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Asian J Beauty Cosmetol > Volume 22(1); 2024 > Article
유칼립투스 추출물이 탈색모에 미치는 영향

요약

목적

본 연구는 유칼립투스 추출물로 탈색된 모발에 도포하여 모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유칼립투스 추출물 함량을 0 g, 3 g, 6 g, 9 g을 첨가하여 유칼립투스 제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제형제로 8레벨로 탈색한 시료 모발에 도포하였다. 추출물을 첨가한 제형제로 도포한 시료와 탈색모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모발의 명도 변화를 알기 위해 색차계를 이용하여 L * 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탈색된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기 위해 모발의 인장강도,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광택을 측정하였다.

결과

시료 별 L * 값은 측정 결과 탈색모에 도포한 시료별에서 함량이 높을수록 L * 값의 평균이 높았으며, 8L(3)과 8L(6), 8L(9) 비교 시에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로 명도의 차이가 있었다. 인장강도 측정결과 시료별에서 함량이 높을수록 인장강도 평균값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로 나타났다. 흡광도 측정결과 시료별에서 평균값과 통계 분석 값의 차이가 있어 유칼립투스 추출물이 탈색모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광택 측정결과 평균값에서는 추출물 함량이 증가 할수록 차이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8L(3)을 제외 한 8L(6), 8L(9)에서 차이를 보여 광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탈색모와 추출물을 첨가하여 도포한 시료의 평균값과 통계분석결과 명도, 흡광도, 광택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유칼립투스 추출물이 탈색된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차후 다양한 천연 추출물이 탈색된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연구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ucalyptus oil on damaged hair.

Methods

Eucalyptus formulations were prepared by adding 0, 3, 6, or 9 g of eucalyptus extract, and these formulations were applied to level 8 bleached hair samples. Various parameters were then measured and compared in the treated bleached hair. The impact of eucalyptus extract on hair brightness was assessed by measuring L * values using a color difference meter. Additionally, tensile strength, absorbance (determined using methylene blue), and gloss of the bleached hair were measured.

Results

Measurement analysis showed that L * values increased as the content of eucalyptus extract applied to bleached hair increas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rightness was observed among 8L(3), 8L(6), and 8L(9) samples. Furthermore, average tensile strength of the hair increased as extract content increased, although the difference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Absorbance analysi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value and statistical analysis value for each sample, indicating that eucalyptus extract affects the absorbance of bleached hair. Gloss analysis also revealed differences in average values as extract content increased,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at 8L(6) and 8L(9) but not 8L(3), suggesting that eucalyptus extract affects hair gloss in a content-dependent manner.

Conclusion

Statistical analysis of average values revealed that eucalyptus extract affected bleached hair in terms of brightness, absorbance, and gloss, with different eucalyptus extract contents having different effects on the hair. Future studies should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other natural extracts on bleached hair.

中文摘要

目的

本研究旨在研究桉树油对受损头发的影响。

方法

通过添加 0、3、6 或 9 g 桉树提取物制备桉树制剂,并将这些制剂应用于8级漂白的头发样品。然后测量并比较经过处理的漂白头发的各种参数。通过使用色差计测量 L* 值来评估桉树提取物对头发亮度的影响。此外,还测量了漂白头发的拉伸强度、吸光度(使用亚甲蓝测定) 和光泽度。

结果

测量分析表明,随着应用于漂白头发的桉树提取物含量的增加,L*值增加。在8L(3)、8L(6) 和8L(9) 样品中观察到亮度存在统计学上的显着差异。此外,头发的平均拉伸强度随着提取物含量的增加而增加,尽管差异没有达到统计学显着性。吸光度分析显示每个样品的平均值和统计分析值之间存在显着差异,表明桉树提取物影响漂白头发的吸光度。光泽分析还显示,随着提取物含量的增加,平均值存在差异,在8L(6)和8L(9)处观察到显着差异,但在8L(3)处没有观察到,这表明桉树提取物以剂量依赖性方式影响头发光泽。

