* p<0.05.

References

Amandita TA, Saraswati H. Current role of social media in aesthetic plastic surgery: why plastic surgeons must take concern? Jurnal Rekonstruksi Dan Estetik 8: 117-134. 2023.
crossref pdf
Bae J, Park J. User motivation and happiness in social media: mediating effects of flow.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9: 45-66. 2015.
crossref
Cho M. Perfectionism, body dysmorphic concerns, and narcissistic personality traits: a clinical investigation in clients seeking cosmetic surgery.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Case Studies and Practice 1: 73-89. 2016.

Chung MS. The influence of self-perceived physical attractiveness on self-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adult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3: 165-179. 2003.

Huh E, Lee AR. Impacts of mass media and personal factors on attitudes towards plastic surgery and plastic surgery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 625-636. 2011.
crossref
Heo JR, Yang DH. A study on the sociocultural attitud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woman: focus on experience of cosmetic surgery.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8: 1315-1332. 2017.

Higgins ET. Self-discrepancy: a theory relating self and affect. Psychological Review 94: 319-340. 1987.
crossref pmid
Javornik A, Marder B, Barhorst JB, McLean G, Rogers Y, Marshall P, Warlop L. ‘What lies behind the filter?’ Uncovering the motivations for using augmented reality (AR) face filters on social media and their effect on well-be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28: 107126. 2022.
crossref
Jo EH, Lee MS. A study on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plastic surgery in students of beauty high school.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4: 239-247. 2016.
crossref pdf
Kim D, Park M.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body dissatisfaction and eating disorders of female social network service users: focusing on objectification theory and social comparison theory.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22: 469-480. 2020.
crossref
Kim J, Chung M. The effects of social appearance anxiety, negative body image and appearance importanc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cosmetic surgery intention. Fashion & Textiles Research Journal 18: 625-636. 2016.
crossref
Lee HK. Factors influencing needs for cosmetic surgery among high school girls. Women’s Health Nursing 17: 126-136. 2011.

Lee JS, Jun B, Kim BR, Lee JY. An analysis of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generation MZ in the post-Corona era.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9: 543-553. 2021.
crossref pdf
Lee M, Lee HH. The effects of SNS appearance-related photo activity on women’s body image and self-este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1: 858-871. 2017.
crossref
Lee S, Kim TG. The effects of self-discrepancy and depression on SNS addiction tendency among college students: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15: 511-535. 2018.

Lee YR, Kim JH. Undergraduate students’ psychological attitude toward cosmetic surger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4: 107-117. 2023.
crossref
Li ZH, Lee MS. Research on understanding and actual situation of Chinese adult women age of 20-40 on cosmetic plastic surgery.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8: 461-468. 2020.
crossref pdf
Merino M, Tornero-Aguilera JF, Rubio-Zarapuz A, Villanueva-Tobaldo CV, Martín-Rodríguez A, Clemente-Suárez VJ. Body perceptio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review of the impact of social media and physical measurements on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with a focus on body image satisfac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cultural and gender factors. Healthcare 12: 1396. 2024.
crossref pmid pmc
Shin SH, Park MJ. The effect of social comparison and internalization of the appearance of selfie-experienced on persons on self-editing,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plastic surgery intentions: focusing on women in their 20s and 3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7: 263-273. 2021.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E-Mail
  Print
Share:      
METRICS
0
Crossref
426
View
35
Download
Related article
Editorial Office
No. 1505, 1506, 3rd Ace High-End Tower, 145, Gasan digital 1-ro, Geumcheon-gu, Seoul 08506, Korea
TEL: +82-2-6957-8155   FAX: +82-502-770-2278   E-mail: ajbc.edit@e-ajbc.org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