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이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다이어트 개선에 미치는 영향

Affecting Factors for Dietary, Exercise and Behavioral Modification of Women on Diet Improvement through Mediating Effects of Improve the Quality of Life

女性饮食、锻炼和行为矫正以生活质量改善为媒介对减肥的影响

Article information

Asian J Beauty Cosmetol. 2023;21(1):29-40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March 29
doi : https://doi.org/10.20402/ajbc.2022.0060
Department of Beauty Business, Bucheon University, Gyeonggi-do, Korea
오유진
부천대학교 뷰티융합비즈니스과, 경기도 부천시, 한국
Corresponding author: Yoojin Oh, Department of Beauty Business, Bucheon University, 25, Sinheung-ro 56beon-gil, Bucheon-si, Gyeonggi-do 14632, Korea Tel.: +82 32 610 0114 Fax: +82 32 663 0114 Email: yjoh0920@naver.com
Received 2022 July 16; Revised 2023 February 7; Accepted 2023 February 9.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체형관리실 비만 여성 고객을 대상으로 여성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이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다이어트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22년 5월, 프랜차이즈 체형관리실 8곳의 비만 여성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지 318부 중 미회수분과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275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PASW Statistics by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19.0과 AMOS 19.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수들을 요인의 차원으로 도출하기 위해 베리맥스 회전을 통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 계산을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해당 모형의 신뢰성과 타당성분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RMSEA, RMR, GFI, NFI, TLI, CFI값을 통해 모형적합도를 확인하였다. 이후 연구문제의 확인과정을 위해 구조모형 분석을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에 대한 소벨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소벨검증결과 인식은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한 다이어트 개선의 검증 값이 3.017 (p<0.05), 태도는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한 다이어트 개선의 검증값이 2.691 (p<0.05), 실천은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한 다이어트 개선의 검증 값이 0.997 (p<0.05), 지속성은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한 다이어트 개선의 검증 값이 1.607 (p<0.001), 효과성은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한 다이어트 개선의 검증 값이 0.961 (p<0.001)로 모든 항목에서 삶의 질 개선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론

비만자들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과 관련한 현황 및 요구도를 분석하고, 이들이 정해진 생활수칙들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치를 통해 보완해야 한다. 이를 통해 삶의 질 향상과 지속적인 다이어트 개선을 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을 할 수 있도록 정부, 민간, 학교, 지자체 등의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dietary, exercise, and behavioral modification of women on diet improvement using mediating effect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Methods

To conduct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female clients with obesity in eight franchise body-type management rooms in May 2022. Consequently, out of the 318 copies of the questionnaire, 275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luding false answers. The analysi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Statistics by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19.0 and AMOS 19.0.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Varimax rotation to derive variables as a dimension of factors. Second,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calculate the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α). Thir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odel, and model suitability was confirmed using RMSEA, RMR, GFI, NFI, TLI, and CFI values. Fourth,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research problem, and lastly, Sobel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was conducted.

Results

The results of Sobel verification for the intermediate path were as follows: Recognition affecting diet improvement mediating the improved quality of life is 3.017 (p<0.05); attitude is 2.691 (p<0.05); action is 0.997 (p<0.05); durability is 1.607 (p<0.001); and effectiveness is 0.961 (p<0.001), respectively.

Conclusion

It is vital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of people with obesity’s diet, exercise, and behavior modification, as well as to supplement them using various devices to conduct the set living rules properly. Thus, attention and efforts from the government, private sector, schools, and local governments are needed to provide condi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continuous diet.

Trans Abstract

目的

本研究利用改善生活质量为中介作用,检验了女性饮食、运动和行为改变对减肥改善的影响因素。

方法

为了开展这项研究,于2022年5月在8家加盟体型管理室对肥胖女性客户进行了调查。在318份问卷中,275份用于分析。使用社会科学统计软件包 (SPSS) 19.0和AMOS 19.0的预测分析软件进行分析。首先进行频数分析,分析研究对象的一般特征,采用方差最大旋转法进行因子分析,得出变量作为因子的一个维度。其次,进行信度分析,计算信度系数(Cronbach's α)。第三,进行验证性因素分析以分析模型的信度和效度,并使用 RMSEA、RMR、GFI、NFI、TLI和CFI值确认模型适用性。第四,对研究问题的确定过程进行结构模型分析,最后对中介效应进行Sobel验证。

结果

Sobel验证结果如下:认知以生活质量改善为媒介对减肥改善的鉴定值为3.017 (p<0.05);态度以生活质量改善为媒介对减肥改善的鉴定值为2.691 (p<0.05);实践以生活质量改善为媒介对减肥改善的鉴定值为为0.997 (p<0.05);耐久性以生活质量改善为媒介对减肥改善的鉴定值为1.607 (p<0.001);有效性以生活质量改善为媒介对减肥改善的鉴定值为0.961 (p<0.001)。