结论

对平均值进行统计分析发现,桉树提取物对漂白头发的亮度、吸光度和光泽度有影响,不同桉树提取物含量对头发的影响不同。未来的研究应该调查各种其他天然提取物对漂白头发的影响。

Introduction

누구나 자신의 외모에 신경을 쓰며, 건강하고 아름다운 외모를 유지 관리하려고 한다. 그러기 위해 패션, 메이크업뿐만 아니라 헤어스타일, 헤어케어도 관심을 갖으며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아름다운 외모를 위한 방법에서 헤어 퍼머넌트 웨이브, 헤어 컬러링을 통한 아름다움에도 신경을 쓰고 있다(Kim et al., 2010a). 그러나 이러한 아름다운 헤어스타일을 위한 헤어 작업들이 안타깝게도 우리 모발에 손상을 가하고 있다. 헤어 컬러링 시 알칼리성 성분과, 산화제의 성분에 의해서 모표피가 팽창하고, 연화과정이 이 이루어지면서 모표피의 손상이 야기된다. 탈색, 염색 시 과산화수소의 멜라닌 파괴와 다른 모발 성분이 용해 되어 샴푸할 때 빠져나와 빈 공간이 생겨난다(Kim, 2017). 또한 헤어퍼머넌트 웨이브시에서 마찬가지로 알칼리성 성분, 환원제에 의해 모발의 결합이 절단되면서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이 이루어지지 않아 모발의 변형이 생긴다(Kim & You, 2016). 여러가지 화학적 원인에 의해 모발은 형태적으로 모표피의 박리, 소실, 모표피 주름, 열모, 지모, 단모의 상태가 되며 모발 구성성분인 천연 보습인자, 간충물질의 유실 등이 일어나 다공성모, 건조성모 등 케라틴 구조의 약화로 탄력성 저하 등으로 결과가 나타난다(Kim et al., 2010b). 이렇게 손상된 모발을 개선을 위한 여러가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연구로는 아로마를 이용한 두피 및 모발관리(Lee, 2004), 검은콩과 같은 식물성 물질이 모발관리에 미치는 영향(Lee & Kim, 2005), 녹용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모발 엔센스의 모발관리(Kim et al., 2011) 등의 연구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아로마오일, 천연오일, 천연 추출물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수 많은 천연물 오일, 추출물과 모발 개선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미흡하다. 어떤 성분이 모발 개선에 더 효과적인가를 알기 위해서는 다양한 오일, 추출물이 모발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식물 중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이용하여 모발 개선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칼립투스는 Eucalyptus globulus라는 식물의 잎에서 추출한 오일로서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해열작용, 항염증작용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오일이다(Cha et al., 2006). 유칼립투스 관련 연구로는 보존용액이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의 수명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Cho et al., 2016), 관수 주기가 Eucalyptus pellitaAcacia mangium 용기묘의 광합성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Lee et al., 2010) 등이 있다. 이렇게 다양한 분야에 연구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유칼립투스가 탈색된 손상 모발에 미치는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연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칼립투스 추출물이 탈색으로 손상된 모발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해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함량 별로 다르게 사용하였고 도포력 향상을 위해 펌제이스제에 혼합하여 제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제로 손상모와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첨가하여 도포한 시료를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은 유칼립투스 추출물에 의한 모발의 명도 변화를 알아보고자 색차계 측정을 하였고, 또한 탈색된 모발에 어떠 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기 위해 모발의 강도 변화인 인장강도 측정을, 모발 성분 유실과 개선 정도를 알기 위해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측정, 모발 표면 광택을 측정하여 탈색된 모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Methods

