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이스 평행라인과 우대각 라인 비대칭커트의 두상영역분할, 길이, 각도,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형태변화

Shape Changes of Slice Parallel Line and Preferential Angle Line Asymmetry Cut according to Head Area Division, Length, Angle and Slice Line

根据头部区域划分、长度、角度和切片线的切片平行线和优先角线不对称曲线 的剪发形状变化

Article information

Asian J Beauty Cosmetol. 2022;20(4):519-530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December 29
doi : https://doi.org/10.20402/ajbc.2022.0095
Yun Hye Ran Hair, Gwangju, Korea
국혜란,
윤헤란 헤어, 광주, 한국
Corresponding author: Hye Ran Guk, Yun Hye Ran Hair, 1182-6 Chipyeong-dong, Seogu, Gwangju 61950, Korea Tel.: +82 6 2374 7111 Fax: +82 50 4481 8571 Email: hera0722@hanmail.net
Received 2022 November 10; Revised 2022 December 1; Accepted 2022 December 20.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좌측 평행선과 우측 우대각 라인의 비대칭 커트이며 길이, 각도, 슬라이스 라인을 변경하여 형태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헤어커트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두상영역분할을 상단과 하단으로 나누었다. 네이프 포인트에서 왼쪽은 평행라인과 오른쪽은 우대각 라인 그리고 두상시술각도 25, 50, 75도로 하였다. 측면의 슬라이스 라인 A (대)라각인은 25도, 평행라인은 50도, V (대각)라인은 75도로 상단의 길이만 측정하였다.

결과

원랭스 각도는 매끄러움과 가지런함을 상징한다. 그리고 그래쥬에이션은 거친 질감과 가지런함이 상징한다. 두상영역분할위치를 위로 두면 생동감, 리듬감이 나타나고 아래로 두면 부피감, 무게감이 증가한다. A (대각)라인은 성숙함과 완숙함 및 가름한 형태이고, 평행라인은 평범함과 무난함 그리고 V (대각)라인은 귀여움과 발랄함을 상징한다. 비대칭 커트의 불균형은 신선함과 신비로움 및 활기찬 역동감, 리듬감, 신비감을 줄 수 있다.

결론

같은 커트 방식의 사고방식을 버린다면 다양한 형태의 커트디자인은 새롭게 탄생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감각적인 헤어커트 디자인은 무궁무진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rans Abstract

Purpose

In this study, the asymmetrical cut of the left parallel line and the right diagonal line was examined by varying the length, angle, and slice line. Additionally, basic data on haircuts will be provided.

Methods

The head region division wa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The angle of the parallel line on the left, the right side of the right side, and the head were 25°, 50°, and 75°, respectively. The slice A (diagonal) line on the side was 25°, the parallel line was 50°, and the V (diagonal) line was 75°.

Results

The one-reel angle represents smoothness and orderliness. Furthermore, rough texture and arrangement represent gradation. The feeling of liveliness and rhythm appear when the head area division position is up, and the feeling of volume and weight increases when it is down. The A (diagonal) line represents maturity, maturity, and thinness, the parallel line represents plain and smooth, and the V (diagonal) line represents cuteness and youthfulness. The imbalance of asymmetrical cuts can offer freshness, mystery, vibrant dynamics, rhythm, and mystery.

Conclusion

Different types of cut designs can be reborn if you abandon the same way of thinking. Based on this, it is considered that sensuous haircut designs are endless.

Trans Abstract

目的

在这项研究中,通过改变长度、角度和切片线来检查左侧平行线和右侧对角线的不对称剪发。此外,为 提供有关理发的基本数据。

方法

将头部区域划分为上下两部分。左侧、右侧与头部平行线的夹角分别为25°、 50°、75°。侧面的切片A(对角)线为25°,平行线为50°,V(对角)线为75°。

结果

单卷角代表平滑和有序。 此外,粗糙的纹理和排列代表层次。头区划分位置向上时有轻快感和韵律感,向下时有体积感和重量感增加。 A (斜)线代表成熟、成熟、瘦弱,平行线代表平淡流畅,V(斜)线代表可爱、青春。不对称剪裁的不平衡可以 提供新鲜感、神秘感、充满活力的动态、节奏和神秘感。

结论

摒弃同一种思维方式,不同类型的剪裁设计可以 重生。基于此,人们认为感性的发型设计是无穷无尽的。

Introduction

현대사회는 사람의 가치척도로 돈과 외모를 중요시하고 있다. 미의 관심이 높아지고 미를 다루는 헤어미용은 고객이미지 향상에 업그레이드 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다(Kim, 2016). 헤어미용은 생활 속에서 감성적인 부분이 풍부하게 담겨져 있는 예술의 한 부분이다. 즉 선, 색, 형을 예술적으로 표현하고 그로 인해 성장과 변화 등을 거듭하고 있다(Lee, 2014). 요즘고객은 생활감성으로 친환경의식이 높아지고 유행변화는 매우 빨라지며, 친환경의식을 토대로 한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을 추구한다. 자신의 개성에 맞게 본인이 헤어스타일을 만들고, 사진을 보여주며 설명하고 요구한다. 그리하여 손질하기 편리한 헤어커트 기술의 중요성은 더욱더 부각되고 있다(Ha & Youn, 2019).