结论

分析肥胖人群在饮食、运动、行为矫正方面的现状和需求,并辅之以各种辅助手段,正确执行既定的生活规则,至关重要。因此,需要政府、私营部门、学校和地方政府的关注和努力,为改善生活质量和持续饮食提供条件。

Introduction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경제성장과 부의 축척은 생활의 편리함을 가지고 왔고, 전통 식생활에서 벗어나 서구화된 식단은 영양 과잉으로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Kwon, 2004). 이러한 영양 과다 현상으로 야기된 비만은 암보다 위중한 질환으로 간주 되어지며(Lee et al., 2017) 흡연의 뒤를 이은 두 번째 사망원인으로 가장 중요한 보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Rhee & Han, 2010). 비만이란 과다한 체지방량을 가진 상태로 정의될 수 있는데 성별에 따라 비만도에 차이가 있다. 즉, 남성의 경우는 체지방이 20% 이상인 경우를 여성의 경우는 30% 이상일 때 비만으로 판정된다(Kim & Park, 2003).

따라서 질병치료와 생활 습관 병 개선 및 예방 차원에서 비만관리는 전 세계적인 건강의 주요 관심사라 할 수 있다(Chae et al., 2010). 그러나 비만 관리 개선은 다양한 대중매체, 광고 등의 영향으로 검증되지 않은 다양한 다이어트 방법이 소개되어 소비자들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Lee & Kim, 2015). 또한 사회적 유행으로 인해 건강이 담보되지 않은 마른 체형만을 강조하고 이로 인해 오히려 건강을 해치게 되는 결과가 발생함에 따라 부적절한 다이어트는 사회적인 부담이 되기도 한다(Cho et al., 2009). 비만관리에 대한 중요성과 사회적인 요구에 따라 기업 및 학계에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어지고 있으며 성공적인 비만의 관리를 위해 과학적이고 실질적인 효과를 보이는 방법 중 식생활 개선, 운동 요법, 행동수정 요법이 있다(Kim & Ahn, 2003).

먼저 식생활 개선이란 단순한 식이 제한에 의한 체중의 감량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다양한 과학적 실험과 검증을 통해 제시된 식사 방법을 의미한다(Lee, 2002). 그러나 체지방 감소만을 목적으로 하여 식사제한만 시행하다보면 대부분 실패하거나 요요현상으로 더욱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성공적인 다이어트를 위해서는 운동 요법과 행동수정 요법을 병행하여야 한다(Park, 2018). 비만자를 위한 운동이란 비만으로 인한 생활습관 질환의 진행을 지연 또는 예방하고, 장애를 발생시킬 수 있는 여러 요인들을 제거하는 개인 맞춤형 운동 지도 방법이다(Hong & Kim, 2012). 비만자에게 권장되는 운동은 크게 유산소 운동과 근력 트레이닝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유산소 운동이란 체중에 의한 허리 및 하지 부담을 고려하여 고정식 자전거, 보행, 수중운동 등을 시행하는 것이다(Lee et al., 2013). 근력 트레이닝이란 체지방량의 저하를 억제하여 기초 대사량을 유지시킴으로써 소비에너지양을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전신의 근육을 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Kang & Jung, 2010). 또한, 행동 수정은 잘못된 행동을 수정하는데 초점을 두는 것으로 과거 부적절한 식습관 태도, 행동 양상 등을 파악하고 교정함으로써 건강한 생활 습관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Kim & Park, 2003).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에 대한 인식, 태도, 실천의지이며, 이를 지속하고, 그 효과를 느낌으로써 비로소 진정한 의미의 다이어트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Kwon et al., 2015).

한편, 삶의 질이란 개인이 느끼는 주관적인 만족감이나 행복감을 의미한다(Kim, 2021).

과거 다이어트 영역에서 다루어진 연구들은 대부분 대학생,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한 체형 인식과 다이어트 행위를 조사하는 것에 국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그들의 식생활, 운동, 행동 수정에 대한 인식, 태도, 실천, 지속성, 효과성 등을 살펴봄으로써 다이어트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비만 여성들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과 삶의 질 개선, 다이어트 개선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비만 여성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에 대한 인식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 적절한 다이어트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2. 연구 문제

본 연구에서는 비만 여성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과 다이어트 개선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비만 여성들이 실제로 다이어트 개선을 함에 있어 삶의 질 개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1. 비만 여성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은 다이어트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삶의 질 개선은 비만 여성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과 다이어트 개선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가?

