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방법:서울특별시 및 충청북도 소재 골프전공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자외선차단에 대한 실태와 더불어 골프전공학생과선 수 군에 따라 피부관리행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한 56명을 제외한 344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2015년 6월 1일부터 8월 20일까지였다.
결과: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를 골프전공학생, 아마추어선수, 프로선수로 나누어 일반적 특성 및 피부건강관리행동을 분석하였다. 각 집단별 피부건강관리행동과 관련된 거의 모든 항목에서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각 집단별 자외선에 대한 유해성 인식과 자외선 차단제의 인지도를 알아본 결과, 골프전공학생과 아마추어선수집단, 프로선수집단 간 자외선 유해성 및 색소침착·기미·주근깨·검버섯 등의 피부문제 유발(p<.05), 그을림 현상과 피부암 발생,피 부건조증 발생(p<.01), 자외선에 의한 일광화상·홍반·수포·반점·화끈거림 등(p<.001)에 대해서도 집단별 인식의 차이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각 집단의 피부건강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 간 상관관계를 분석을 위해 피부건강관리행동 문항을 피부자기관리형태, 화장품 선택 및 사용, 생활습관으로 요인분류하여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골프전공학생 집단에서 화장품 선택 및 사용, 생활습관이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5). 또한 프로선수 집단에서도 생활습관이 자아존중감 간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p<.05) 생활 속 피부건강관리행동 실천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kin & health care behavior of golf majors affect their self-esteem through understanding the effect of UV on skin.
Methods:A survey targeting 400 golf majors of Seoul and Chungcheongbuk-do was conducted to evaluate awareness of sunscreen and the effect of skin & health care behavior on self-esteem according to each athlete group. 344 surveys were analyzed and 56 improper responses were excluded.
Results: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including students majoring in golf, amateur players, and professional players, to investigat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kin & health care behavio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presented in each group in almost all features related with skin & health care behavior. Second, concerning hazard awareness of UV and awareness of sunscreen, distinct features were found out in each group: awareness on harmfulness of UV and skin problems such as pigmentation·freckle·age spot (p<.05); blackening phenomena·skin cancer·xeroderma (p<.01); and sunburn·red spot·blister·spot·burn (p<.001). Finally, questionnaires on skin & health care behavior were decomposed into self-management behaviors of skin, cosmetics selection & use, and lifestyl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kin & health care behavior and self-esteem in each group.
Conclusion:As a result, cosmetics selection & use, and lifestyle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esteem in golf students group (p<.05). Moreover, lifestyle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esteem in professional players group (p<.05).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skin care behavior in daily lives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esteem.
中文摘要方法: 对首尔及忠淸北道所在的400名高尔夫专业人员进行了防晒的程度以及皮肤管理对自我尊重的影响进行问卷调查。其中除56名虚假作答外,对344名进行了问卷调查分析。研究期间为从2015年6月1日开始到8月20日为止。
结果: 研究结果如下:第一,研究对象分为三组,高尔夫专业的大学生组、业余选手组及专业选手组,然后分别调查一般特征及皮肤健康管理。每组对皮肤管理相关的所有问卷都出现了具有统计意义的差异 ; 第二,对各组进行紫外线的有害认识和防晒的认知度调查结果,高尔夫专业的大学生、业余选手及专业选手对紫外线有害性及色素沉着、斑、老年斑、嗮黑、皮肤癌、皮肤干燥、日光灼伤、红斑、水泡、斑点、疼痛等皮肤问题都出现了不同的认识差异。最后为了分析各组的皮肤健康管理和自我尊重之间相互关系,皮肤健康管理问卷调查分为皮肤自我管理现状,化妆品的选择、使用和生活习惯。其结果在高尔夫专业的大学生组中化妆品的选择及使用,生活习惯等方面有相当的相互关系,专业选手中的生活习惯与自我尊重也有相互关系。因此在生活中皮肤健康管理越好自我尊重也越高。
Introduction피부는 외부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가장 큰 신체기관으로 체온을 조절하고 감각을 인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피부는 외부로부터 내부기관을 보호하고 피부 생리작용에 의한 분비 및 물질의 흡수, 호흡작용, 비타민 D 생성작용 등 신체의 정상적인 활동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Choi et al., 2006). 이같은 피부의 생리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로 외부환경적인 요인인 자외선과 오염된 공기, 바람, 기온변화 및 건조한 공기 등은 피부건강관리에 악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Yoon, 1996). 또한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 및 피로에 의해 피부의 상태는 시시각각 변화하는 인체의 거울과 같다. 피부는 상태에 따라 신체 내부의 질병에 대한 파악이 가능하고 신체의 내, 외적인 건강 지표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부관리는 건강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Lee et al., 2011). 또한 질적 삶의 향상을 위한 건강관리라는 점에서 피부건강관리는 신체와 피부가 가진 모든 기능을 완전히 유지시켜 맑고 아름다운 피부를 되찾게 함으로써 생활의 활력을 높인다(Kim, 2006).