지속적인 코로나 19로 인해 미용실 방문이 저하되고 있다. 그로 인해 타 시술 즉 파마, 염색, 매니큐어, 크리닉 시술고객이 줄어들면서 헤어커트의 인식은 높아지고 있다. 또한 헤어디자이너는 획일적인 형태의 교육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술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미적 감각능력과 수많은 경험을 갖추어서 기술의 질적 향상을 높여야 한다(Ha & Youn, 2019). 헤어커트는 헤어미용의 영역에서 기초적인 토대 즉, 틀을 만드는 작업이므로 그 중요성과 비중이 점점 커져나가는 추세이다(Jung & Youn, 2008).

헤어커트종류를 살펴보면 솔리드(원랭스), 그래쥬에이션, 유니폼 레이어, 인크리스 레이어 커트가 있다. 그중에서 솔리드(원랭스)와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비중이 가장 많다고 할 수 있다. 무거운 질감인 솔리드(원랭스) 커트는 모발표면에 층이 없어 같은 선상에 모발이 떨어지게 하는 커트를 말한다(Lee & Jin, 2010). 솔리드(원랭스) 커트는 헤어미용의 가장 기초적인 단계이고, 커트디자인의 형태 선에 대한 초석이다(Moon & Jung, 2018). 모발에 층이 있는 그래쥬에이션 커트는 도시적이고 지적인 이미지를 나타내고, 풍성한 볼륨감을 주며 세련되어 보이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Jung & Kim, 2017). 또한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모발길이가 길어져 층이 생기고, 입체적인 헤어스타일을 할 때 효과적으로 많이 사용한다. 즉 두상의 프런트, 사이드, 탑, 백 등에서 볼륨을 줄 때 많이 사용되고 있다(Lee, 2014).

헤어커트 시 섹션(분할), 디자인 라인(슬라이스 라인)은 일직선 또는 평행선, 평행라인, 앞이 짧아지는 후경사, 후대각, 이사도라(V라인), 앞이 길어지는 전경사, 전대각, 스파니엘(A라인)이 있다(Jung & Youn, 2008). 이중에서 헤어미용 산업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평행라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커트할 때 두상영역분할은 매우 중요한 요소를 차지한다. 두상영역분할과 커트종류에 따라 커트스타일의 전체적인 실루엣이 변화한다(Jang & Jung, 2020). 헤어커트에서 모발길이는 으뜸으로 중요하다. 길이가 길고 짧음에 따라 헤어스타일의 느낌과 표현이 달라진다. 또한 커트할 때 커트 시작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네이프 포인트의 길이출발점은 팽창감, 무게감, 부피감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Guk, 2022). 이밖에도 좌우대칭이 맞지 않는 비대칭 커트는 또 다른 디자인의 하나이다. 의도하지 않은 비대칭 커트는 기술능력 부족으로 생기는 것도 있지만, 의도한 비대칭은 정돈과 균형이 잡히는 것 즉 예측된 언밸런스를 함으로써 신선함, 리듬감, 역동감, 생동감을 준다. 비대칭 커트는 율동감에 있어서 예술적인 측면에서 창조효과를 발휘한다(Hur, 2019).

이렇듯 헤어커트의 접근방식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서로 연결되는 커트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할 때 독특한 방식 즉, 비대칭 커트를 묘사하기도 한다. 비대칭 커트는 헤어디자이너가 섹션 또는 블로킹을 의도적으로 좌우 틀리게 하는 기법이다. 1980년대 이후부터 균형, 비례, 조형원리의 틀을 파괴하기 시작하였다. 비대칭 커트는 자유로운 직선, 곡선, 사선으로 다양하게 서로 연결되지 않는 파격적인 형태이다. 헤어디자인의 조형적인 미를 자유롭고 창의적이면서 독특하고, 독창적인 커트형태라고 할 수 있다(Lim & Lee, 2018). 헤어커트의 종류는 다양하게 많이 있으나, 비대칭커트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규칙적인 비대칭 커트는 정형화로 정돈된 느낌과 독특함 및 세련미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므로 개성 있는 커트를 하고 싶어 하는 고객에게 꼭 필요한 커트라고 할 수 있다.

비대칭, 두상영역분할, 슬라이스 라인, 각도, 길이에 관한 선행논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도에 관한 연구로 Jung & Kim (2017)는 로우 그래쥬에이션 커트에서 헤어디자인으로 무게감이 아래쪽에 많이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 You & Song (2016)는 그래쥬에이션 커트할 때 네이프 포인트에서 각도가 40도보다 높으면 레이어 커트가 형성될 수 있다고 규명하였다. Guk (2022)는 그래쥬에이션 각도는 생동감, 리듬감을 줄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슬라이스 라인에 관한 연구로 Moon & Jung(2018)는 원랭스 A라인 커트 할 때 전문가들이 기울기 30도로 할 때 가장 이상적이라고 검증하였다. Guk & Kim (2022)는 A라인은 얼굴라인으로 갈수록 길어져 샤프하고 세련된 형태, V라인은 얼굴라 인으로 갈수록 짧아져 귀여운 형태, 평행라인은 반듯한 동일한 형태 및 일직선 형태라고 발표하였다. 길이에 관한 연구로 Kwon et al.(2010)은 커트교육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형태 선과 모발길이에 대한 기준점은 네이프 포인트라고 입증하였다. Jung & Youn (2015)는 헤어커트 형태에 변화를 주는 요인으로 길이>슬라이스 라인>베이스>각도라고 발표하였다. 비대칭에 관한 연구로 Lim & Lee (2018)는 정형적인 틀을 파괴하여 비례와 통일보다 이질적인 현상이 뚜렷하다고 조사한바가 있다. 그러므로 자유로운 형태로 디자인의 조형미를 보다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고 하였다.