1. 실험재료

1) 시료 모발

실험에 사용된 모발은 최근 2년 동안 화학적 시술을 하지 않은 18세 여성의 모발을 후두부에서 두피 3 cm 지점을 기준으로 20 cm로 채취하여 2 g씩 모(hair) 다발을 만들었다. 플레인 린스 후 자연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유칼립투스 추출물이 탈색으로 손상된 모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화학적시술을 전혀 하지 않은 건강모와 건강 모발에 탈색제 제1제(ammonium persulfate, potassium persulfate, sodium metasilicate, magnesium,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Suanhj, Korea) 3 mg과 제2제(6 %의 과산화수소를 주성분으로 water, etidronic acid, phosphoric acid, sodium phosphate dibasic, cetyl alcohol로 구성된 제품) (Suanhj, Korea) 3 mL를 1:1 비율로 혼합, 도포하고 30 min 방치 후 세척하여 명도 8레벨 시료 4다발을 제작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발 시료의 level 측정기(level scale, Wella, Germany)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탈색모와 탈색모 시료에 각각 유칼립투스 첨가한 제형제로 상호 비교하였다.

2) 유칼립투스 추출물

실험에 사용 한 유칼립투스 추출물은 화장품원료로 사용되는 오일로 코리아싸밀락(Korea Similac, Walterenterprise Co., Lt,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3) 모질 개선 제형제 제조

실험에 사용한 모질 개선 제형제의 펌베이스제는 ㈜수안향장(Korea)에서 제조한 것으로 모든 제조에 사용하였으며, 펌베이스제 조성표는 Table 1과 같다. 이 펌 베이스제에 유칼립투스 0 g, 3 g, 6 g, 9 g 함량을 다르게 하여 혼합 제조였다.

4) 측정기기 및 측정방법

(1) 도포 전, 후의 명도(L*) 변화 측정

탈색모와 함량 별로 유칼립투스 추출물이 첨가된 제형제로 도포한 시료의 표면 색상 변화를 알아보고자 색차계(Color meter, CR-400; Konica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CIELAB 표색계의 색상 값인 명도지수 L* 값을 측정 비교하였다.
측정값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12회 측정하여 최고 값과 최저 값을 제외한 10회의 측정 값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2) 인장강도 측정

탈색모와 함량 별로 유칼립투스 추출물이 첨가된 제형제로 도포한 시료의 인장강도를 측정 비교하였다. 측정 기기(Digital force gauge, HF-20; Tripod, China)로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의 신뢰성을 위하여 7회 측정 후 측정 값 중 최고 값과 최저 값을 제외한 5회의 측정 값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3)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측정

탈색모와 함량 별로 유칼립투스 추출물이 첨가된 제형제로 도포한 시료를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 비교하였다. 모발의 외경은 마이크로미터(Quickmike, Mitutoyo)를 이용하여 0.080-0.085 mm의 굵기 오차범위를 정하고 4 cm의 길이로 2가닥 잘랐다. 자른 후 2가닥의 모발을 tube에 넣은 후 MB solution에 담가 vortex mixer (Vortex genie 2, Scientific Industries, USA)를 이용하여 10 s 동안 vortexing하였다. 50℃ heat block (wise therm HB-48P; Daihan Scientific, Korea)에서 10 min간 유지하여 MB solution을 흡착시키고, tube에 있는 2가닥의 시료를 꺼내어 표면에 묻어있는 MB solution은 실험용 티슈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시료 2가닥을 각각 새 tube에 옮겨 담았다. 이 tube에 MB desorb solution을 5 mL를 넣고 상온에서 5 min 방치 후 10 s vortexing 후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액을 큐벳(cuvettes)에 3000 μL 분주하여 MB의 흡수 강도가 가장 높은 파장인 660 nm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회 추출 후 같은 방법으로 총2회 분광광도계(Vis spectrophotometer, SV1200; Azzota, USA)로 흡광도를 측정 총4회의 값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 시 기준 값을 잡기 위해 desorb solution을 3000 μL 분주하여 blank를 만들어준다. MB 시약은 DW 20 mL+MB 400 μL 으로 희석하여 2 %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Desorb solution은 49 % ethanol (49 mL)+1% glacial aceticacid (1 mL)+50% DW (50 mL) 의 비율로 완성하였다.

