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Asian J Beauty Cosmetol > Volume 22(1); 2024 > Article
Åbsoro-Pep TM 의 3D 라만 분광 피부 측정기를 이용한 피부 흡수도 개선에 대한 예비적 인체적용시험

요약

목적

피부는 외부 유해물질의 내부 침입을 보호하는 장벽기능을 한다. 이런 장벽기능은 유효성분의 흡수에 대해 방해 작용을 한다. 화장품 유효성분의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물질의 피부 흡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gold cysteinyl hydroxyprolyl dipeptide-48 hydroxyprolyl dipeptide-48을 핵심성분으로 하는 Åbsoro-PepTM 물질의 흡수도 개선에 대한 인체효능평가를 진행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20-68세의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3D Raman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Åbsoro-PepTM의 피부 흡수도(피부 흡수율, 피부 흡수 속도, 피부 흡수 깊이) 개선에 대한 인체적용시험을 실시하였다.

결과

피부 흡수도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 피부 흡수량, 피부 흡수 속도, 피부 흡수 깊이 모두 시험물질 사용전과 비교하여 시험물질 사용 30분 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p<0.001) 개선됨을 나타냈다. 또한 높은 농도인 시험물질 A 도포부위가 B 도포부위의 1.80배 피부 흡수율 개선, 2.13배 피부흡수속도 개선, 2.13 배 피부 흡수 깊이 개선으로 더욱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결론

금나노입자가 펩타이드와 결합한 Åbsoro-PepTM은 피부 흡수도를 개선하여 그 효능을 극대화함으로써 기능성 화장품에서의 폭넓은 활용과 응용을 기대하고자 한다.

Abstract

Purpose

The skin acts as a barrier to prevent external harmful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body. This function interferes with active ingredient absorption. Understanding the degree of absorption of the substance into the skin is important to predict the effectiveness of cosmetic active ingredien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human efficacy of Åbsoro-Pep™ substance, which contains gold cysteinyl hydroxy-prolyl dipeptide-48 as a key ingredient, for improving absorption.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human application test to evaluate the improvement in skin absorption (including absorption rate, speed, and depth) of Åbsoro-Pep™ using three-dimensional Raman spectroscopy, targeting adult women aged 20–68 year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skin absorption rate, speed, and depth were all significantly enhanced (p<0.001) 30 min after application of the test substance compared to before application. Additionally, a high-concentration test confirmed that substance A application site was more helpful than substance B application site by improving skin absorption rate, speed, and depth by 1.80, 2.13, and 2.13 times, respectively.

Conclusion

Åbsoro-Pep™, which combines gold nanoparticles with peptides, is expected to be predominantly used and applied in functional cosmetics to improve skin absorption.

中文摘要

目的

皮肤起到屏障作用,防止外部有害物质侵入内部。这种屏障功能会干扰活性成分的吸收。为了预期化妆品活性成分的有效性,了解皮肤吸收该物质的程度非常重要。本研究旨在评估Åbsoro-Pep™物质的人体功效,该物质含有 gold cysteinyl hydroxyprolyl dipeptide-48 hydroxyprolyl dipeptide-48 作为关键成分,可改善吸收。

方法

本研究利用3D拉曼光谱针对20-68岁成年女性对Åbsoro-Pep™的皮肤吸收改善(皮肤吸收率、皮肤吸收速度、皮肤吸收深度)进行了人体应用测试。

结果

分析皮肤吸收改善情况的结果显示,与使用前相比,使用受试物30分钟后,皮肤吸收率、皮肤吸收速度和皮肤吸收深度均提高至统计学显着水平(p<0.001)。此外,还确认高浓度试验产品A涂抹部位比试验产品B更有帮助,皮肤吸收率提高了1.80倍,皮肤吸收速度提高了2.13倍, 皮肤吸收深度提高了2.13倍。