피부건강관리행동은 외적으로 자신의 외모에 대한 긍정적 사고를 가지고 내적으로 자신의 개성에 대한 자존감을 통해 건강하고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는 생활방식을 포함하는 개념이다(Eckstein & Itzhak, 1994). 피부건강관리행동은 피부관리의 전문성과 화장품의 선택 및 사용, 피부자가관리의 형태 및 생활습관 등에 대한 태도 등으로 설명된다. 즉 피부건강관리행동이란 각 개인의 피부타입에 따른 미용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손상피부의 회복을 의미하는 것으로 피부를 언제나 새롭고 젊은 세포로 형성되도록 피부 건강유지 및 미안술을 응용하여 피부의 미와 건강을 유지하는 작업이다(Park, 2015). 또한 Kim (2008)은 피부지식이 높을수록 피부건강을 위한 행동을 할 확률이 높다고 피부지식과 피부건강관리행동의 상관연구를 통해 밝혔으며, 현대인들은 피부를 위해 각 개인별로 자신만의 피부관리법을 가지고 생활한다고 밝혔다.
최근 우리사회는 웰빙트랜드와 더불어 건강한 삶에 대한 욕구의 증가로 인해 여가활동으로서 다양한 외부활동 및 스포츠나 여행 등 야외활동의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곧 자외선에 대한 피부노출이 늘어나면서 피부자극 및 광노화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식품의학품안전평가원에 따르면 광노화란 자외선에 의해 피부의 노화가 발생함을 의미하며, 광노화에 의한 피부문제는 색소침착 및 피부탄력저하, 주름발생, 피부민감도 증가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고 지적하였다. 대한피부과의사회에서는 광노화 질환의 증가에 대한 원인으로 골프 및 등산 등 야외활동 시 자외선에 대한 장시간 노출을 꼽았으며, 매일 1시간 이상 자외선 노출이 되는 직업군에 있어 자외선 차단제품을 사용해야 한다고 권장했다. 특히 운동전공자들 및 선수들의 경우 일반인들에 비해 피부건강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으며, 운동 종목별 특성에 따라 차이가 존재하지만 자외선 노출의 양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골프전공자의 경우 열과 더위, 자외선 등과 같은 외적 요인이 높은 야외 스포츠를 고강도로 행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외적 요인이 높은 스포츠에 있어 안면피부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지대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골퍼들은 게임을 하는 동안 다섯 시간 이상의 긴 시간을 햇빛을 마주하고 있어 자외선에 의한 위험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Gravel, 1997).
이처럼 자외선에 노출빈도가 높은 골프선수들의 피부건강관리에 대한 관심도는 최근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에 대한 욕구 및 라이프스타일의 다양화와 더불어 더욱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정작 점차 높아지는 골프선수들의 미용에 대한 관심도에 비해 피부미용학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즉, 운동선수들의 피부건강관리행동에 대한 차이규명과 더불어 자외선 차단에 대한 실태 조사를 통해 보다 전문적이고 과학적인 피부건강관리행동이 가능하도록 뷰티시장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피부미용학적 관점에서 골프전공자들의 자외선 차단 실태에 대해 조사하고 자외선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통해 골프전공자들의 피부건강관리행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골프장 환경에서 골프선수와 지도자, 캐디 및 골프장 현장 근로자들에게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건강관리행동을 적극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연구의의가 있다. 또한 자외선의 노출이 빈번한 골프전공자들이 피부건강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피부관리에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객관적이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골프전공자에 대한 피부건강관리 프로그램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연구대상자를 골프전공학생, 아마추어선수, 프로선수 집단으로 분류하고 이에 따른 자외선 유해성 인식 및 자외선 차단제 인지도에 대한 차이점을 분석한다.