현재까지 헤어커트에 관한논문과 교재 등으로 인해 헤어미용은 학문적으로 크게 성장과 발전을 거듭해왔다. 또한 연구의 가치를 인정받아 예술 및 기술적 분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수많은 커트 연구 중에 비대칭 연구는 터무니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한쪽은 평행라인 다른 한쪽은 우대각 라인, 비대칭 커트의 두상영역분할, 길이, 슬라이스 라인, 각도를 가지고 연구하고자 한다. 그래서 창의적인 디자인 커트를 제시함으로써 헤어미용 산업현장에서 비대칭 커트를 보다 쉽고 빠르게 접근하여 사용하는데 의의가 있고, 비대칭 커트에 관한 교육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Methods

1. 측정도구 및 방법

1) 측정하는 도구

본 연구를 하기 위해 사용된 가발은 M사(Korea)의 18인치 마네킹 가발을 구입하였다. 길이측정을 위해 디지털 자(BL-DM; Bluetec, Korea)와 시술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각도계(Starbox, Korea)를 사용하였다. 완성된 작품의 사진촬영을 위해 뒷면을 흰색배경으로 한 뒤, 카메라(Galaxy 10; Samsung, Korea)로 촬영하였다. 일정한 거리 1 m에서 옆모습과 앞모습 그리고 뒷모습을 촬영하여 제시하였다. 커트에 사용된 도구는 커트가위, 커트 빗, 핀셋, 분무기를 사용하였고, 헤어드라이기와 롤 브러시를 사용하여 연출하였다. 모든 커트기법은 블런트 기법을 사용하였다.

2) 측정방법

(1) 두상영역분할

정중선을 센터 포인트(center point)-네이프 포인트(nape point)까지 측중선을 탑 포인트(top point)-이어 백 포인트(ear back point)까지로 4등분하였다. 두상영역분할은 Guk & Kim (2022)연구를 참고하였으며, 두상영역분할 표는 Table 1과 같다.

Head region division

첫째, 두상분할을 센터 포인트(center point)-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olden back medium point)-이어 백 포인트(ear back point)를 기점으로 상단과 하단으로 구분하였다. 두상 상단을 GBM1로 명명하여 측정에 사용하였고, 두상 하단을 GBM2로 명명하였으나 측정에 제외시켰다.

둘째, 두상분할을 센터 포인트(center point)-백 포인트(back point) -이어 백 포인트(ear back point)를 기점으로 두상을 상단과 하단으로 나누었다. 상단을 B1로 명명하여 측정에 사용하였고, 하단을 B2로 명명하였으나 이는 측정에서 제외시켰다.

셋째, 두상분할을 센터 포인트(center point)-백 네이프 미디엄 포인트(back nape medium point)-이어 백 포인트(ear back point)를 기점으로 위를 상단, 아래를 하단으로 하였다. 상단을 BNM1로 명명하여 측정에 사용하였고, 하단은 BNM2로 명명하였으나 측정에 제외시켰다.

(2) 슬라이스 라인

후면 슬라이스 라인은 네이프 포인트에서 왼쪽(left)은 평행라인, 오른쪽(right)은 우대각 라인으로 커트하였다.

측면 슬라이스 A (대각)라인은 사이드 코너 포인트(side corner point)-이어 백 포인트(ear back point)에서 3 cm 올라간 지점에서 커트를 시작하였다.

측면 슬라이스 평행라인은 사이드 코너 포인트-이어 백 포인트에서 2 cm 올라간 지점에서 커트를 하였다.

측면 슬라이스 V (대각)라인은 이어 백 포인트-사이드 코너 포인트에서 3 cm 올라간 지점에서 커트를 시작하였다. V라인의 특징상 바깥에서부터 커트를 시작하였다(Guk, 2022b).

(3) 모발의 길이

Jung & Youn (2008)가 제시한 미디엄 길이 15 cm를 기준으로 네이프 포인트에서 BNM2, B2에 적용하였고 BNM2는 17 cm, GBM1과 GBM2 11 cm와 13 cm, B2는 13 cm를 임의로 하였다. 모든 섹션의 폭은 2 cm를 균등하게 하였다. GBN1, B1, BNM1는 네이프 포인트에서 기준길이를 정해놓고 커트를 하면 자동적으로 나오는 길이이다.