结论

将金纳米颗粒与肽相结合的Åbsoro-Pep™有望通过改善皮肤吸收而在功能性化妆品中得到广泛应用和应用。

Introduction

펩타이드는 피부와 머리카락 등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더 작은 단위로 아미노산이 2개 이상 결합되어 있는 분자를 말한다. 아미노산이 결합해 있는 펩타이드는 피부의 구성 성분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펩타이드가 피부에 흡수되면 그 효과는 유의미하게 긍정적이다. 펩타이드는 피부를 지탱해주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생성을 촉진하여 피부 장벽을 강화하고 피부의 재생을 도와 피부탄력과 주름 복구 등 피부 자체를 건강하게 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임이 여러 연구 결과로 증명되었다(Kim et al., 2021a; Zhang et al., 2020).
이처럼 펩타이드 등과 같은 피부 생리 활성에 유용한 성분들이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피부에 흡수되어 필요한 위치에 전달되어야 한다. 피부전달의 측면에서 우선 먼저 피부의 구조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피부는 크게 표피, 진피, 피하조직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중 가장 외부에 존재하는 표피는 각질층, 과립층, 가시층, 기저층으로 나뉘어진다(Kim et al., 2019; Kim et al., 2020). 피부 각질층은 표피의 최외각층에 존재하는 약 10-20 µm 두께의 구조물로서, 체내 수분과 전해질의 손실을 방지하고 외부 유해 물질의 내부 침입을 보호하는 피부장벽기능에서의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Kim et al., 2013). 각질층은 케라틴 단백질, 천연보습인자를 함유한 각질세포와 이 세포 사이를 메워주는 세포간 지질(intercellular lipid)로 구성되는 '라멜라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런 구조적 특성을 지닌 피부 장벽에 의해 각질층을 통한 기능성 유효성분의 흡수에 대해서는 방해요소로 작용하게 되었다(Kim et al., 2013; Chung & Han, 2014; Im et al., 2015).
따라서 유효성분의 경피 흡수와 약물 경피전달시스템(transdermal delivery)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경피 흡수 촉진하는 방법으로는 제형적, 물리적, 생물학적 접근 등이 있다(Chung & Han, 2014). 제형적 방법에는 리포좀 제형이 있다(Chung & Han, 2014; Kim et al., 2019). 리포좀은 생체막의 성분인 인지질을 주성분으로 유효성분을 효율적으로 피부에 침투시킬 수 있는 전달체로 리포좀 내부의 활성성분을 효과적으로 세포 내로 전달할 수 있다(Han et al., 2014; Chung & Han, 2014). 리포좀을 이용한 선행 연구로는 탄성리포좀을 사용하여 소수성 물질인 쿼세틴의 경피 전달하는 연구(Park et al., 2012), 비타민 C 유효성분을 독자기술로 리포좀형태로 만들어서 세포 효능을 평가하는 연구(Joo et al., 2022) 등이 있다.
물리적 접근에는 전위차를 이용한 이온성 약물의 피부투과를 증진시키는 iontophoresis, 고전압을 이용한 sonophoresis, 초음파를 이용하여 약물이 생체막에 통과하여 피부에 침부시키는 electroporation, 피부에 마이크로 홀을 만들어 유용한 물질의 효과적인 흡수를 도와주는 microneedle therapy system 등이 있다(Chung & Han).
생물학적 접근에는 세포투과펩타이드(cell penetrating peptide)가 있다. 세포투과펩타이드는 일반적으로 약 10-30개의 짧은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며, 세포막에 손상을 주지 않고 세포 내로 투과되지 못하는 분자량이 큰 단백질도 세포 안으로 운반할 수 있는데 이는 기능성 화장품에 함유되어 있는 활성 성분 또는 유효성분을 효율적으로 세포 안으로 침투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An et al., 2019; Park et al., 2019). 세포투과펩타이드 중 tat-peptide가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데(Wender et al., 2000; Shin, 2009), 이는 HIV 바이러스가 세포막을 투과할 때 분비되는 펩티드로 몸집이 큰 바이러스가 급속도로 세포를 투과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또한 합성이 어렵고 비용적인 면에서 실용화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Kim et al., 2019; Lee et al., 2014).
본 연구에서는 생의학적면에서 많이 활용되어진 금 나노입자(Kim et al., 2004; Elahi et al., 2018)를 전달체로 선택하였다. 금 나노입자는 고유한 광학적, 전자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의료,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Kim et al., 2004; Elahi et al., 2018). 특히 금 나노입자는 우수한 생체적합성을 갖고 있으며,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조 가능하며, 표면에 여러 작용기를 도입 할 수 있어 합성 또한 용이하다(Kim et al., 2004; Elahi et al., 2018). 금 나노입자는 다른 나노 입자에 비해 표면을 쉽게 개질할 수 있어서 입자표면에 단백질, 펩타이드, DNA 등과 같은 질병인식 가능한 생체소재를 부착할 수 있어 질병치료(Guo et al., 2016; Kim et al., 2004) 및 화장품(Kim et al., 2021b) 등에 활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금-펩타이드 나노입자의 제조(Hur & Min, 2021), 추출물로 합성한 금 나노입자의 특성과 항산화 활성(Park & Park, 2017) 등 연구가 있으나 금-펩타이드 나노입자의 피부 흡수 관련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citrate 환원법(Turkevich et al., 1951)을 이용하여 표면이 citrate로 둘러싸인 금 나노입자를 합성하고 입자 표면을 둘러싼 수많은 카복실레이트 작용기와 펩타이드의 다양한 작용기 사이의 결합을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펩타이드를 결합한 금 나노입자인 골드시스테이닐하이드록시프롤릴다이펩타이드-48하이드록시프롤릴다이펩타이드-48을 제조하였다. 또한 3D 라만 분광 피부측정기(Raman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피부 속 까지 침투 여부를 확인하고자 피부흡수 개선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Methods