- 연구대상자를 골프전공학생, 아마추어선수, 프로선수 집단으로 분류하고 각 집단별 피부건강관리행동 대한 차이점을 분석한다.
- 각 집단별 연구대상자의 피부건강관리행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본 연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1) 자외선차단을 통한 피부건강관리 행동자외선은 피부건강을 위협하는 요인 중 하나로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 시 광노화 및 홍반과 수포 등의 피부장애, 백내장과 같은 안과 관련 질환, 면역기능약화 등 피부 뿐 아니라 건강에도 많은 문제를 일으킨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레저활동 등 각종 스포츠 활동의 증가로 인체의 자외선 노출 빈도가 높아져 피부유해효과가 부각되고 있다(Lee, 2008). 이같은 상황에서 피부건강관리를 위해 자외선 유해성에 대한 인지도와 차단제의 효과 및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Yoon et al. (2011)은 남녀 대학생의 자외선에 대한 인지도 및 자외선 차단제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를 통해 연령별로 세분화된 자외선 차단제품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피부미용을 위한 자외선차단과 관련하여 다양한 물질의 효과를 증명한 연구 역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Kim & Lee (2014)은 멜라닌 생성과 제어에 영향을 미치는 한방추출물에 대한 연구를 통해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미백소재에 대한 개발을 주장하였다. 솔잎 발효액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증명한 Han & Yi (2012)의 연구와 스피루리나 추출물이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밝힌 Jang & Choi (2015)의 연구를 통해 자외선 차단제의 성분연구 등 피부건강관리행동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살펴볼 수 있다.
2) 자외선 인식에 따른 운동과 피부건강관리행동에 대한 연구운동과 자외선에 대한 연구는 운동장소에 따른 피부상태 변화를 통해 살펴볼 수 있으며, Lee (2007)는 실외운동 시 자외선이 피부 자외선의 침투를 통해 피부가 그을리고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변성을 일으켜 탄력의 감소와 주름을 발생시킨다고 하였다. 또한 Kim (2014)은 실외 운동 시 바람, 자외선, 공기, 온도 등과 같은 외적요인이 작용하여 피부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와 더불어 피부건강관리행동은 피부의 기능을 가능한 완전하게 유지시켜 건강한 피부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행위를 말하는 것으로(Bae et al., 2003; Lim et al., 2011)은 운동선수들과 일반대학생들의 피부지식과 피부건강관리행동에 대한 연구에서 운동선수집단이 일반대학생보다 피부건강관리행동에 문제가 있는 것을 보여주었다. Lee (2007)의 연구에서도 만성적인 자외선에 노출된 운동선수들의 피부는 그렇지 않은 동일 나이의 비교 집단보다 광노화 진행이 빨랐으며, 피부관리에 대한 인식은 비교 집단보다 낮았다. 또한 운동선수들 중에서도 연령이 낮은 선수일수록 피부 관리에 소홀하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피부건강관리에 취약한 운동선수들의 피부 건강관리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 향후 운동선수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이라 사료된다(Choi, 2010). 운동과 피부건강관리행동 관련 연구로 Kong (2013)은 등산 운동에서 자외선과 피부와의 관계를 통해 등산 운동 전용 자외선 차단제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또한 Namgoong et al. (2014)은 등산활동이 40대 남성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들이 상대적으로 피부관리에 대한 관심도가 낮다는 사실과 더불어 야외활동 시 자외선 차단제 사용빈도가 낮으며, 피부손상에 대한 경각심이 낮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등산운동과 마찬가지로 골프장과 같은 야외 운동에서 자외선차단실태에 대한 연구는 건강신념 및 확신모델을 통해 자외선차단행동과 골프웨어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Sung & Jeon (2005)의 연구가 있다.
따라서 이 같은 연구동향을 종합해 볼 때 운동선수들의 자외선 위험성에 대한 의식 제고와 더불어 운동 상황에 따른 세분화된 자외선 차단제의 개발 연구 및 피부관리행동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Methods1. 연구대상 및 기간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및 충청남도 소재 골프전공 대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자외선 차단에 대한 실태와 더불어 골프전공학생과 선수 군에 따라 피부건강관리행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한 56명을 제외한 344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2015년 6월 1일부터 8월 20일까지였다.