(4) 시술각도

BNM2, B2, GBM2는 솔리드(원랭스) 커트 0도의 자연시술각도는 헤어미용의 가장 기초적인 단계이므로 이를 적용하였다(Moon & Jung, 2018). BNM1, B1, GBM1는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두상시술 각도 25도, 50도, 75도는 동양인의 납작한 두상에 볼륨을 줄 수 있는 롱, 미디엄, 쇼트를 사용하였다(Park & Yang, 2008).

2. 평행라인과 우대각 라인 비대칭 커트의 두상영역분할, 길이, 각도,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형태변화

GBM1, B1, BNM1은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후면 네이프 포인트에서 왼쪽은 평행라인, 오른쪽은 우대각 라인과 두상시술각도 25도일 때 측면 슬라이스 라인은 A (대각)라인, 50도일 때 측면 슬라이스 라인은 평행라인, 75도일 때 측면 V (대각)라인을 적용하였다. GBM2, B2, BNM2은 솔리드(원랭스) 커트 0도의 자연시술각도, 후면 슬라이스 라인은 네이프 포인트에서 왼쪽은 평행라인, 오른쪽은 우대각 라인으로 커트하였으나, 이는 측정에 제외시켰다.

커트한 후에는 각각의 길이측정을 위해 왼쪽 오른쪽 센터 포인트에서 좌측, 우측으로 -1 cm 지점을 측정, 탑 포인트, 골든 포인트, 백 포인트, 왼쪽 오른쪽 프런트 사이드 포인트(left right front side point), 왼쪽, 오른쪽 이어 포인트(left right ear point)의 길이를 측정하여 제시하였다. 완성된 커트작품은 롤 브러시, 블로우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연출하였다. 각각의 커트작품을 앞모습과 옆모습 그리고, 뒷모습을 촬영하여 제시하였다.

Results and Discussion

1. GBM1 평행라인과 우대각 라인 비대칭 커트의 두상영역분할 및 길이, 각도,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형태변화

1) GBM1 평행라인과 우대각 라인 비대칭 커트의 두상영역분할 및 길이, 각도,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전개 표

헤어커트 전개 표란 헤어디자인의 전 과정을 구상하고, 계획 및 설계하는 것으로 모든 작품에는 전개 표와 시술결과를 작성하여야 하며, 이는 예측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Jung & Kim, 2017).

커트에 시작은 네이프 포인트에서 11 cm, 오른쪽 네이프 사이드 포인트에서 13 cm, 시작점의 길이가이드를 정해놓았다. 네이프 포인트를 기점으로 왼쪽으로 갈수록 평행라인, 오른쪽으로 갈수록 우대각라인으로 커트하였다. GBM1은 후면은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두상시술각도 25도일 때 측면 A (대각)라인, 50도일 때 측면 평행라인, 75도일 때 측면 V (대각)라인으로 커트하였다. GBM2는 솔리드(원랭스) 커트 0도와 자연시술각도로 커트하였다. 커트한 작품의 전개 표는 Table 2와 같다.

Deployment table of graduation and one length cut according to the GBM zone

2) GBM1 평행라인과 우대각 라인 비대칭 커트의 두상영역분할 및 길이, 각도,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시술결과

뒷면은 두상시술각도 25도, 50도, 75도의 평행라인과 우대각 라인 그리고 두상시술각도 25도일 때 측면 A (대각)라인, 50도일 때 측면 평행라인, 75도일 때 측면 V (대각)라인으로 커트한 결과는 Table 3 과 같다.

Treatment results of graduation and 1-length cut by GBM zone

앞모습을 보면 좌우가 다른 비대칭 커트로 V (대각)라인은 두상시술각도 75도에 의해 거친 질감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평행라인은 일직선 형태, 매끄러운 질감과 거친 질감이 동시에 나타났고, A (대각)라인은 두상시술각도 25도에 의해 미세한 층과 부피감, 무게감, 팽창감이 관찰되었다.

옆모습을 보면 A (대각)라인, 평행라인, V (대각)라인 모두 왼쪽의 길이가 짧고, 오른쪽의 길이 길게 나타났다. A (대각)라인은 두상시술각도 25도에 의해 길이가 가장 길어 무게감, 부피감, 팽창감과 매끄러운 질감 및 가지런함이 관찰되었다. 반면 V (대각)라인은 두상시술각도 75도에 의해 길이가 가장 짧고 거친 질감이 가장 많게 관찰되 었다.

뒷모습을 보면 A (대각)라인은 두상아래는 솔리드(원랭스) 0도와 자연시술각도에 의해 매끄러운 질감이 나타났다. 그리고 두상 위는 두상시술각도 25도에 의해 매끄러운 질감은 많고 거친 질감은 조금 나타났다. 또한 뒷면을 보면 옆면의 연장선으로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는 Jung & Youn (2015)는 시술각도, 섹션 또는 분할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배합하면 새로운 커트를 연출된다는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2. B1 평행라인과 우대각라인 비대칭 커트의 두상영역분할 및 길이, 각도,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형태변화

1) B1 평행라인과 우대각라인 비대칭 커트의 두상영역분할 및 길이, 각도,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전개 표

커트형태는 비대칭커트이고 네이프 포인트에서 왼쪽은 평행라인, 다른 한쪽은 우대각 라인이다. 두상영역분할, 길이, 각도,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전개 표는 Table 4와 같다.