(4) 모발 표면 광택 측정

탈색모와 함량 별로 유칼립투스 추출물이 첨가된 제형제로 도포한 시료의 광택 변화를 알아보고자 광택계(Gloss meter NHG268; Shenzhen Threenh Technology, China)를 이용하여 측정 비교하였다. 측정값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12회 측정하여 최고 값과 최저 값을 제외한 10회의 측정 값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5) 도포 실험방법

도포 측정은 건강모와 탈색으로 시술 한 모발 시료 8레벨 시료 다발에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0 g, 3g, 6 g, 9 g 첨가한 제형제로 각각의 시료에 20 g 도포 후 측정하였다. 도포한 후 열처리 10 min과 자연건조 20 min후 세척하여 자연건조 시켜 측정하였다. 시료 도포는 도포량, 자연방치시간, 열처리 시간, 시술자의 숙련도에 등에 따라서 측정에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차이를 줄이기 위해 시술자는 각 단계별로 동일인이 시술하였다. 각 유칼립투스 추출물의 함량에 따른 제형제 시료 표기는 Table 2와 같다.
Virgin hair는 건강모, 8L(0)시료는 bleach hair로 8레벨 시료, 8L(3) 시료는 8레벨시료에 유칼립투스 추출물 3 g과 펌베이스 17 g 혼합 도포, 8L(6) 시료는 8레벨시료에 유칼립투스 추출물 6 g과 펌베이스 14 g 혼합 도포, 8L(9) 시료는 8레벨시료에 유칼립투스 추출물 9 g과 펌베이스 11 g 혼합 도포하였다.

6) 결과 분석

각 항목의 실험은 명도측정과 광택측정은 10회, 인장강도는 5회 측정, 흡광도는 4회 측정한 값으로 건강모와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제를 도포한 시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신뢰성과 객관성을 높이기 위한 통계분석을 위해 평균(mean), 표준편차(standard division, SD)를 구하고 사후 검증으로 통계 프로그램인 jamovi 1.2.27 solid를 이용하여 t-tests (Independent sample t-test)로 실시하였고, 유의 수준은 p<0.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귀무가설은 "탈색모와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제로 도포한 시료가 차이가 없다" 이고 연구가설은 "탈색모와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제로 도포한 시료가 차이가 있다" 로 하였다.

Results and Discussion

1. 시료 별 L* 변화 측정

건강모와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제형제로 도포한 시료 별 L* 값 측정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시료 별로 평균의 차이가 표본을 추출 할 때 발생하는 표본 오차에 의한 차이인지 아니면 모평균 차이에 의한 것이지 판단하기 위해 모든 비교 시료를 t-검정을 통해 검정하였다. 건강모와 8L(0)시료의 L*값 비교는 평균값이 -31.0 차이를 보였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p-value)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작은 값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알 수 있었다. 건강모와 8L(0)의 명도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8L(0)와 8L(3)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1.8로 8L(0)의 값이 높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작은 값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8L(0)와 8L(6)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1.2로 8L(0)의 값이 높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작은값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L*값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8L(0)와 8L(9)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0.9로 8L(0)의 값이 높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낮아 유의미한 결과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8L(0)와 8L(3), 8L(6), 8L(9)와의 L*값의 평균은 차이가 있었고 통계적으로도 차이가 있어 명도의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8L(3)와 8L(6)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0.6으로 8L(6)의 값이 높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004로 유의기준 p<0.05보다 낮아 유의미한 결과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8L(3)와 8L(9)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0.9로 8L(9)의 값이 높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낮아 유의미한 결과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8L(6)와 8L(9)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0.3로 8L(9)의 값이 높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124로 유의기준 p<0.05보다 높아 유의미하지 않아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유칼립투스를 첨가한 시료별에서는 함량이 높을수록 L* 값의 평균이 높았으며, 8L(3)과 8L(6), 8L(9) 비교 시에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로 명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오트밀 오일 함량이 증가할수록 L* 값이 감소한다(Kim, 2020)는 결과와 반대의 결과 임을 알 수 있었다. 귀무가설은 기각이고 연구가설이 채택되어 탈색모와 추출물을 첨가한 제형제로 도포한 시료가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시료 별의 인장강도 측정