Methods

1. 연구 대상 선정 및 자료 수집 기간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대상자는 전국에 위치한 프랜차이즈 체형관리실 8곳의 비만 여성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본 자료는 총 318명을 임의로 표집하여 조사하였으며 287부가 최종적으로 회수되어 90.2%의 회수율을 나타내었으며 이 중 불성실한 12부를 제외하고 총 27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2년 5월 1일부터 5월 25일까지이었으며, 설문지 작성 요청 전 본 연구자가 직접 연구에 협조하기로 한 체형관리실 원장, 실장, 관리사를 통해 본 설문에 대한 취지와 작성 요령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후 체형관리실 원장 및 실장, 관리사의 설명을 통해 연구의 취지와 작성 요령을 습득한 연구대상자가 직접 작성토록 한 후 회수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2. 조사도구

1)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 학력, 거주지, 결혼상태, 직업, 월평균 가계소득으로 총 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측정 방법은 명목척도를 사용하였다.

2)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

본 연구에서 독립변수로 사용한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dietary, exercise, behavioral modification)란 비만자들의 비만개선을 위해 체중을 줄이거나 건강의 증진을 위하여 제한된 식사를 하고, 체력을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분석, 평가를 통해 그에 따른 올바른 운동처방을 실시하며 이를 통해 행동교정을 이루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Han, 2019).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의 변수는 인식, 태도, 실천, 지속성, 효과성으로 총 5가지로 정의하였다.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과 관련된 설문지 작성을 위해 Kim & Shim (2018), Seong & Kim (2018), Choi et al. (2008), Lee et al. (2011)의 연구 모형을 참조하여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맞도록 일부 수정한 문항을 신뢰도, 타당성 분석을 통해 신뢰 수준에 있는 문항을 사용하였다. 문항 내용으로는 5개 하위요인(인식, 태도, 실천, 지속성, 효과성)의 총 20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을 통해 총 13개의 문항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이 높은 것으로 해석하도록 구성하였다.

3) 삶의 질 개선

본 연구에서 매개변수로 채택한 삶의 질 개선(improve the quality of life)이란 한 사회의 경제, 정치, 사회의 발전 수준과 사회구성원들의 개인특성, 생활조건, 가치관과 관습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상대적 개념으로 볼 수 있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행위로 볼 수 있다(Kwon et al., 2015). 즉, 삶의 질 개선의 개념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사회구성원들이 주변 환경의 변화에 대하여 어떻게 느끼고 생각하는가를 상대적인 관점에서 확인하고 평가해야 하며, 이러한 평가는 일반적으로 주관적인 성격을 띠게 되며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Kwon, 2004).

본 연구에서의 삶의 질 개선은 Park et al., (2003), Jeong & Kim (2007)의 연구 등을 참조로 하여 만족감, 안정감, 행복감, 자신감으로 정의하였다. 삶의 질 개선 설문을 위해 Oh & Lee (2015), Kwon et al., (2015)의 연구 모형을 참조하여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맞도록 일부 수정한 문항을 신뢰도, 타당성 분석을 통해 신뢰 수준에 있는 문항을 사용하였다. 문항 내용으로는 4개 하위요인(만족감, 안정감, 행복감, 자신감)의 총 15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을 통해 총 11개의 문항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 개선이 높은 것으로 해석하도록 구성하였다.

4) 다이어트 개선

본 연구에서 종속변수로 채택한 다이어트 개선(diet improvement)이란 음식 조절, 운동 및 습관의 변화 등을 통해 체중을 줄이거나 건강증진에 이르는 행위의 증진 Han & Kim (2019)을 의미한다. 다이어트 개선 설문을 위해 Kang & Jung (2010), Hong & Kim (2012), Lee et al. (2011)의 연구 모형을 참조하여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맞도록 일부 수정한 문항을 신뢰도, 타당성 분석을 통해 신뢰 수준에 있는 문항을 사용하였다. 문항 내용으로는 3개 하위요인(실천의지, 긍정적 태도, 습관형성)의 총 11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을 통해 총 7개의 문항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다이어트 개선 수준이 높은 것으로 해석하도록 구성하였다.