2. 연구방법본 연구의 설문도구 중 자외선 유해성 인식 및 차단제에 관한 인지도에 관한 13문항은 Rhie & Im (2013)의 연구 및 Kim & Yoon (2006)을 중심으로, 피부건강관리행동에 대한 20개 문항은 Kim (2006)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에 대한 10개 문항은 Kim (2008)의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재구성하였다. Table 1은 연구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3. 자료분석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8.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X²)을 실시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분류에 따라 집단 간 자외선의 유해성 인식 및 자외선 차단제의 인지도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특히 집단별 연구대상자의 피부미용건강관리행동이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자의 분류에 따른 피부미용건강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에 대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Results and Discussion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피부건강관리행동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Table 2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징을 타나낸 표로 연구대상자 344명을 골프전공학생과 아마추어선수, 프로선수로 나누어 학년과 월소득, 골프연습시간과 피부관리비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월소득의 경우 각 집단별 차이가 있었으며, 아마추어선수 및 프로선수 집단이 골프전공학생에 비해 각각 더 높은 소득이 있음이 나타났다(p<.001). 또한 피부관리비용 역시 골프전공학생과 아마추어선수, 프로선수 간 차이가 있었다(p<.05). Kim (2006)의 연구에서 월소득이 낮을수록 피부건강관리행동 점수가 낮은 점을 보인 것과 유사하게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피부건강관리행동에 들어가는 비용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골프전공학생 및 선수집단 간 소득의 차이가 존재하며 피부관리에 들어가는 비용 역시 집단별 차이가 있는 바,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각 집단별 피부건강관리행동의 수준차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골프연습시간의 경우 프로선수가 골프전공학생 및 아마추어선수와 비교했을 때 오전과 오후 시간을 골고루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p<.001).
2) 연구대상자의 피부건강관리행동
Table 4는 각 연구대상자별로 피부건강관리행동에 대한 문항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각 집단별로 정기적 피부관리실 방문과 피부건강을 위한 비타민 복용에 차이가 있었으며(p<.001), 외출 시 자외선 차단제 사용과 피부건강을 위해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하는 노력, 순환 및 대사촉진을 위한 마사지 시행에서 각 집단별로 차이가 있었다(p<.01). 그리고 전문가 조언에 따른 피부타입별 화장품 사용 및 규칙적인 팩의 사용 등의 항목에서 각 집단별 차이가 있었다(p<.05). 각 항목에 대한 Duncan 사후검정 결과, 정기적 피부관리실의 방문에 대해 골프전공학생이 아마추어선수와 프로선수와 비교해 선호도가 더욱 낮았으며, 이는 운동경력이 적은 사람일수록 피부관리에 소홀한 결과를 보인 Lee (2007)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외출 시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아마추어선수와 프로선수가 골프전공학생에 비해 높은 결과를 보인 바, 이는 운동경력에 따른 피부건강관리행동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전문가의 조언에 따른 화장품 사용에 있어 아마추어선수 집단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피부건강을 위한 비타민의 복용에 대한 질문에 대해 골프전공학생 집단에서 가장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마사지 시행여부에 대한 질문에서 아마추어선수 집단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피부건강을 위한 규칙적인 팩의 사용은 아마추어선수 집단과 프로선수 집단이 골프전공학생 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운동경력이 보다 많은 선수집단에서 피부건강관리에 대해 높은 점수를 보인 Choi (2010)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이다.