Deployment table of graduation and one-length cut according to the B zone

커트에 출발점은 후면 네이프 포인트에서 13 cm, 오른쪽 네이프 사이드 포인트에서 15 cm 길이 가이드를 정해 놓고, 정중앙 지점에서 왼쪽으로는 평행라인, 오른쪽으로는 우대각 라인으로 커트하였다. 베이스는 해당사항이 없고 빗질은 슬라이스 라인에 대한 직각빗질을 하였으며, 손가락의 위치는 슬라이스 선과 평행을 이루었다.

2) B1 평행라인과 우대각 라인 비대칭 커트의 두상영역분할 및 길이, 각도,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시술결과

비대칭 커트로 네이프 포인트에서 출발하였고 왼쪽으로는 평행라인과 오른쪽으로는 우대각 라인 측면은 A (대각)라인, 평행라인, V(대각)라인을 하였을 때 커트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Treatment results of graduation cut and one-length cut by the B zone

앞모습을 보면 좌우가 다른 비대칭 커트로 관찰되었다. A (대각)라인은 길이가 길어 무게감, 부피감, 팽창감이 나타났다. 그리고 평행라인은 평행선의 일직선 형태와 V (대각)라인은 둥근 형태의 귀여운 이미지 및 두상시술각도 75도에 의해 거친 질감이 다른 슬라이스 라인보다 많이 관찰되었다.

옆모습을 보면 A (대각)라인은 무거운 형태로 나타났고, V (대각)라인은 가벼운 형태로 관찰되었다. 또한 왼쪽길이보다 오른쪽길이에서 A (대각)라인, 평행라인, V (대각)라인 모두 증가하였다. 이는 뒷면을 왼쪽은 평행라인, 오른쪽은 우대각 라인에 의한 결과물이다. 좌우 길이가 달라 이질적인 현상과 더불어 신선함, 신비감, 역동감이 관찰되었다.

뒷모습을 보면 A (대각)라인에서는 왼쪽은 평행, 오른쪽은 뚜렷한 A (대각)라인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평행라인에서는 뒷면 왼쪽은 평행, 오른쪽은 우대각라인 옆면은 평행라인으로 나타났다. V (대각)라인에서도 평행라인과 마찬가지로 뒷면 왼쪽은 평행라인, 오른쪽은 우대각라인 측면은 V (대각)라인으로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는 Guk (2022)연구에서 각도는 율동감, 리듬감, 생동감을 미리 짐작할 수 있다고 하였는데 이와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3. BNM1 평행라인, 우대각 라인 비대칭 커트의 두상영역분할 및 길이, 각도,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형태변화

1) BNM1 평행라인, 우대각 라인 비대칭 커트의 두상영역분할 및 길이, 각도,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전개 표

네이프 포인트에서 15 cm, 오른쪽 네이프 사이드 포인트에서 17 cm 길이가이드를 정해놓고 왼쪽으로는 평행라인, 오른쪽으로는 우대각 라인으로 커트하였다. 커트의 작품전개표는 Table 6과 같다.

Deployment table of graduation and one-length cut according to the BNM zone

BNM1의 후면에서 슬라이스 라인과 각도는 평행라인과 우대각라인, 두상시술각도 25, 50도, 75도로 커트하였다. 측면은 A (대각)라인은 두상시술각도 25도, 평행라인은 50도, V (대각)라인은 75도로 커트하였다. 그리고 두상하단 BNM2는 솔리드(원랭스) 커트 0도와 자연시술각도로 커트하였다.

2) BNM1 평행라인, 우대각 라인 비대칭 커트의 두상영역분할 및 길이, 각도,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시술결과

커트 한 작품의 시술결과는 Table 7과 같다.

Treatment results of graduation and one-length cut by the BNM zone

앞모습을 보면 비대칭 커트로 길이가 좌우 다르게 관찰되었다. A(대각)라인은 두상시술각도 25도에 의해 매끄러운 질감은 많이 나타났고, 거친 질감은 조금 나타났다. 그리고 V (대각)라인은 75도에 의 해 다른 슬라이스 라인보다 가볍고 길이는 짧게 관찰되었다.

옆모습을 보면 A (대각)라인은 길이가 뒤보다 길어져 처진 형태로 나타났다. 또한 그로 인해 무게감, 팽창감, 부피감이 증가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V (대각)라인은 뒷면보다 길이가 짧아 산뜻하고 발랄한 형태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행라인은 반듯한 형태로 평범함과 일직선 형태로 관찰되었다.

뒷모습을 보면 오른쪽 우대각 라인은 뒷면보다 길이가 길어 무겁고, 기울려진 형태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행라인은 왼쪽이 짧고 오른쪽이 길게 관찰되었다. 두상시술각도 75도는 뒷면보다 길이가 짧고 생동감, 리듬감, 율동감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는 Jang & Jung (2020)연구에서 솔리드 커트와 그래쥬에이션 커트를 적용하였을 때 분할위치에 따라, 커트스타일의 전체적인 실루엣이 변화한다고 하였는데 이와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4. 보브 평행라인, 우대각라인 비대칭 커트의 두상영역분할, 길이, 각도,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디자인변화

커트한 후 각 지점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 값은 Table 8와 같다.