3. 분석방법

본 연구의 자료는 PASW Statistics by SPSS 19.0 과 AMOS 19.0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명목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 삶의 질 개선, 다이어트 개선의 문항은 리커트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유효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빈도분석, 각 설문 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은 Cronbach's α를 사용하였다. 연구 모형의 적합도 확인을 위해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RMSEA), root mean square residual (RMR), goodness of fit index (GFI), normed fit index (NFI), Tuker-Lewis index (TLI), comparative fit index (CFI) 등의 적합도 지수를 사용하였으며 측정변수들에 대한 정규성 평가를 위해 요인들의 왜도(Skewness), 첨도(Kurtosis)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각 변수들 간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미성 검증을 위하여 소벨검증(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Results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Table 1) 연령의 경우 30세 미만자가 102명(37.1%)로 가장 많았으며, 31세 이상 40세 미만자가 다음으로 많아 79명(28.7%)을 나타내었다. 학력 수준의 경우 전문대학 졸업자가 가장 많아 115명(41.8%)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대학 졸업자가 94명(34.2%)으로 나타났다. 거주지의 경우 대도시가 가장 많아 186명(67.6%)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중소 도시 68명(18.1%), 시골이 21명(7.6%)을 나타내었다. 결혼 상태의 경우 미혼, 이혼 또는 사별의 경우 180명(65.5%)을 나타내었고, 기혼의 경우는 95명(34.5%)를 나타내었다. 직업의 경우 사업(장사)가 가장 많아 75명(27.3%)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가정주부가 62명(22.5%)을 나타내었다. 한 달 평균 가족 소득의 경우 400만원 이상 599만원 미만으로 99명(36.0%)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는 200만원 이상 399만원 미만이 79명(28.7%)을 나타내었다.

General characteristics

1)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 및 다이어트 개선 및 삶의 질 개선 요인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 및 다이어트 개선 및 삶의 질 개선 요인의 차원을 도출하기 위해 베리맥스 회전법을 통한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성 분석을 위해 각 요인별로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를 계산하였다(Table 2).

Result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on factors that affected dietary, exercise, and behavioral modification, diet improvement,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각 요인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결과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Cronbach's α=0.723), 다이어트 개선(Cronbach's α=0.821), 삶의 질 개선(Cronbach's α=0.733)로 신뢰할 만한 수준에 있다고 볼 수 있다.

2) 변수들의 기술 통계치

변수들의 기술 통계치를 살펴보면 Table 3과 같다. 연구 대상자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에서 인식은 4.587±0.754를 나타내었고, 태도의 경우 4.205±0.681를 나타내서 연구대상자들의 다이어트 관련 인식 및 태도 수준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실천의 경우 3.614±0.758, 지속성은 3.512±0.664로 나타나 인식 및 태도 수준에 비해서 실제로 다이어트를 실천하거나 지속하는 경우는 낮게 조사되었다. 또한 실제 다이어트를 시행했을 때의 효과성은 3.201±0.587로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다이어트와 건강,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이 많아 인식이 높아지며 다이어트를 실천해야 한다는 태도는 갖추어 졌으나, 실제로 실천, 지속을 통해 효과를 보이는 비율이 낮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Descriptive statistics on affected factors

삶의 질 개선의 경우 만족감(3.970±0.712), 안정감(3.540±0.695), 행복감(3.544±0.712), 자신감(3.692±0.671)로 나타나 대부분의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다.

다이어트 개선의 경우 실천의지는 3.662±0.620, 긍정적 태도의 경우 3.947±0.704, 다이어트 개선요소의 경우 3.512±0.646로 나타나 다이어트 시행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으나 그에 비해 실천의지 및 개선 요소는 다소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3) 측정모형 분석

측정변인들이 잠재변인들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측정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 삶의 질 개선, 다이어트 개선의 구조관계를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Table 4). 그 결과 χ2/df=452.017/190, RMSEA=0.047, RMR=0.021, GFI=0.485, NFI=0.820, TLI=0.874, CFI=0.801로 나타나 모형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모형의 각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 분석결과 독립변수에서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 요인 중 지속성에서 β=0.702로 나타나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 요인 중 태도에서 β=0.484로 나타나 p<0.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 요인 중 인식에서 β=0.461로 나타나 p<0.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 요인 중 효과성에서 β=0.338로 나타나 p<0.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매개변수에서 삶의 질 개선 요인 중 안정감에서 β=0.861로 나타나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삶의 질 개선 요인 중 행복감에서 β=0.860로 나타나 p<0.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삶의 질 개선 요인 중 자신감에서 β=0.764 나타나 p<0.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속변수에서 다이어트 개선 요인 중 습관형성에서 β=0.886로 나타나 p<0.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다이어트 개선 요인 중 긍정적 태도에서 β=0.841 나타나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nalysis result for measurement model

4) 구조모형 분석

(1)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이 다이어트 개선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문제 1인 '비만여성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은 다이어트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자들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이 다이어트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Table 5). 각 경로별 회귀계수를 살펴보면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과 다이어트 개선 간의 연관성에서 β=0.080로 나타나 모두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만여성이 느끼는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에 따라 다이어트 개선의 수준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이 좋을수록 다이어트 개선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Path coefficient of research model on dietary, exercise, behavioral modification and diet improvement