1. 인체적용 피시험자 정보

본 연구는 기관생명연구윤리위원회의 승인(KIDSIRB-2023-764) 하에 인체적용시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피험자 선정기준에 부합되고, 선정기준에 제외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20-68세의 성인 여성 23명을 대상으로 2023년 6월 19일부터 2023년 7월 12일까지 진행하였다.

2. 시험물질 정보

본 연구에 사용된 시험물질은 ㈜익성(Korea)에서 제공한 골드시스테이닐하이드록시프롤릴다이펩타이드-48하이드록시프롤릴다이펩타이드-48를 핵심성분으로 하는 Åbsoro-PepTM를 사용하였다. 시험물질 A, B는 각각 농도가 12 ppm, 3 ppm이었다.

3. 시험물질의 용법 및 용량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왼쪽/오른쪽 전완부위에 4×4 cm2 측정부위를 표시한 후 왼쪽 전완부위에는 시험물질 A인 Åbsoro-PepTM (12 ppm)을, 오른쪽 전완부위에는 시험물질 B인 Åbsoro-PepTM (3 ppm)을 각각 동일한 양 0.5 mL를 고르게 도포한 후 흡수시켰다.

4.측정장소

본 인체적용시험은 한국피부과학연구원에서 동일한 세정제로 세정 후 30분간 항온항습실(온도: 22±2℃, 습도: 50±5%)에서 안정을 취한 뒤 측정하였다.

5. 측정도구 및 분석

1)3D Raman spectroscopy

라만 분광 피부 측정기는 피부 표면으로부터 수십-수백 μm 아래까지 피부 깊이에 따른 물질 투과도를 광학적인 방법으로 얻을 수 있으며, 생체 내에서 실시간으로 이미징 분석이 가능하다(Caspers et al., 2000; Jeon et al., 2014). 시료를 피부에 도포하여 흡수시킨 후, 라만 분광피부 측정기를 이용하여 특정 파장에서 피부 깊이에 따른 시료 물질의 투과도를 확인할 수 있다(Jeon et al., 2014). 본 연구에서는 3D Raman spectroscopy (Japan)을 이용하여 532 nm의 파장에서 측정하였으며, 기기표면으로부터 75 μm 까지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기기측정은 시험물질 사용 전과 사용 30분 후의 시점에서 이루어졌다.

1) 피부 흡수율 개선 평가

본 연구는 3D Raman spectroscopy (Japan)을 이용하여 동일한 시험당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양쪽 전완부위(시험물질 A 도포부위, 시험물질 B 도포부위)를 측정하였다. 또한 데이터 분석은 전용 분석 프로그램인 3D Raman spectroscopy Software를 이용하여 피부 흡수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피부 흡수량은 피부 내로 흡수된 시험물질의 양을 계산하였으며, 측정값을 임의단위(A.U.: arbitrary unit)로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측정값이 유의하게(p<0.05) 증가할수록 피부 흡수율이 개선되었음을 나타낸다.