건강모와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제형제로 도포한 시료 별 인장강도 측정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시료 별로 평균의 차이가 표본을 추출 할 때 발생하는 표본 오차에 의한 차이인지 아니면 모평균 차이에 의한 것이지 판단하기 위해 모든 비교 시료를 t-검정을 통해 검정하였다. 건강모와 8L(0)시료의 인장강도 비교는 평균값이 0.40 차이를 보였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p-value)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작은 값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알 수 있었다. 건강모와 8L(0)의 인장강도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8L(0)와 8L(3)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0.07로 8L(3)의 값이 높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323으로 유의기준 p<0.05보다 높은 값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8L(0)와 8L(6)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0.14로 8L(6)의 값이 높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077로 유의기준 p<0.05보다 높은값으로 유의미 하지 않은 결과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8L(0)와 8L(9)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0.20으로 8L(9)의 값이 높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005로 유의기준 p<0.05보다 높은 값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8L(0)와 8L(3), 8L(6), 8L(9)와의 인장강도 평균은 차이가 있었고 통계적으로는 차이가 없어 인장강도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8L(3)와 8L(6)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0.07로 8L(6)의 값이 높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393으로 유의기준 p<0.05보다 높은 값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8L(3)와 8L(9)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0.13으로 8L(9)의 값이 높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084로 유의기준 p<0.05보다 높은 값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8L(6)와 8L(9)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0.06으로 8L(9)의 값이 높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396으로 유의기준 p<0.05 보다 높아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유칼립투스를 첨가한 시료별에서는 함량이 높을수록 인장강도 평균값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로 나타났다. 이는 탈색한 모발의 인장강도는 감소하는데(Min et al., 2011) 이 시료에 노니 오일을 첨가한 제형제로 도포할 경우 인장강도가 증가한다(Kim, 2022a)는 결과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연구가설이 기각되고 귀무가설이 채택되어 탈색모와 추출물을 첨가한 제형제로 도포한 시료가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시료 별의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측정 결과

건강모와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제형제로 도포한 시료 별 흡광도 측정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시료 별로 평균의 차이가 표본을 추출 할 때 발생하는 표본 오차에 의한 차이인지 아니면 모평균 차이에 의한 것이지 판단하기 위해 모든 비교 시료를 t-검정을 통해 검정하였다. 건강모와 8L(0)시료의 흡광도 비교는 평균값이 -0.246 차이를 보였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p-value)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작은 값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알 수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8L(0)와 8L(3)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0.027로 8L(3)의 값이 낮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034로 유의기준 p<0.05보다 낮아 유의미한 결과를 알 수 있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8L(0)와 8L(6)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0.065로 8L(6)의 값이 낮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낮아 유의미한 결과를 알 수 있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8L(0)와 8L(9)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0.087로 8L(9)의 값이 낮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낮아 유의미한 결과를 알 수 있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미처리한 8L(0)시료와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제형제로 도포한 시료인 8L(3), 8L(6), 8L(9)의 흡광도 차이는 평균값에서 차이가 있었고, 통계적으로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평균값의 차이에서는 오일 함량이 많을수록 흡광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8L(3)와 8L(6)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0.038로 8L(3)의 값이 높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낮은 값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알 수 있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8L(3)와 8L(9)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0.060으로 8L(3)의 값이 높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낮은 값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알 수 있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8L(6)와 8L(9)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0.022로 8L(6)의 값이 높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032로 유의기준 p<0.05보다 낮은 값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알 수 있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탈색한 모발은 흡광도가 증가하나(Oh & Choe, 2012) 추출물을 첨가한 제형제로 도포 시 탈색모 시료와의 비교 결과 평균값과 통계분석 값의 차이가 있어 유칼립투스 추출물이 탈색모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첨가한 연구결과와 같음을 알 수 있었다(Kim & You, 2022). 귀무가설이 기각되고 연구가설이 채택되어 탈색모와 추출물을 첨가한 제형제로 도포한 시료가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시료 별의 광택 측정 결과