Length variations of two blocks, three segments, and slice lines

솔리드(원랭스) 커트 0도와 자연시술각도는 무거움, 가지런함, 매 끄러움을 상징한다. GBM1이 매끄러운 질감과 가지런한 질감이 많이 나타났고, BNM1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이것은 두상영역분할 위치 때문이다. 솔리드(원랭스) 커트는 동일한 일직선상으로 똑같이 떨어진 길이이므로 층이 없는 매끄러운 질감과 가지런함 그리고, 윤기와 탄력 있는 모발을 부각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는 Kim (2016)는 솔리드(원랭스) 커트에서 모발 길이는 단차 없이 하나의 라인으로 떨어져 모발표면이 매끄러운 형태라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두상시술각도 25도, 50도, 75도는 매끄러움과 거친 질감이 동시에 나타났다. 두상영역분할에 의해 GBM1이 층이 가장 작게 나타났고, BNM1이 층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이로써 그래쥬에이션 커트는 층이 조금씩 쌓이는 현상이 증명된 셈이다. 그래쥬에이션 커트 범위가 넓을수록 층이 많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모발 숱이 없거나 가는 모발에게 높은 시술각의 그래쥬에이션 커트를 전체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는 Jang & Jung (2020) 연구에서 미듐 그래쥬에이션을 적용한 결과 볼륨감이 나타난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길이가 있는 관계로 볼륨감은 나타나지 않아 이와는 불일치하였다.

뒷면의 슬라이스 라인을 평행라인과 우대각 라인으로 두상시술각도 25도, 50도, 75도 모두 다르게 적용하였다. 측면의 슬라이스 라인과 각도는 A (대각)라인은 두상시술각도 25도에 의해 부피감, 무게감, 팽창감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V (대각)라인은 두상시술각도 75도에 의해 둥근 형태, 안 말음 기법 그리고 매끄러운 질감과 거친 질감이 동시에 나타났다. 뒷면 슬라이스 라인이 같다고 해도 측면 슬라이스 라인과 각도가 다르므로 뒷모습 커트 스타일이 다르게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는 Jang & Jung (2021)연구에서 같은 영역, 같은 커트라고 하여도 슬라이스 라인으로 전면에서 보여 지는 커트형태에 변화를 준다고 하였는데 이와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커트시작점을 네이프 포인트에서 미디엄 길이 11-17 cm로 하였기에 두상상단의 길이는 20 cm 이상이었다. 또한 좌우단차 2 cm차이를 두어 측면에서도 그대로 2 cm 차이는 연장선이다. 미디엄 그래쥬에이션 커트와 미디엄 길이라고 해도 볼륨감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탑 포인트의 각도와 길이는 중요하다. 또한 볼륨감을 얻기 위해서는 미디엄 15 cm 미만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는 Jang & Jung (2019)연구에서 입체감, 볼륨감은 미디엄 그래쥬에이션 커트라고 하였는데, 길이도 중요하므로 이와 의견은 불일치하였다.

좌, 우가 다른 비대칭 커트의 언밸런스를 통해 신선함, 리듬감, 생동감, 역동감이 관찰되었다. 또한 예측된 균형 잡힌 비대칭 커트는 율동감, 신비감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는 Hur (2019)연구에서 언밸런스를 함으로써 신선함을 주고 리듬감, 역동감, 생동감이 나타난다고 하였는데 이와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슬라이스 라인에서 A (대각)라인은 얼굴라인으로 갈수록 길어져 성숙함, 완숙함, 가름한 형태이고 평행라인은 일직선의 반듯한 형태에 의해 평범함, 무난함 그리고 V (대각)라인은 얼굴라인으로 갈수록 짧아 귀여움, 발랄함이 관찰되었다. 가름한 형태를 원할 때는 A (대각)라인, 무난한 형태를 원할 때는 평행라인, 귀여운 형태를 원할 때는 V (대각)라인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는 Guk (2022b)연구에서 V라인은 귀여움 그리고, 발랄함 평행라인은 단정함과 평평함이 나타났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와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두상영역분할 방식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를 두면 다른 두상분할과 비교하여 리듬감, 생동감이 나타나고 백 미디엄 네이프 포인트를 두면 무게감, 부피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Guk & Kim (2022a)연구에서 두상을 위로 두면 리듬감, 생동감이 증가하고 아래로 두면 무게감, 부피감이 증가한다고 하였는데 이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Conclusion

본 연구는 비대칭 커트로 뒷면을 한쪽은 평행라인, 다른 한쪽은 우대각 라인으로 커트하였다. 그리고 두상영역분할, 길이, 슬라이스 라인, 각도에 따른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상후면 네이프 포인트에서 왼쪽과 오른쪽의 길이를 즉, 2 cm 차이를 두었다. 그러므로 두상측면에서도 2 cm 차이가 나타났다 . 즉 뒷면길이는 측면 길이의 연장선이라고 사료된다.