측정 모형분석을 통해 잠재변수와 측정변수간의 관계가 적적함을 알 수 있었으며,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비만여성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이 다이어트 개선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삶의 질 개선을 통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2) 삶의 질 개선이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과 다이어트 개선 간의 매개역할 분석

연구문제 2인 '삶의 질 개선은 비만여성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과 다이어트 개선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자들의 삶의 질 개선이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과 다이어트 개선 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Table 6). 각 경로별 회귀계수를 살펴보면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이 삶의 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은 β=0.351(p<0.001),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이 다이어트 개선에 미치는 영향은 β=0.183 (p<0.01), 삶의 질 개선이 다이어트 개선에 미치는 영향은 β=0.214 (p<0.001)로 나타나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만여성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에 따라 다이어트 개선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함께 삶의 질 개선이 매개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하겠다.

Path coefficient of research model on dietary, exercise, behavioral modification, and diet improvement using mediating effect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s a parameter

3) 매개효과에 대한 소벨검증

경로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의 변수들이 다이어트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질 개선의 매개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미성 검증을 위하여 최종적으로 소벨검증(Sobel test)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Table 7과 같이 인식이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다이어트 개선에 미치는 영향의 검증 값이 3.017 (p<0.05), 태도가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다이어트 개선에 미치는 영향의 검증값이 2.691 (p<0.05), 실천이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다이어트 개선에 미치는 영향의 검증값은 0.997 (p<0.05), 지속성이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다이어트 개선에 미치는 영향의 검증값은 1.607 (p<0.001), 효과성이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다이어트 개선에 미치는 영향의 검증 값이 0.961 (p<0.001)로 모든 항목에서 삶의 질 개선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Sobel verification for intermediate path

Discussion

본 연구는 비만 여성의 식생활, 운동 및 행동수정, 삶의 질 개선, 다이어트 개선의 상관관계를 통해 여성들의 식생활, 운동 및 행동수정과 다이어트 개선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만 여성들의 식생활, 운동 및 행동수정, 삶의 질 개선, 다이어트 개선 간의 구조적 관계가 실제로 다이어트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후, 이들 중 삶의 질 개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비만 여성들의 다이어트 개선과 관련한 영향요인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여성들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을 진작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 삶의 질 개선을 통해 다이어트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와 관련해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는 첫째, 여성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은 다이어트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삶의 질 개선은 여성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과 다이어트 개선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가? 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에 위치한 프랜차이즈 체형관리실 8곳의 비만 여성 고객 287명의 설문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자료는 PASW Statistics by SPSS 19.0과 AMOS 19.0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들의 식생활, 운동 및 행동수정에서 실천, 지속성, 인식, 태도 순으로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식생활, 운동 및 행동수정은 실천이 가장 중요하며, 지속성이 담보되어야 가능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식생활, 운동 및 행동수정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효과성으로 이어지는 것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게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 삶의 질 개선, 다이어트 개선의 구조관계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각 변수들 간의 인과 관계 분석결과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은 지속성, 태도, 인식, 효과성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삶의 질 개선은 안정감, 행복감, 자신감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다이어트 개선에서는 습관형성, 긍정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Kim & Park (2003)의 연구에서 보건교사와 학부모가 연계한 아동의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에서 식생활, 운동의 실천, 지속성 요인이 비만관리 프로그램 성공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어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Kang & Jung (2010)의 연구에서 12주간 유산소 운동을 진행한 비만 청소년의 비만지표, 인슐린 저항성,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가 감소하고 운동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보여 주었는데,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지속성, 실천의 중요함과 동시에 비만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태도의 여부가 중요한 다이어트 개선의 변수가 됨을 보여주어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Lee et al. (2011)의 연구에서 부산, 경남 지역 주부들을 대상으로 비만도와 외식행동, 식생활 습관에 관한 연구에서 비만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올바르게 가지고 있는 군에서 다이어트 개선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해 주고 있다.