2. 집단별 분류에 따른 자외선 유해성 인식 및 자외선 차단제 인지도1) 각 집단별 자외선 유해성 인식
Table 5는 각 집단 간 자외선의 유해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나타낸 결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외선의 유해성 인식에 있어 피부에 대한 유해성(p<.05)과 자외선으로 인한 색소침착·기미·주근깨·검버섯 등의 피부문제 유발(p<.05) 항목에 대해 각 집단별 차이를 보였으며, 자외선에 의한 피부 그을림 현상(p<.01)과 피부암에 대한 발생(p<.01), 자외선에 의한 피부건조증 발생(p<.01) 항목에 대해서도 차이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자외선에 의한 일광화상·홍반·수포·반점·화끈거림 등 피부문제 발생(p<.001)에 대해서도 각 집단별 인식의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성인의 자외선 유해성 인식에 대해 조사한 Kim & Yoon (2014)의 연구 및 운동선수와 백화점 근무자의 자외선 유해성에 대한 인지도를 연구한 Lee & Kim (2007)의 결과에서 보듯이 자외선 유해성에 대해 성별 및 직업군 등 각각의 집단 간 차이를 보인 것과 같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해 세분 소비자별로 자외선이 피부에 미치는 문제점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교육 및 자외선 유해성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각 항목에 대한 Duncan 사후검정 결과, 골프전공학생이 아마추어선수와 프로선수 집단보다 자외선에 의한 색소침착·기미·주근깨·검버섯 발생에 대해 높은 인지 수준을 보였다. 또한 색소침착 등의 발생 항목이 그을림 현상과 더불어 자외선의 유해성 인식에 대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낸 바, 자외선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 중 가장 큰 요인으로 색소침착 문제라고 응답한 Yoon et al. (2011)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자외선에 의한 일광화상과 홍반, 수포 등 피부 문제뿐 아니라 피부암 발생, 피부건조증 발생 등에 대한 인식 역시 골프전공학생이 다른 두 집단 보다 더욱 높은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골프선수들이 만성적인 자외선 노출을 경험하고 있으며 높은 자외선 노출빈도에 따라 자외선이 피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다 관대해지고 있다고 보여지므로, 골프선수들이 피부 관리에 많은 관심을 가지도록 올바른 지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2) 각 집단별 자외선 차단제 인지도
Table 6은 각 집단 간 자외선 차단제의 인지도를 나타낸 표로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여부에 대한 질문에서 선수집단이 골프전공학생 집단보다 조금 더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이는 선수 집단이 자외선차단에 대한 필요성 및 기능성화장품 사용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모든 집단에서 자외선 차단제의 인지도에 대한 점수가 ‘보통이다’의 3점을 중심으로 응답하고 있으며, 성인의 자외선 차단제 인지도의 차이를 연구한 Kim & Yoon (2014)의 결과와 비교했을 때 골프운동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 및 선수집단이 일반인들에 비해 보다 낮은 자외선 차단제 인지도를 가진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골프전공학생 및 선수 집단의 자외선 차단제 사용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교육과 홍보를 통해 피부건강관리행동을 실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운동선수들의 피부지식과 자외선 차단제 사용실태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3. 각 집단별 피부건강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 간 상관관계1) 피부건강관리행동 문항의 요인 분류
Table 7은 피부건강관리행동의 문항을 통한 요인분석을 나타낸 표이다. 본 연구에서 골프전공자들의 자외선 유해성 인식이 피부건강관리행동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피부건강관리행동 문항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요인항목을 제시하였다. 자료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토를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 VARIMAX 회전방식과 주성분 분석법을 사용하였으며, 아이겐 값 1.0 이상을 기준으로 요인을 추출하였다. 피부건강관리행동 문항은 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Myung (2000)이 피부건강관리행동의 하위개념을 피부관리의 전문성, 화장품의 선택 및 사용, 피부자가관리의 형태, 생활습관 등 4가지로 나누어 설명한 것과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요인항목으로 추출되었다. 첫 번째 요인인 피부자기관리 형태와 두 번째 요인인 화장품 선택 및 사용, 세 번째 요인인 생활습관으로 분류되었다. 이는 Lim et al. (2011)의 운동선수들의 피부지식과 피부건강관리행동에 관한 연구에서 피부건강관리행동 하위요인으로 화장품 사용 요인, 피부자기관리형태 요인으로 나뉜 것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한 Jeun & Kim (2008)의 피부건강관리 및 외모관리행동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피부건강관리행동을 식습관 및 관리습관 요인으로 나눈 것을 본 연구에서 생활습관으로 나타난 것과 유사한 결과이다.