둘째, 볼륨감을 주기에 미디엄 그래쥬에이션 커트가 가장 적합하다. 하지만 하나만 보고 판단하는 것은 무리수가 있다. 즉 볼륨감을 표현하기 위해 모발이 갖는 성질과 두상 형 및 길이도 함께 봐야 된다고 판단된다.

셋째, 그래쥬에이션 커트 구역범위가 넓을수록 층이 많이 생긴다. 또한 층이 겹겹이 쌓여 매끄러운 질감과 거친 질감을 동시에 나타낸다. 그러므로 두상 형, 모발성질, 모량과 함께 보고 분할을 정해야 된다고 사료된다.

넷째, 계획된 비대칭 커트는 언밸런스의 균형으로 신비적인 균형감과 그리고 신선함, 신비감, 역동감, 리듬감, 생동감, 율동감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다섯째, 하단을 솔리드 (원랭스) 커트 상단을 그래쥬에이션 커트를 혼합한 결과, 두상영역분할 위치에서 모발에 층이 생겨 거친 질감이 나타났다. 즉 맨 위와 맨 아래에서는 솔리드 (원랭스) 커트의 매끄러운 질감과 가지런한 질감이 형성된다고 사료된다.

여섯째, A (대각)라인은 길이가 길어져 성숙함과 완숙함 형태를 상징하고, 평행라인은 반듯함과 평범한 형태 그리고, V (대각)라인은 길이가 짧아져 발랄함과 귀여운 형태를 상징한다. 고객 얼굴형과 두상 형 및 고객 선호하는 스타일에 따라 슬라이스 라인을 선택해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일곱째, 두상분할 시 포인트 지점을 위로 두면 생동감, 리듬감이 나타나고 아래로 두면 부피감, 무게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로써 헤어커트를 디자인할 때 좌우 대칭이 같아야만 된다는 고정관념을 바꾸면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무한하게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많은 현장경험과 수많은 커트교육을 바탕으로 감각적인 헤어커트 디자인은 무궁무진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한계점 및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슬라이스 라인의 기울기 각도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않은 관계로 이를 맞추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사진을 촬영하는 시간, 날씨, 계절 등에 따라 음영이 다르다. 셋째 가발마다 드라이하는 방식을 모두 동일하게 표현하지는 못했다. 이는 불가항력적인 현상이므로 옳고, 그름을 논할 수 없는 영역이라고 사료된다. 즉 손동작이 일정할 수가 없다. 넷째 같은 가발회사라고 하여도 포인트 지점이 다르고, 몸의 위치 점에 따라 길이 측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1-2 cm 길이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다섯째 실제 사람모발보다 마네킹 모발은 가늘고 힘이 없으며 달라붙는 성질이 있다. 그러므로 각도의 차이를 둔다고 해도 달라붙는 성질에 의해 단차가 덜 나타나게 된다. 여섯째 작품의 최종 형태선의 해부학적 위치로 예를 들어 아래턱에서 비대칭 커트, 쇄골 선에서 비대칭 커트, 목 중앙선에서 비대칭 커트를 가지고 다양하게 분석하지 못하였다는 점이 아쉬웠다.

이상으로 평행라인, 우대각 라인의 비대칭 커트 및 두상영역분할, 길이, 각도,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형태변화를 실증한 후, 실측과 절차를 통해 헤어커트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자연스러운 비대칭 커트를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방향을 제시한다. 향후 연구방향으로는 비대칭 커트, 두상영역분할 커트, 볼륨 디자인 커트가 지속적으로 나오길 기대한다.

Notes

Author's contribution

This study was contributed by HRG alone. HRG designed, measured and recorded work experiments through a preliminary experiment. HRG also wrote and revised manuscript.

Author details

Hye Ran Guk (Director), Yun Hye Ran Hair, 1182-6 Chipyeong-dong, Seo-gu, Gwangju 61950, Korea.

References

Guk HR. Shape changes in bob with head partition location, temporal head, and head slice 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742–49. 2022b;
Guk HR, Kim SH. The change of two block cuts by blocking lo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509–517. 2022a;
Ha SK, Youn CS. A study on the haircut section divi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71–83. 2019;
Hur SA. A study on the asymmetry fashion design by jill sander.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20:571–581. 2019;
Jang SM, Jung WJ. Shape change according to the mixing of forward and rear slope slice lines in the graduation haircut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7:375–385. 2019;
Jang SM, Jung WJ. Changes in haircut shapes by mixing one length haircut and same layer haircut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head and slice lines during hair cutting.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8:559–570. 2020;
Jang SM, Jung WJ. Changes in haircut shapes by mixing medium-graduation haircut and one length haircut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head and slice lines during hair cutting I.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9:183–194. 2021;
Jung WJ, Kim CI. An empirical study on the mixed style of isadora bob cut and graduation cut. Journal of Beauty Industry 11:37–53. 2017;
Jung WJ, Youn CS. Factors of form change by hair-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4:893–899. 2008;
Jung WJ, Youn CS. Form change of cut style in relation with hair length, angle and base. Journal of Beauty Industry 9:53–68. 2015;
Kim SH. A study on hair style changes by changes in the volume of hair cut blocks, hair length and section line in hair 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2:1341–1351. 2016;
Kwon OH, Park EJ, Chung SM, Kim KY. Investigation into perception and necessity of hair length's standard point in hair cut education.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6:131–139. 2010;
Lee OK. The comparative analysis of bob style, according to each foreign brand’s haircut diagram, mainly vidal sassoon, toni & guy and zone & section.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2:607–612. 2014;
Lee OH, Jin YM. A study of one-length cut by the Korean's face types.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4:81–90. 2010;
Lim HS, Lee SJ. Deconstructivism analysis in men's disconnection cut: focused on years 2001 to 2017 collections by toni and gu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1051–1062. 2018;
Moon SJ, Jung WJ. Changes in shape line and length in accordance with inclination of slice line in one-length 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743–751. 2018;
Park SK, Yang MS. The study on the formativity of graduation's method.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2:13–19. 2008;
You GO, Song JH. A study of the graduation cut by angle analysis on proj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7:7–20. 2016;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Head region division