2) 피부 흡수 속도 개선 평가

본 연구는 3D Raman spectroscopy (Japan)을 이용하여 동일한 시험당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양쪽 전완부위(시험물질 A 도포부위, 시험물질 B 도포부위)를 측정하였다. 또한 데이터 분석은 전용 분석 프로그램인 3D Raman spectroscopy Software를 이용하여 피부 흡수 속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피부 흡수 속도는 시간 단위당 피부 내로 흡수된 시험물질의 투과 깊이를 계산하였으며, 측정값을 μm/h로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측정값이 유의하게(p<0.05) 증가할수록 피부 흡수 속도가 개선되었음을 나타낸다.

3) 피부 흡수 깊이 개선 평가

본 연구는 3D Raman spectroscopy (Japan)을 이용하여 피부 흡수 깊이 개선 평가 를 위하여 동일한 시험당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양쪽 전완부위(시험물질 A 도포부위, 시험물질 B 도포부위)의 동일한 지점을 피부의 표면으로부터 5 μm단계로 총 75 μm 깊이까지 측정하였다. 또한 데이터분석은 전용 분석프로그램인 3D Raman spectroscopy Software를 이용하여 피부 흡수 깊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피부 흡수 깊이는 μm로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측정값이 유의하게(p<0.05) 증가할수록 피부 흡수 깊이가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3. 통계분석

본 시험의 통계처리는 SPSS 17.0 for Windows 프로그램(IBM,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피부 흡수도(피부 흡수율, 피부 흡수 속도, 피부 흡수 깊이) 개선도에 대한 기기측정 결과의 유의한 변화 여부를 분석하기 위하여 paired t-test와 independent t-test 분석을 실시하였고, 시험물질 사용 전 사용부위와 대조물질 사용 전 사용 부위 간의 동질성 여부를 independent t-test와 Mann-Whitney U 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Results

1. 시험지원자 기본정보

본 연구에 참여한 시험자 인적 정보 특성은 일반 성인 여성 23명을 대상으로 평균연령은 45세이며, 자세한 사항은 Table 1과 같다.

2. 피부 흡수율 개선 평가

3D Raman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양쪽 전완부위의 피부 흡수율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피부 흡수량이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도포 30분 후 시험물질 A, B 도포부위에서 각각 55.79%, 31.04%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01)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물질 A 도포부위가 B 도포부위의 1.80배로 피부 흡수율 개선이 더 높게 나타났다.

3. 피부 흡수 속도 개선

3D Raman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양쪽 전완부위의 피부 흡수 속도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3와 같다. 피부 흡수 속도가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도포 30분 후 시험물질 A, B 도포부위에서 각각 126.48%, 59.45%로 나타났다.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시험물질 A, B 도포부위 모두 도포 30분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p<0.001), 피부 흡수 속도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험물질 A 도포부위가 B 도포부위의 2.13배로 흡수 속도 개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피부 흡수 깊이 개선

3D Raman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양쪽 전완부위의 피부 흡수 깊이 개선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피부 흡수 깊이가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도포 30분 후 시험물질 A, B 도포부위에서 각각 126.44%, 59.46%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01) 증가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로써 피부 흡수 깊이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Δ피부 흡수 깊이 비교 결과, 시험물질 A 도포부위가 B 도포부위의 2.13배로 더욱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Discussion