건강모와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제형제로 도포한 시료 별 광택 측정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시료 별로 평균의 차이가 표본을 추출 할 때 발생하는 표본 오차에 의한 차이인지 아니면 모평균 차이에 의한 것이지 판단하기 위해 모든 비교 시료를 t-검정을 통해 검정하였다. 건강모와 8L(0)시료의 광택 비교는 평균값이 -0.50 차이를 보였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p-value)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작은 값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알 수 있어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8L(0)와 8L(3)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0.01로 8L(3)의 값이 높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673으로 유의기준 p<0.05보다 높아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를 알 수 있어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8L(0)와 8L(6)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0.18로 8L(6)의 값이 높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낮아 유의미한 결과를 알 수 있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8L(0)와 8L(9)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0.32로 8L(9)의 값이 높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낮아 유의미한 결과를 알 수 있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미처리한 8L(0)시료와 오일을 첨가하여 제조한 제형제로 도포한 시료인 8L(3)을 제외한 8L(6), 8L(9)에서 평균값에서 차이가 있었고, 통계적으로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평균값의 차이에서는 오일 함량이 많을수록 광택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8L(3)와 8L(6)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0.17로 8L(6)의 값이 높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낮아 유의미한 결과를 알 수 있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8L(3)와 8L(9)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0.31로 8L(9)의 값이 높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낮아 유의미한 결과를 알 수 있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8L(6)와 8L(9) 시료의 비교 결과 평균값의 차이는 -0.14로 8L(9)의 값이 높았고, 통계 결과 유의확률이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낮아 유의미한 결과를 알 수 있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평균값에서는 추출물 함량이 증가 할수록 차이를 보였고, 통계적으로는 8L(3)을 제외 한 8L(6), 8L(9)에서 차이를 보였다. 통계 분석 결과 유칼립투스 추출물이 탈색된 모발의 광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닥나무추출물을 첨가한 제형제가 광택에 영향을 주어 모질 개선효과가 있다(Kim, 2021)는 결과와 같음을 알 수 있었다. 귀무가설 기각되고 연구가설이 채택되어 탈색모와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제로 도포한 시료가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onclusion

본 연구는 탈색으로 손상된 모발에 유칼립투스 추출물이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기 위해 제조한 제형제로 탈색된 모발에 도포하여 연구하였다.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기 위해 유칼립투스 추출물을 0 g, 3 g, 6 g, 9 g으로 함량을 다르게 하여 유칼립투스 제형제를 제조하여 도포하였다. 시료 별 L* 을 측정하여 유칼립투스 추출물에 의한 명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고, 탈색된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기 위해 모발 인장강도,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광태 측정을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시료 별 명도 변화를 알기 위한 L* 값 측정 결과 탈색모에 도포한 시료별에서 함량이 높을수록 L* 값의 평균이 높았으며, 8L(3)과 8L(6), 8L(9) 비교 시에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로 명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어 모발의 밝기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인장강도 측정 결과 시료 별의 인장강도 측정결과 탈색모에 도포한 시료별에서 함량이 높을수록 인장강도 평균값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측정 결과 탈색모에 도포한 시료별에서 평균값과 통계분석 값의 차이가 있어 유칼립투스 추출물이 탈색모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광택 측정 결과 평균값은 결과 탈색모에 도포한 시료별 평균값에서는 추출물 함량이 증가 할수록 차이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8L(3)을 제외한 8L(6), 8L(9)에서 차이를 보였다. 통계분석 결과 유칼립투스 추출물이 탈색된 모발의 광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유칼립투스 추출물이 첨가된 제형제가 탈색된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연구한 결과 유칼립투스 추출물 첨가한 제형제로 도포한 시료에서 명도는 함량이 높은 8L(6), 흡광도, 광택에 있어 평균값이 차이가 나고 통계분석결과도 차이가 있었다. 이는 귀무가설은 기각되고 연구가설이 채택되어 탈색모와 오일을 함유한 제형제로 탈색모에 도포한 시료가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어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유칼립투스를 원료로 한 모발 트리트먼트제로 개발, 제조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차후 다양한 종류의 천연 추출물이 모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NOTES