2) 연구대상자의 각 집단 간 자아존중감
Table 8은 골프전공학생과 아마추어선수, 프로선수 집단의 자아존중감에 대해 나타낸 표이다. 먼저 골프전공학생이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대한 항목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자신이 가치 있는 사람이면서 또한 보다 나은 사람이고 싶음(p<.001) 항목에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자신에 대한 만족감이 높음과 더불어 자신에 대한 좋은 생각에 대한 점수가 높았다(p<.01). 이와 더불어 실패한 사람인지에 대한 느낌, 자신이 쓸모없는 사람이라는 생각, 자신이 좋은 점이 없다는 생각 등의 부정적 자아존중감 질문에 대해서는 낮은 점수(p<.01)를 보여 타 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높게 형성이 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Duncan 사후검정 결과 역시 거의 대부분의 항목에서 골프전공 학생과 선수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본 연구를 통해 앞서 나타난 결과인 골프선수 집단에서 보다 적극적인 피부건강관리행동을 보이는 성향과 정신적, 물질적 외모 가꾸기에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며 사회 속에서 자신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자아만족 및 자아존중감의 상향을 꾀한다는 Kim (2012)의 연구와 일맥상통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3) 각 집단별 피부건강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 간 상관관계
Table 9는 골프전공학생과 아마추어선수, 프로선수 세 집단에 대해 피부건강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 간 상관관계를 나타낸 표이다. Pearson 상관관계 분석 시 골프전공학생 집단의 경우 화장품 선택 및 사용과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0.209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p<.05), 생활습관 역시 부정적 자아존중감과 -0.198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5). 이는 Kim (2005)의 연구에서 남성의 화장품에 대한 사용인식의 변화와 더불어 남성 화장품 시장의 급성장을 보고한 결과를 토대로 골프전공학생들의 화장품의 선택 및 사용이 자아존중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Chung (2003)의 연구에서 신체적 매력 증대를 위한 외모관리행동 중 피부관리를 위한 화장품의 사용이 자신의 매력을 증대하기 위한 중요한 행동으로 나타난 것과 유사한 결과라 할 수 있다. 프로선수의 경우 생활습관과 부정적 자아존중감 간 -0.169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5). 이 같은 결과는 세안 시 물의 온도 및 세안제 선택과 자아존중감 간 상관관계가 있음을 규명한 Kim (2012)의 연구를 지지하고 있어 피부건강관리행동 실천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마추어선수 집단에서는 피부건강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 간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각각의 세분 집단별로 피부건강관리행동의 필요성에 대한 태도가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결과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피부건강관리행동 중에서도 특히 화장품의 사용 및 선택과 피부건강관리를 위한 생활습관 등에 대한 교육이 골프전공자들에게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Conclusion현대사회 외모관리는 시대적 변화에 따라 경쟁력의 지표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일반인 뿐 아니라 운동선수들에게서도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Kim & Bae, 2014). 특히 Kim et al. (2015)의 연구에서 여자 프로선수의 외모관리 중 특히 헤어 및 피부관리가 개인 경기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피부에 미치는 환경 유해인자인 자외선은 최근 해마다 강해지고 있으므로 자외선이 피부에 미치는 유해효과는 피부건강을 해치는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Jung & Roh, 2006). 이에 본 연구는 골프전공자들을 학생과 선수집단으로 나누어 분류하고 이에 따른 자외선 유해성 인식 및 피부건강관리행동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각 집단별 피부건강관리행동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골프전공자들이 피부건강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자외선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하고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인지도 및 피부건강관리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운동전공학생 및 선수 각 집단별로 세분화된 피부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를 골프전공학생, 아마추어선수, 프로선수로 나누어 일반적 특성 및 피부건강관리행동을 분석하였으며, 각 집단별 피부관리비용의 차이가 있었다(p<.05). 또한 골프전공학생집단이 선수집단에 비해 피부관리실 방문이 적었으며(p<.001), 외출 시 자외선 차단제 사용여부에 대해서도 선수집단이 골프전공학생에 비해 높은 결과를 보였다(p<.01). 