산업이 발전하고 경제가 성장하고 생활수준이 나날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과 아름다움에 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Heo et al., 2019). 이에 미백효과, 주름개선, 보습 등 다양한 화장품들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면서 이런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천연활성성분에 대한 연구도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다(Heo et al., 2019; Ku et al., 2023; Kim & Kim, 2023). 그 중에서 아미노산 중합체인 펩타이드는 우수한 생리 활성, 안정성 등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분자량이 작아 합성이 가능함으로 미백 및 주름 개선 기능성 화장품소재로도 주목받고 있다(Park et al., 2019; Han et al., 2008). 그러나 피부의 형태학적 특성상 고분자, 약물이나 단백질, 펩타이드, 친수성 약물이 피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있으므로(Gupta & Rai, 2017), 실제로 피부에서 효능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이는 표피의 최외각층인 각질층의 지질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으로 라멜라 구조를 형성하여 피부 장벽 기능으로 작용하여 외부 물질의 투과를 방해하고 있기 때문이다(Kim et al., 2013; Chung & Han, 20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부 속까지 침투할 수 있는 전달체인 금나노입자를 선택하여 펩타이드와 결합하여 피부 세포 사이사이로 펩타이드가 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여 피부 흡수 개선효과를 분석하였다.
피부 흡수는 시험 물질의 제형, 물리화학적 성질, 피부의 상태, 온도, 습도 등 다양한 조건에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Pappinen et al., 2007). Seo et al. (2017)에서는 피부는 시험 물질의 농도, 피부 종류, 시험 물질의 제형, 수용성 및 지용성 성질 등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그리고 저분자 일수록, 적절한 친유성 일수록 물질자체의 흡수가 뛰어난 것으로 보고하였다(Lee, 2018). 또한 농도가 높을수록 피부 구조 내에서 확산이 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Ye et al., 2011). Seo et al. (2017)연구에서도 임의로 2%와 5% 농도를 설정한 농도에 따른 실험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투과가 증가한다고 하였다. 이는 본 연구에서 높은 농도인 시험 물질 A (12 ppm)가 시험물질 B (3 ppm)의 1.8배 피부 흡수율 개선, 2.13배 피부 흡수속도 개선, 2.13배 피부 흡수 깊이 개선이 된 것과 비슷한 결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 외에 Yamashita et al.(1993)에서도 농도의존적으로 투과가 증가하는 것을 보고하여 본 연구를 한층 뒷받침하고 있다. 이는 피부 흡수를 고려할 때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농도를 결정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Seo et al., 2017).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금나노입자가 펩타이드와 결합한 Åbsoro-PepTM의 피부 흡수도(피부 흡수량, 피부 흡수 속도, 피부 흡수 깊이) 연구 결과, 시험물질 사용 전과 비교하여 도포 30분 후 시험물질 A, B 도포부위에서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01). 또한 시험물질 A 도포부위가 B 도포부위의 1.80배 피부 흡수율 개선, 2.13배 피부흡수속도 개선, 2.13 배 피부 흡수 깊이 개선으로 더욱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Åbsoro-PepTM는 피부 흡수를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Åbsoro-PepTM의 핵심성분인 골드시스테이닐하이드록시프롤릴다이펩타이드-48하이드록시프롤릴다이펩타이드-48의 피부로의 흡수 메커니즘에 대해서 밝힐 예정이며, 또한 유효성분인 펩타이드의 주름개선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다. 금나노입자를 통하여 펩타이드 등 기능성 유효 성분의 피부 흡수를 개선하여 그 효능을 극대화함으로써 기능성 화장품에서의 폭넓은 활용과 응용을 기대하고자 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주) 익성에서 의뢰하여 진행하였음.

NOTES

Author's contribution
SBK and SP designed this study together. SBK and SP performed experimental design and data analysis. SBK, SP, MLS and KJA wrote the manuscript. SBK, BL, MLS and KJA revised the manuscript. ISA supervised the project. All authors read and confirmed the final version of manuscript.
Author details
Seung Bin Kwon (Head of Research Institute)/Soyeon Park (Assistant Manager)/Mi Lyeong Son (Manager)/Kyu Joong Ahn (Academic Consultant & Dermatologist)/In-Sook An (CEO),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 Science, 6F, Tower A, 25, Beobwon-ro 11-gill, Songpa-gu, Seoul 05836, Korea; Bongjik Lee (CEO), Iksung Co., Ltd, 714, Geumil-ro, Samseong-myeon, Eumseong-gun, Chungcheongbuk-do 27653, Korea.