C.P., center point; G.B.M.P., golden back medium point; E.B.P., ear back point; NP, nape point; B.P., back point; B.N.M.P., back nape medium point.

Table 2.

Deployment table of graduation and one length cut according to the GBM zone

Zone Shape Length Base Slice line Angle
GBM1 Graduation G.B.M.P.: 22.5 cm, Not applicable Parallel line, A line, V line Head angle 25°, 50°, 75°
GBM2 One length N.P.: 11 cm; R.N.S.P.: 13 cm Not applicable Parallel line, A line Natural angle 0°

GBM1, center point (C.P.)-golden back medium point (G.B.M.P.)-E. B. P. (ear back point); N.P., nape point; R.N.S.P., right nape side point.

Table 3.

Treatment results of graduation and 1-length cut by GBM zone

GBM1, center point (C.P.)-golden back medium point (G.B.M.P.)-E.B.P. (ear back point).

Table 4.

Deployment table of graduation and one-length cut according to the B zone

Zone Shape Length Base Slice line Angle
B1 Graduation B.P.: 19.5 cm Not applicable Parallel line, A line, V line Head angle 25°, 50°, 75°
B2 One length N.P.: 13 cm, R.N.S.P.: 15 cm Not applicable Parallel line, A line Natural angle 0°

B-1, center point (C.P.)-back point (B.P.)–ear back point (E.B.P.); B-2, back point (B. P.)–nape point (N.P.); R.N.S.P., right nape side point.

Table 5.

Treatment results of graduation cut and one-length cut by the B zone

B1, center point (C. P.)-back point (B. P.)–ear back point (E. B. P.).

Table 6.

Deployment table of graduation and one-length cut according to the BNM zone

Zone Shape Length Base Slice line Angle
BNM-1 Graduation B.N.M.P.: 18.5 cm Not applicable Parallel line, A line, V line Head angle 25°, 50°, 75°
BNM-2 One length N.P.: 15 cm, R.N.S.P.: 17 cm Not applicable Parallel line, A line Natural angle 0°

BNM-1, center point (C.P.)-back nape medium point (B.N.M.P.)-ear back point (E.B.P.); BNM-2, B.N.M.P.-nape point (N.P.); R.N.S.P., right nape side point.

Table 7.

Treatment results of graduation and one-length cut by the BNM zone

BNM1, center point (C.P.)-back nape medium point (B.N.M.P.)-ear back point (E.B.P.).

Table 8.

Length variations of two blocks, three segments, and slice lines

Zone Slice line L.C.P. R.C.P. T.P. G.P. B.P. L.F.S.P. R.F.S.P. L.E.P. R.E.P.
GBM1 V line 21.5 24.5 29.0 22.5 - 19.5 22.5 17.5 18.5
Parallel line 24.5 26.5 315 24.5 - 22.5 24.5 18.5 19.5
A line 27.5 29.5 32.5 26.0 - 24.5 26.5 19.5 21.5
B1 V line 23.0 27.0 33.0 26.0 19.5 24.5 26.5 19.0 21.0
Parallel line 27.0 29.0 34.5 27.5 19.5 26.0 28.0 20.0 22.0
A line 29.0 31.0 35.5 28.0 19.5 27.0 29.0 21.0 23.0
BNM1 V line 25.0 27.0 32.5 26.5 22.0 23.0 25.5 19.5 22.0
Parallel line 30.5 32.5 34.5 28.5 22.0 27.0 28.5 21.5 23.5
A line 34.5 36.5 37.5 30.5 22.0 30.5 32.5 24.0 25.5

GBM1, center point (C.P.)-golden back medium point (G.B.M.P.)-E.B.P. (ear back point); B-1, C.P.-back point (B.P.)-ear back point (E.B.P.); BNM-1, C.P.-back nape medium point (B.N.M.P.)-E.B.P.; L.C.P., left center point; R.C.P, right center point; T.P., top point; G.P., golden point; L.F.S.P., left front side point; R.F.S.P., right front side point; L.E.P., left ear point; R.E.P., right ear p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