연구문제 1인 '여성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은 다이어트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한 결과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의 신뢰도는 다이어트 개선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에 따라 다이어트 개선의 수준이 달라지는데 이는 식생활, 운동 및 행동수정의 인식, 태도, 실천, 지속성, 효과성, 만족감이 높을수록 다이어트 개선 수준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서울특별시 초등학교에서 시행된 학교 기반 중재 프로그램인 건강교실은 초등학생들의 비만도 개선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Cho et al., 2009)를 지지하며, 비만 중년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복합 운동이 비만 중년 여성의 혈증 염증 반응 지표, 혈관 내피 성장인자 및 동맥 경직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Lee et al., 2013)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연구문제 2인 '삶의 질 개선은 여성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과 다이어트 개선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검증한 결과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은 삶의 질 개선과 다이어트 개선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으며, 삶의 질 개선 또한 다이어트 개선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체질량지수와 비만관련 삶의 질 연관성의 연구에서 체질량지수가 정상에 가까울수록 삶의 질이 향상되고 삶의 질 향상은 다이어트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Chae et al., 2010)를 지지한다. 또한 신체 이미지와 자아 존중감 및 외모관리행동의 상관성을 연구한 선행연구(Lee & Kim, 2015)를 지지한다.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의 변수들이 다이어트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질 개선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 결과 인식은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한 다이어트 개선에서, 태도는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한 다이어트 개선에서, 실천은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한 다이어트 개선에서, 지속성은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한 다이어트 개선에서, 효과성은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한 다이어트 개선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확인하여 삶의 질 개선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최근 경제발전으로 식생활이 서구화되고 생활양식이 편리해져서 비만증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국민 건강을 위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연구를 통해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은 실천과 지속성, 인식, 태도와 상관관계가 높았다. 따라서 비만자가 식생활, 운동 및 행동수정을 지속성을 가지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야 하고 비만에 대한 올바른 인식 및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추가적인 노력을 지속적으로 영위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삶의 질 개선 면에서 안정감, 만족감, 자신감에서 높게 조사되었으므로, 비만 여성들의 삶의 질 요인들을 배가 시킬 수 있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경북지역 중년 여성의 비만에 대한 관심도와 식생활 행동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선행연구(Lee, 2002)에서도 비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가진 여성들이 보다 건강한 식생활 행동을 실천한다는 결과를 보여주어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또한, 소비자교육을 위한 중년기 소비자의 성별, 비만도별 외식행동, 식생활 라이프 스타일 및 건강한 식생활 역량의 차이를 분석한 선행연구(Park, 2018)에서도 비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가진 군에서 보다 지속적이고 실천 가능한 식생활 태도를 보였고 이는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통한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결과를 보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해 주고 있다.

둘째,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비만 여성의 식생활, 운동 및 행동수정을 향상시켜 다이어트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삶의 질이란 절대적 개념이라기보다 개인특성, 생활 조건, 가치관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상대적 개념이기에 식생활, 운동 및 행동수정이 개선되면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지고 이를 매개로 다이어트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저 열량 균형 식, 무리하지 않는 운동, 맞춤형 행동수정 요법등과 같이 개인에게 맞는 평생 체중 조절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만족감, 행복감을 느끼는 삶의 질 향상은 성공적인 다이어트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여대생을 중심으로 한 신체이미지, 자아 존중감, 외모관리행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선행연구(Lee & Kim, 2015)에서도 신체 이미지가 높은 군일수록 자아 존중감이 높았고, 이는 다시 외모관리 행동으로 이어진다는 결과를 보여주어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또한 좌식행동수정이 운동 중재 프로그램 참가에 따른 비만 여성의 체지방과 대사증후군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본 선행연구(Kwon et al., 2012)에서도 운동을 통한 체지방 감소와 대사증후군 개선은 삶에 대한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조사되어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비만치료의 성공률은 매우 낮아서 예방이 중요하며(Jeong & Kim, 2007) 비만 치료를 위해 식이요법, 운동, 생활양식 및 식습관의 행동수정을 종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Kwon, 2004). 따라서 정부, 지자체, 학교의 보건체제 내에서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올바른 식이요법, 운동, 행동수정 교육 및 홍보를 진행하여야 하고, 이를 통해 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이는 지속적인 다이어트 개선이라는 궁극적 목표로 이어질 수 있는 노력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Conclusion

현대의 고열량 식품의 섭취와 생활의 편리화로 비만인구는 점차 증가되고 그 증가폭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비만은 대표적인 건강문제로 고혈압, 당뇨, 암, 동맥경화증등과 같은 성인병의 발병률을 높이고 그에 따른 사망률을 높이므로 국민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비만은 의학적 치료방법으로는 그 해법을 찾기 어렵고, 평상시의 식습관, 운동, 행동수정과 같은 생활습관에서 그 답을 찾아야 한다. 비만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태도를 통해 올바른 생활 습관이 이루어지면 삶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감, 즉 삶의 질이 향상 되어 질 수 있으며 이는 다시 다이어트 개선 효과라는 선순환 구조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만자들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과 관련한 현황 및 요구도를 분석하고, 이들이 정해진 생활수칙들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치를 통해 보완해야 한다. 이를 통해 삶의 질 향상과 지속적인 다이어트 개선을 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을 할 수 있도록 정부, 민간, 학교, 지자체 등의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는다. 첫째, 표본의 대표성 문제이다. 연구에서 표본으로 선정된 여성 고객은 체형관리실 고객으로 평소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소득수준이 일정수준 이상인 여성임을 감안할 때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생각된다. 둘째,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에 대한 요인과 삶의 질 개선 요인은 매우 다양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일부로 한정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결과가 기존 선행 연구결과와 동일한 결과이면서도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 측정을 위해 인식, 태도, 실천, 지속성, 효과성 측면에서 살펴보고, 만족감, 안정감, 행복감, 자신감의 삶의 질 개선 측정을 통해 소비자들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을 통한 삶의 질 개선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봄으로써 다이어트 개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봄은 의의가 있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추후 여성들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을 진작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의 삶의 질 개선을 통해 다이어트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다양한 기관들의 활동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Notes