Table 1.
General information for the test subjects
Item N
Enrolled subject volunteers 23
Number of final completed test subjects 23
Gender Male 0
Female 23
Average age±standard deviation 45±10.14
Table 2.
Change in skin absorption rate
Test substance A application site
Test substance B application site
Before use 30 minutes after use Δ Skin absorption Before use 30 minutes after use Δ Skin absorption
Mean 6128.74 9548.13 3419.39 6169.82 8085.10 1915.28
Standard deviation 117.92 849.14 852.99 130.15 396.89 350.41
Enhancement (%) 55.79 31.04
p-value 0.000*** 0.000***
Table 3.
Change in skin absorption speed
Test substance A application site
Test substance B application site
Before use 30 minutes after use Δ Skin absorption Before use 30 minutes after use Δ Skin absorption
Mean 57.17 129.48 72.30 57.48 91.65 34.17
Standard deviation 1.29 18.08 17.95 1.90 11.55 11.76
Enhancement (%) 126.46 59.46
p-value 0.000*** 0.000***
Table 4.
Change in skin absorption depth
Test substance A application site
Test substance B application site
Before use 30 minutes after use Δ Skin absorption Before use 30 minutes after use Δ Skin absorption
Mean 28.59 64.74 36.15 28.74 45.83 17.09
Standard deviation 0.65 9.04 8.97 0.95 5.77 5.88
Enhancement (%) 126.46 59.46
p-value 0.000*** 0.000***

References

An GM, Park SI, Kim MG, Heo SH, Shin MS. Enhancement of skin permeation of Pyrus serotina var leaf extract using polymner micelle and liposome containting cell penetrating peptide.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36: 685-699. 2019.

Caspers PJ, Lucassen GW, Bruining HA, Puppels GJ. Automated depth-scanning confocal Raman microspctometr for rapid in vivo determination of water concentration profiles in human skin. Journal of Raman Spectroscopy 31: 813-818. 2000.

Chung JY, Han HS. The recent trend of percutaneous absorption used in cosmetic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2: 597-605. 2014.

Elahi N, Kamali M, Had Baghersad M. Recent biomedical applications of gold nanoparticles: a review. Talanta 184: 537-556. 2018.
crossref pmid
Guo J, O’driscoll CM, Holmes JD, Rahme K. Bioconjugated gold nanoparticles enhance cellular uptake: a proof of concept study for siRNA delivery in prostate cancer study for siRNA delivery in prostate cancer cell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509: 16-27. 2016.
crossref pmid
Gupta R, Rai B. Effect of size and surface charge of gold nanoparticles on their skin permeability: a molecular dynamics study. Scientific Reports 7: 45292. 2017.
crossref pmid pmc pdf
Han JG, Kim HS, Kwon MC, Kim JC, Hwang BY, Lee HY. Skin whitening and skin immune activities of the peptides isolated from Crassostrea gigas by ultrasonification processe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0: 394-399. 2008.

Han SB, Kwon SS, Jeong YM, Kong BJ, Yu ER, Park SN. Physical characterizations and in vitro skin permeation of elastic liposomes for transdermal delivery of Polygonum aviculare L. extract. Polymer 38: 694-701. 2014.
crossref
Heo SH, Park SI, An GM, Shin MS. Physiological activity of Robinia pseudo acacia leaf extracts and enhancement of skin permeation using polymer micelles and cell penetrating peptid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5: 271-282. 2019.

Hur YM, Min KI. Preparation of gold-peptide hybrid nanoparticles and its application in catalytic reduction of methylene blue. Applied Chemistry of Engineering 32: 163-167. 2021.

Im NR, Kim HS, Lim JW, Kim KJ, Noh GY, park Sn. Characterization and transdermal delivery of ethosomes loaded with liqiritigenin and liquiritin.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26: 563-568. 2015.

Jeon S, Chung DK, Hwang JS. The study on the skin penetration of cosmetic ingredient with in vivo Raman Spectroscopy and in vitro Franz cell.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40: 1-10. 2014.
crossref
Joo YE, Kwon SB, Kwon YJ, Choi YW, Kim MJ, Sun M, Ahn KJ, An IS. Effects of ‘NEOGEN VBIOME LIPOSOME™’ on the increased wxpression of COL1A1 and HAS2 mRNA in human dermal fibroblast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0: 451-459. 2022.

Kim B, Cho HE, Moon SH, Ahn SH, Bae S, Cho HD, An S. Transdermal delivery systems in cosmetics. Biomedical Dermatology 4: 10. 2020.
crossref pdf
Kim H, Shin JU, Lee KH. Atopic dermatitis and skin barrier dysfunction.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1: 20-28. 2013.
crossref
Kim MG, Park SJ, An GM, Heo SH, Shin MS. Physiological activity of supercritical Porai cocos back extract and its skin delivery application using epidermal penetrating peptide.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s and Technology 36: 766-778. 2019.