각 집단별 피부건강관리행동과 관련된 거의 모든 항목에서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각 세분 집단 유형에 따라 피부건강관리행동의 다른 가치와 특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어 체계적 피부관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골프전공학생 및 선수집단의 분류와 더불어 소득에 따른 피부관리비용 및 피부관리실 방문 등 피부건강관리행동에 대한 차이가 있는바 집단 간 소득별 피부건강관리행동에 대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각 집단별 자외선에 대한 유해성 인식과 자외선 차단제의 인지도를 알아본 결과, 골프전공학생과 아마추어선수집단, 프로선수집단 간 자외선 유해성과 색소침착·기미·주근깨·검버섯 등의 피부문제 유발(p<.05), 그을림 현상과 피부암 발생, 피부건조증 발생(p<.01), 마지막으로 자외선에 의한 일광화상·홍반·수포·반점·화끈거림 등(p<.001)에 대해서도 집단별 인식의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Hanke et al. (1985)의 여성 아마추어골프선수와 프로골프선수 간 자외선에 의한 피부암 발생빈도를 알아본 연구에서 아마추어선수와 프로선수 간 자외선에 대한 유해성 인식에 차이가 있다는 것과 유사한 결과이다. Bae et al. (2003)과 Surh (2008)의 국내연구에서 일광노출의 유해성에 대한 인지도에 관해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나 향후 골프선수 등과 같은 자외선에 민감한 특수집단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 이유는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이 범람하고 있는 현 화장품 시장에서 운동선수와 같은 세분화된 집단의 피부상태 및 피부건강관리행동에 대한 명확한 인식을 통해 각 집단별 특성에 맞는 올바른 자외선 차단제품의 개발 및 소비자 선택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되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각 집단별 자외선 차단제 인지도의 차이를 나타낸 항목에서 각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모든 집단에서 자외선 차단제 사용에 대해 ‘보통’ 정도의 인지도를 가지고 있어 자외선 노출이 많은 골프전공학생 및 선수집단에서 자외선차단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피부건강관리 교육이 요구된다. Yoon (2014)의 남성의 BB크림 사용실태 및 인식 개선 방안 연구에서 남성들의 BB크림 사용 이유가 자외선 차단 기능으로 인한 편리성에 의한 것으로 밝혀진 것과 더불어 BB크림의 사용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운동 중에서도 자외선의 영향력이 높은 골프운동과 같은 야외운동 선수들에게 자외선차단 기능과 피부표현기능이 겸비된 기능성제품의 사용이 일반화되도록 피부건강에 대한 적극적 교육 등 피부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해야 한다. Jeong (2013)의 연구결과에서 나타나듯이 외모관리행동과 스포츠몰입에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Kim et al. (2015)의 연구를 통해 헤어 및 피부관리가 개인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운동선수들에 대한 피부건강관리에 대한 심리적 차원 및 실제 인지된 경기력과 운동성과의 관계 등 종합적 기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를 통해 골프선수들의 경기력을 향상시키고 성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을 세울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각 집단의 피부건강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 간 상관관계를 분석을 위해 피부건강관리행동 문항을 피부자기관리형태, 화장품 선택 및 사용, 생활습관으로 요인분류하여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골프전공학생 집단에서 화장품 선택 및 사용, 생활습관이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5). 또한 프로선수 집단에서도 생활습관이 자아존중감 간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p<.05) 생활 속 피부관리행위 실천도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각 세분 집단별로 피부건강관리행동에 있어 특히 화장품 선택 및 사용, 피부건강관리와 관련된 생활습관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최근 여가생활에 있어 레저활동 등의 바깥활동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야외스포츠 활동은 햇빛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 자외선이 피부에 여러 가지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골프전공자들의 경우 경기를 하는 동안 다섯 시간 이상의 시간을 자외선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어 이에 대한 위험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골프전공학생 및 선수집단에서 피부건강관리행동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들이 피부건강을 지키면서 꾸준히 훈련하고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피부건강관리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해 제안하는 바이다. Lee & Hong (2010)은 피부건강관리 프로그램 중 하나인 아로마테라피를 활용하여 운동선수의 스트레스 관리를 모색하고 항스트레스 효과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한 바 있다. 또한 골프전공자들의 특성에 맞는 세분화된 기능성화장품 사용 및 피부건강관리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체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골프전공자 및 선수들의 기록과 승패, 강도 높은 훈련에 대한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를 통해 골프전공자들의 각 집단별 자외선 유해성에 대한 인식도를 토대로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에 대한 필요성에 대해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 피부건강관리행동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해 각 집단별 피부건강관리행동에 대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운동선수의 종목에 따른 세분 집단을 분류하여 자신에게 맞는 피부건강을 위한 상품과 서비스가 체계적이면서도 전문화되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운동선수의 자외선 차단제 사용실태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더불어 운동의 종류와 강도 등 운동특성에 따른 피부건강관리행동에 대한 후속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Table 1.Table 2.