Author's contribution

YJO designed, analyzed data, and wrote the manuscript.

Author details

Yoojin Oh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Business, Bucheon University, 25, Sinheung-ro 56 beon-gil, Bucheon-si, Gyeonggi-do 14632, Korea.

References

Chae KH, Won CW, Choi H, Kim BS. Obesity indices and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s 65 years and older.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1:540–546. 2010;
Cho YG, Song HR, Kim KA, Kang JH, Kang JH, Song YH, Yun HJ, Kim HS. Effect of a school-based intervention for overweight children "fitness class" performed o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18:146–157. 2009;
Choi KS, Shin KO, Chung KH. Comparison of the dietary pattern, nutrient intakes, and blood parameter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BMI) of college women in Seoul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7:1589–1598. 2008;
Han JS. Body mass index, stress, and dietary habits of women in their early 20s and late 20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7:365–373. 2019;
Han JS, Kim Y. Effects of a weight management program on body composition, and calcium, zinc, and iron intake in middle-aged women with obesity.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7:15–24. 2019;
Hong YS, Kim CS. The effect of body fat percentage, self body image, and stress of exercise on exercise participation in obese children.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orome 21:203–212. 2012;
Jeong SK, Kim CG.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in overweight and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543–551. 2007;
Kang S, Jung SL. Effect of 12 weeks aerobic exercise on obesity index, insulin resistanc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exercise capacity in obese adolescent. Exercise Science 19:277–288. 2010;
Kim AK. Effect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of beauty-related worker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9:583–594.
Kim KH, Park KM.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obesity control program of school nurses and parents for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7:71–84. 2003;
Kim MS, Ahn HS. Study on the effect of obesity management program in middle aged abdominal obese women: with focus on aroma massage.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12:54–67. 2003;
Kim SA, Shim EK. Effects of weight-loss knowledge, attitude, and motivation on dietary habits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6:20–31. 2018;
Kwon HK, Ha CD, Gang HS. Effects of sedentary behavior modification on an exercise intervention-induced improvements in body fatness and metabolic syndrome in obese women.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orome 21:115–123. 2012;
Kwon YD.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obesity. Journal of Society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4:125–137. 2004;
Kwon YJ, Jeong JE, Huh HJ, Cho H, Kim DJ. Impact of obesity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childr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Psychiatry 22:128–134. 2015;
Lee BS, Park YH, Lee JH. A study on obesity, eating-out behaviors, and eating habits among the housewives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17:151–161. 2011;
Lee GS. A study on the interest of obesity and the eating behavior of middle-aged women in Kyungbuk area: nutrition knowledge and specific character.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3:123–135. 2002;
Lee KJ, Kim HJ. Correlation of body image, self-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3:203–211. 2015;
Lee SA, Joo HJ, Park MJ, Park BD, Kim GN. Anti-obesity effects of Curcuma longa L. extracts through inhibiting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5:192–202. 2017;
Lee SM, Kim SB, Yoon JH.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blood inflammatory marker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arterial stiffness in obese middle aged women.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21:91–99. 2013;
Oh HS, Lee WJ. Analysis for confounding effects of gender and self perception of body image on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in obese college student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41:63–74. 2015;
Park HS, Sung SW, Ou SW, Lee KY, Kim BS, Han JH, Kim SM, Lee HR, Yu BY, Lee KM, et al.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scale.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13:280–293. 2003;
Park JO. Analysis of comparisons of eating-out, dietary lifestyles, and healthy dietary competencies among middle-aged consumers according to obesity status and gender for implications of consumer education.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51:61–72. 2018;
Rhee YS, Han IY. Psychosocial risk factors among obesity clinic patients.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19:137–147. 2010;
Seong JH, Kim CB. Effects of daily intentional abdominal muscle contraction in pilates participants with real-time feedback on body composition and trunk stability.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6:62–70. 2018;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Provision Variables Frequency (%)
Age Under 30 102 (37.1)
31–40 79 (28.7)
41–50 56 (20.4)
Over 51 38 (13.8)
Academic ability High school graduation or less 38 (13.8)
College graduation 115 (41.8)
University graduation 94 (34.2)
Graduate school graduation 28 (7.5)
Residence Country 21 (7.6)
Small city 68 (18.1)
Big city 186 (67.6)
Marital status Single/unmarried 180 (65.5)
Married 95 (34.5)
Job Housewife 62 (22.5)
Business 75 (27.3)
Professional 32 (11.6)
Public official 20 (7.3)
Student 54 (19.6)
Others 32 (11.6)
Average monthly family income Over 2000 thousand won 25 (9.1)
Over 200-under 400 thousand won 79 (28.7)
Over 400-under 600 thousand won 99 (36.0)
Over 600-under 800 thousand won 60 (21.8)
Over 800 thousand won 12 (4.4)