Author's contribution
JSK designed all experimental investigations and HK collected Eucalyptus data. and wrote the manuscript.
Author details
Ju-sub Kim (Professor), Beauty & Cosmetology Major in the School of Fashion and Beauty, Sangji University, 84 Sangjidae-gil, Wonju-si, Gangwondo 26339, Korea; Hye-Jin Kang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Design, Shinansan University, 135 Shinansandaehak-ro, Danwon-gu, Ansan-si, Gyeonggi-do 15435, Korea.

Table 1.
Composition of perm-base agent
No Ingredients Content (%) Content (kg) Function
1 Water 89.850 89.850 Solvent
2 Tri ethanolamine 0.150 0.150 pH adjuster
3 Cetyl alcohol 3.000 1.8 Emulsion stabilizer
Ceteth-40 1.2 Surfactant
4 Myristyl alcohol 2.000 0.04 Emulsion stabilizer
Cetyl alcohol 0.22 Emulsion stabilizer
Stearyl alcohol 1.72 Emulsion stabilizer
Arachidyl alcohol 0.02 Emulsion stabilizer
5 Stearic acid 1.000 0.44 Surfactant
Palmitic acid 0.55 Surfactant
6 Myristic acid 4.000 0.01 Surfactant
Mineral oil 4 Conditioning agent
Table 2.
Definitions of treatments applied to hair samples
Sample Contents
Virgin hair Virgin hair
8L(0) Treatment of level-8 sample with Eucalyptus extract 0 g and perm-base 20 g
8L(3) Treatment of level-8 sample with Eucalyptus extract 3 g and perm-base 17 g
8L(6) Treatment of level-8 sample with Eucalyptus extract 6 g and perm-base 14 g
8L(9) Treatment of level-8 sample with Eucalyptus extract 9 g and perm-base 11 g
Table 3.
Statistical analysis result value of brightness L*
Sample Mean Mean difference p
Virgin hair 21.4 -31.0 <0.001*
8L(0) 52.4
8L(0) 52.4 1.8 <0.001*
8L(3) 50.6
8L(0) 52.4 1.2 <0.001*
8L(6) 51.2
8L(0) 52.4 0.9 <0.001*
8L(9) 51.5
8L(3) 50.6 -0.6 0.004
8L(6) 51.2
8L(3) 50.6 -0.9 <0.001*
8L(9) 51.5
8L(6) 51.2 -0.3 0.124
8L(9) 51.5

* p <0.05.

Table 4.
Statistical analysis result value of tensile strength (Unit: N)
Sample Mean Mean difference p
Virgin hair 1.46 0.40 <0.001*
8L(0) 1.06
8L(0) 1.06 -0.07 0.323
8L(3) 1.13
8L(0) 1.06 -0.14 0.077
8L(6) 1.20
8L(0) 1.06 -0.20 0.005
8L(9) 1.26
8L(3) 1.13 -0.07 0.393
8L(6) 1.20
8L(3) 1.13 -0.13 0.084
8L(9) 1.26
8L(6) 1.20 -0.06 0.396
8L(9) 1.26

* p <0.05.