Table 4.
Table 5.Table 6.Table 7.Table 8.
Table 9.
References1. Bae HS, Nam CH, Kim SW, Choi YH, Kang YS, Kim SH, Goo JH. Aspects of skin care of male students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Journal of Health Welfare 8: 91-110. 2003.
2. Bae GY, Kim SH, Chang SE, Choi JH, Sung KJ, Moon KC, Koh JK. Awareness of harmful effects of sun exposure and sunscreen use in korean.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41: 37-42. 2003.
3. Choi JI. A study on athletes’ knowledge, attitude and habit regarding skin care.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6: 363-370. 2010.
4. Choi JW, Yang JH, Lee CM, Kim SY, Koo KS, Park TS, Kang KW, Kim HJ. Physical dimensions of aging. Korea media publishing. Seoul. pp252-260. 2006.
5. Chung MS. The influence of self-perceived physical attractiveness on self-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adult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3: 165-179. 2003.
6. Eckstein Z, Zilcha I. The effects of compulsory schooling on growth, income distribution and welfare. Journal of Public Economics 54: 339-359. 1994.
7. Gravel T. Skin cancer.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ublic Health 22: 116-117. 1997.
8. Han JS, Yi DH. Effects of pine needles fermentation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ology 10: 619-624. 2012.
9. Hanke CW, Zollinger TW, O’Brian JJ, Bianco L. Skin cancer in professional and amateur female golfers. Physician and Sportsmedicine 13: 51-68. 1985.
10. Jang HJ, Choi EY. Effects of spirulina platensis extract, the act of which are anti-inflammation, anti-aging, as well as suppressing melanin synthesis.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ology 13: 243-249. 2015.
11. Jeun YS, Kim H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skin health car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4: 985-991. 2008.
12. Jung EY, Roh KS. Regeneration effect by jeju island endemic actinomytes against ultraviolet-B induced damage of the HaCaT cel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7: 271-280. 2006.
13. Kim EO. Factors related the skin health practices among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ology 4: 71-87. 2006.
14. Kim HS. Men’s cosmetics market analysis. Publishing Emars. Seoul. pp31-45. 2005.
15. Kim KY, Lee NK. Herbal extracts research trend that have effects on melanin production and control.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ology 12: 453-461. 2014.
16. Kim MY, Yoon CS. The research on the ultraviolet protector recognition of the adult and propensity to consume. Journal of Beauty Industry 8: 63-84. 2014.
17. Kim SH, Bae HS. Effects of social and 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portrayed through mass media on women’s intention of cosmetic surge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0: 253-261. 2014.
18. Kim Y, Cha EJ, Kim YJ. The relationship of female pro player’s professional image, media exposure percep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on athletic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Sport 28: 161-179. 2015.
19. Lee CS. A study on the use and knowledge level of ultraviolet protector by adult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sthetics & Cosmeceutics 3: 79-88. 2008.
20. Lee WJ, Hong SG. A review of aromatherapy on stress management in sportsman.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ology 8: 1-16. 2010.
21. Lee YK, Kim JD. Influence of sun-expose on the skin ag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3: 841-850. 2007.
22. Lim BK, Lee GC, Choi JI. A study on knowledge of skin and skin health care of athletes and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port 9: 49-58. 2011.
23. Namgoong YK, Lee NK, Kim SY. Effects of mountain climbing on male skin aged over 40s.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ology 13: 105-112. 2015.
24. Park SM. The influence on self-esteem for skin & health care behavior according to the lifestyle of new silver generation.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ology 13: 123-133. 2015.
25. Rhie SJ, Im JM. A study on the awareness for the use of ultraviolet ray protective products and the actual state of their use based on age and gender.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9: 129-136. 2013.
26. Sung HW, Jeon YJ. A study on korean golfers’ sun protective behavior and their intention to buy UV-protective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 189-197. 2005.
27. Yoon JS, Kim SR, Cho HK, Hong SH. A study on awareness of college students on ultraviolet radiation and their usage of sunscreen in chung-cheong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2: 187-198. 2011.
28. Yoon YS. New aesthetic approach to the skin. Galim Publishing. Seoul. pp95-102. 20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