Table 2.

Result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on factors that affected dietary, exercise, and behavioral modification, diet improvement,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Variables Eigenvalue Degree of dispersion Cronbach’s α
Dietary, exercise, and behavioral modification 3.980 30.452 0.723
Diet improvement 2.944 23.179 0.821

Table 3.

Descriptive statistics on affected factors

Provision Variables Grade average Standard deviation Skewness Kurtosis
Dietary, exercise, behavioral modificatio Recognition 4.587 0.754 −0.147 −0.037
Attitude 4.205 0.681 −0.176 −0.501
n Action 3.614 0.758 −0.170 0.114
Durability 3.512 0.664 −0.708 −0.172
Effectiveness 3.201 0.587 −0.149 −0.196
Improve the quality of life Satisfaction 3.970 0.712 0.014 0.142
Stability 3.540 0.695 −0.360 −0.127
Happiness 3.544 0.712 −0.241 −0.149
Confidence 3.692 0.671 0.410 0.192
Diet improvement Intent to act 3.662 0.620 0.384 0.081
Positive attitude 3.947 0.704 0.148 −0.304
Formation of a habit 3.512 0.646 0.227 −0.176

Table 4.

Analysis result for measurement model

Observe factor←potential factor β B S.E C.R p SMC
Independence Action←dietary, exercise, behavioral modification 0.691 1.051 0.147
Durability←dietary, exercise, behavioral modification 0.702 0.796 0.102 15.206 ** 0.174
Attitude←dietary, exercise, behavioral modification 0.484 0.775 0.096 8.617 *** 0.226
Recognition←dietary, exercise, behavioral modification 0.461 0.659 0.067 6.223 *** 0.204
Effectiveness←dietary, exercise, behavioral modification 0.338 0.594 0.947 6.927 *** 0.847
Mediation Satisfaction←improve the quality of life 0.947 1.012 0.796
Stability←improve the quality of life 0.861 0.796 0.162 13.220 ** 0.728
Happiness←improve the quality of life 0.860 0.699 0.049 11.207 *** 0.747
Confidence←improve the quality of life 0.764 0.793 0.197 16.226 *** 0.792
Dependence Intent to act←diet improvement 0.892 1.002 0.792
Formation of a habit←diet improvement 0.886 0.896 0.469 20.203 *** 0.557
Positive attitude←diet improvement 0.841 0.493 0.148 20.187 ** 0.639
**

p <0.01;

***

p <0.001;

χ2=452.017; df=190; RMSEA=0.047; RMR=0.021; GFI=0.485; NFI=0.820; TLI=0.874; CFI=0.801.

Table 5.

Path coefficient of research model on dietary, exercise, behavioral modification and diet improvement

β B S.E C.R p
Dietary, exercise, behavioral modification→diet improvement 0.080 0.204 0.064 1.697 0.002**
**

p <0.01.

Table 6.

Path coefficient of research model on dietary, exercise, behavioral modification, and diet improvement using mediating effect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s a parameter

β B S.E C.R p
Dietary, exercise, behavioral modification→diet improvement 0.351 0.357 0.114 5.617 ***
Dietary, exercise, behavioral modification→diet improvement 0.183 0.151 0.033 2.617 **
Improve the quality of life→diet improvement 0.214 0.157 0.014 4.518 ***
**

p <0.01;

***

p <0.001.

Table 7.

Sobel verification for intermediate path

Path Value
Recognition→improve the quality of life→diet improvement 3.017*
Attitude→improve the quality of life→diet improvement 2.691*
Action→improve the quality of life→diet improvement 0.997*
Durability→improve the quality of life→diet improvement 1.607***
Effectiveness→improve the quality of life→diet improvement 0.961***
**

p <0.01;

***

p <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