Kim MY, Noh SM, Kim JM, Choi HG, Kim JA, Oh YK. Protein-coating evaluation method of colloidal gold nanoparticles.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34: 465-469. 2004.
crossref
Kim DS, Jeong SH, Kim IY. Synthesis of colloidal gold and application of skin care cosmetics. Journal of the Korean Oil Chemists’s Society.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38: 1325-1334. 2021b.

Kim HS, Hong WK, Lee MH, Kim HM, Chung HC, Lee JH. The effect of low molecule collagen peptide on skin anti-glycation and collagen synthesis as a skin aging therapy. Journal of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47: 147-153. 2021a.

Kim J, Kim B. Anti-aging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the stems and roots of Sedum kamtschaticum in cosmetic production.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1: 371-382. 2023.
crossref pdf
Ku HB, Park K, Cheon MG, Choi SW, Kim GK. Whitening effect of thinned immature apple mango (Mangifera indica L. Irwin).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1: 675-685. 2023.

Lee SH. Screening of skin-permeable peptide in thermal stabiliziling formulation using phage display.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46: 326-333. 2018.
crossref
Lee DH, Jung HN, Yoo JY, Kim BI, Park WC. Derivatives conjugated to cell penetrating peptide and uses thereof. Korea patent 10-2012-0087705. 2014.

Park SN, Lim MS, Park MA, Kwon SS, Han SB. Transdermal delivery of quercetin using elastic liposomes: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skin permeation study. Polymer 36: 705-711. 2012.
crossref
Park SI, An GM, Kim MG, Heo SH, Shin MS. Enhancement of skin permeation of wrinkle improvement peptides GHKs using liposomes containing skin penetrating peptide.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36: 853-865. 2019.

Park JO, Park G. Characteriz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old nanoparticles synthesized using Bambusae Caulis in Taeniam extract.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6: 239-248. 2017.
crossref
Pappinen S, Tikkinen S, Pasonen-Seppänen S, Murtomäki L, Suhonen M, Urtti A. Rat epidermal keratinocyte organotypic culture (ROC) compared to human cadaver skin: the effect of skin permeation enhancers. Europe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30: 240-250. 2007.
crossref pmid
Shin SY. Cell-penetrating peptides as drug delivery carriers.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34: 1-10. 2009.

Seo JE, Lee J, Kim BH. A permeation characteristics study of water- or oil-soluble substances through condition setting for the in vitro skin absorption method.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43: 77-86. 2017.
crossref
Turkevich J, Stevenson PC, Hillier J. A study of the nucleation and growth processes in the synthesis of colloidal gold. Discussions of the Faraday Society 11: 55-75. 1951.
crossref
Wender PA, Mitchell DJ, Pattabiraman K, Pelkey ET, Steinman L, Rothbard BJ. The design, synthesis, and evaluation of molecules than enable or enhance cellular uptake: peptoid molecular transporter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97: 13003-13008. 2000.
pmid pmc
Yamashita F, Yoshioka T, Koyama Y, Okamoto H, Sezaki H, Hashida M. Analysis of skin penetration enhancement based on a two-layer skin diffusion model with polar and nonpolar routes in the stratum corneum: dose-dependent effect of 1-geranylazacycloheptan-2-one on drugs with different lipophilicities. Biological and Phamaceutical Bulletin 16: 690-697. 1993.
crossref
Ye N, Lin Y, Pan J, Liu S, Rao P. PTD mediated protein transduction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in medical f ield. Sheng Wu Yi Xue Gong Cheng Xue Za Shi 28: 401404. 2011.

Zhang Z, Zhu H, Zheng Y, Zhang L, Wang X, Luo Z, Tang J, Lin L, Du Z, Dong C. The effects and mechanism of collagen peptide and elastin peptide on skin aging induced by D-galactose combined with ultraviolet radiation. Journal of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B: Biology 210: 111964. 2020.
crossref pmid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E-Mail
  Print
Share:      
METRICS
0
Crossref
523
View
31
Download
Related article
Editorial Office
No. 1505, 1506, 3rd Ace High-End Tower, 145, Gasan digital 1-ro, Geumcheon-gu, Seoul 08506, Korea
TEL: +82-2-6957-8155   FAX: +82-502-770-2278   E-mail: ajbc.edit@e-ajbc.org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