Table 5.
Statistical analysis result value of optical density (Unit: Abs)
Sample Mean Mean difference p
Virgin hair 0.062 -0.246 <0.001*
8L(0) 0.308
8L(0) 0.308 0.027 0.034
8L(3) 0.281
8L(0) 0.308 0.065 <0.001*
8L(6) 0.243
8L(0) 0.308 0.087 <0.001*
8L(9) 0.221
8L(3) 0.281 0.038 <0.001*
8L(6) 0.243
8L(3) 0.281 0.060 0.001*
8L(9) 0.221
8L(6) 0.243 0.022 0.032
8L(9) 0.221

* p <0.05.

Table 6.
Statistical analysis result value of gloss meter (Unit: GU)
Sample Mean Mean difference p
Virgin hair 0.54 -0.50 <0.001*
8L(0) 1.04
8L(0) 1.04 -0.01 0.673
8L(3) 1.05
8L(0) 1.04 -0.18 <0.001*
8L(6) 1.22
8L(0) 1.04 -0.32 <0.001*
8L(9) 1.36
8L(3) 1.05 -0.17 <0.001*
8L(6) 1.22
8L(3) 1.05 -0.31 <0.001*
8L(9) 1.36
8L(6) 1.22 -0.14 0.001*
8L(9) 1.36

* p <0.05.

References

Cha BK, Chang MW, Jeong YK, Kim KH. Effects of eucalyptus and geranium on production of IL-2 and IL-4 in mouse splenocytes. Journal of Life Science 16: 162-167. 2006.
crossref
Cho MS, Lee SH, Koo BS. Effect of holding solutions on vase life and quality of cut Eucalyptus pulverulenta ‘Baby Blue’. Floriculture Research Journal 24: 65-72. 2016.
crossref
Kim JS, Kim CS, Kim YJ, You SE. Hair science. Hunminsa. Seoul. pp82. 2010a.

Kim JS, Shin HC, Lim DJ, Kim JH, You SE. Hair cosmetics. Kuhminsa. Seoul. pp31. 2010b.

Kim JS, You SE. Permanent wave. Kuhminsa. Seoul. pp43. 2016.

Kim JS. Hair coloring. Kuhminsa. Seoul. pp44. 2017.

Kim JS. Effect of oatmeal oil on hair texture improvement.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70: 599-608. 2020.
crossref pdf
Kim JS. Effect of paper mulberry extract on damaged hair.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9: 175-182. 2021.
crossref pdf
Kim JS. Effects of noni oil on hair quality.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75: 85-94. 2022a.
crossref pdf
Kim JS, You SE. Effects of propolis extracts on damaged hair.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75: 85-94. 2022b.
crossref pdf
Kim SH, Kim SN, Park DH. Hair treatment satisfaction with natural hair essence using deer antler extract.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5: 6-14. 2011.

Lee CS, Kim HH. A study on the soybean effects for scalp hair treatment.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 77-90. 2005.

Lee SH. Scalp and hair care by using the aromatherapy. Journal of Trichology of Society of Korea 1: 99-110. 2004.

Lee SW, Cho MS, Kim GN. Effect of different irrigation period on photosynthesis and growth performances of Containerized Seedling of Eucalyptus pellita and Acacia mangium.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 414-422. 2010.

Min MJ, Na MS, Ryu EM, Cha WS. Gray mullet extract on physical damage of colored and bleached hair.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9: 1-9. 2011.

Oh MS, Choe TB. Determination of hair damage index using methylene blue stain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8: 531-537. 2012.

Editorial Office
No. 1505, 1506, 3rd Ace High-End Tower, 145, Gasan digital 1-ro, Geumcheon-gu, Seoul 08506, Korea
TEL: +82-2-6957-8155   FAX: +82-502-770-2278   E-mail: ajbc.edit@e-ajbc.org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Developed in M2PI